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2)

상서정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旣修太原하사 至于岳陽하시며
[傳]高平曰太原이니 今以爲郡名이라 太岳이니 在太原西南이라 山南曰陽이라
○岳 字又作嶽이요 太岳 山名이라 山南曰陽이요 水北亦曰陽이라
[疏]傳‘高平’至‘曰陽’
○正義曰:太原, 原之大者. 漢書以爲郡名, 傳欲省文, 故云“高平曰太原, 今以爲郡名.” 卽晉陽縣是也.
釋地云 “廣平曰原, 高平曰陸.” 孔以太原地高, 故言‘高平’, 其地高而廣也.
下文導山云‘壺口‧雷首至于太岳’, 知此岳卽太岳也, 屬河東郡, 在太原西南也.
地理志河東彘縣東有霍太山. 此彘縣, 周厲王所奔, 順帝改爲永安縣, 周禮職方氏 冀州其山鎭曰霍山, 卽此太岳是也.
山南見, 故‘山南曰陽’. 此說循理平地, 言從太原至岳山之南, 故云‘岳陽’也.


이미 太原을 닦아 太岳山 남쪽에까지 이르셨으며,
높고 평평한 지대를 太原이라 하는데, 지금은 고을 이름으로 삼았다. 岳은 太岳이니, 太原의 서남쪽에 있다. 山의 남쪽을 陽이라 한다.
○岳은 글자가 또 嶽으로 되어 있기도 하다. 太岳은 산 이름이다. 陽은 산의 남쪽을 陽이라 하고, 물의 북쪽도 陽이라 한다.
傳의 [高平]에서 [曰陽]까지
○正義曰:‘太原’은 原 중에 큰 것이다. ≪漢書≫에는 郡名으로 삼았는데, 孔傳에서는 글을 생략하려고 했기 때문에 “높고 평평한 지대를 太原이라 하는데 지금은 고을 이름으로 삼았다.”라고 하였으니, 곧 晉陽縣이 이것이다.
≪爾雅≫ 〈釋地〉에 “넓고 평평한 지대를 原이라 하고, 높고 평평한 지대를 陸이라 한다.”라고 하였다. 孔安國은 太原의 지대가 높기 때문에 ‘高平’이라고 말하였으니, 그 지대가 높고 넓은 것이다.
下文의 導山에서 ‘壺口山과 雷首山으로부터 太岳山에 이르게 하시며’라고 하였으니, 이 岳이 곧 太嶽임을 알 수 있는데, 河東郡에 속하고 太原의 서남쪽에 있다.
≪漢書≫ 〈地理志〉에 의하면 河東 彘縣 동쪽에 霍太山이 있으니, 이 彘縣은 周 厲王이 달아난 곳인데, 漢 順帝가 永安縣으로 고쳤다. ≪周禮≫ 〈職方氏〉에 “冀州는 그 산의 鎭山이 霍山이다.”라고 하였으니, 바로 太岳이 이것이다.
산 남쪽에서는 해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산 남쪽을 陽이라 한다.”라고 하였다. 이는 平地를 따라 다스림을 설명한 것인데, 太原으로부터 岳山의 남쪽에 이름을 말하였기 때문에 ‘岳陽’이라고 한 것이다.


역주
역주1 (曰)[日] : 저본에는 ‘曰’로 되어 있으나, “毛本에는 ‘曰’이 ‘日’로 되어 있으니 옳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日’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2)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