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3)

상서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曰 我王하사 旣爰宅于玆하심은
[傳]我王祖乙居耿이라 於也 言祖乙已居於此
重我民이요 無盡劉어신마는
[傳]劉 殺也 所以遷此 重我民이요盡殺故
不能胥匡以生일새 卜稽하니 라하나다
[傳]言民不能相匡以生이면 則當卜稽於龜以徙 曰 其如我所行이라하니라


“우리 先王께서 오셔서 이미 여기[耿]에 자리를 잡으신 것은
우리 王 祖乙이 耿에 거주하였다. 爰은 於의 뜻이니, 祖乙이 이미 여기에 거주하였음을 말한 것이다.
우리 백성들을 소중히 여기신 것이지 모두 죽이려고 하신 것이 아니었건만,
劉는 殺의 뜻이다. 여기로 옮긴 까닭은 우리 백성들을 소중히 여긴 것이지 다 죽이려고 한 것이 아니었다는 말이다.
백성들이 서로 바로잡아가며 살 수 없기에 占을 쳐보았더니, ‘우리가 옮겨 가려고 하는 곳이 좋다.’는 점괘가 나왔느니라.
백성들이 서로 바로잡아가며 살 수 없으면 마땅히 이주할 일을 거북껍질에 점을 쳐봐야 하는데, ‘우리가 옮겨 가려고 하는 곳이 좋다.’는 점괘가 나왔다고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殺)[欲] : 저본에는 ‘殺’로 되어 있으나, “諸本에는 ‘無殺’이 ‘無欲’으로 되어 있으니, ‘殺’자는 오자이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欲’으로 바로잡았다.
역주2 曰其如台(이) : 蔡傳에서는 “역시 ‘耿은 우리에게 맞지 않는 곳이다.’란 점괘가 나왔다. 곧 耿은 살 수가 없으니 결코 도읍을 옮겨야 함을 말한 것이다.”라고 풀이하였다.

상서정의(3)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