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不可不監于有夏 亦不可不監于有殷이니다
[傳]言王當視夏殷하여 法其歷年하고 戒其不長이라
我不敢知 曰有夏服天命하여 惟有歷年이니다
[傳]以能敬德이라 多歷年數 我不敢獨知 亦王所知
我不敢知 曰不其延 惟不敬厥德하여 乃早墜厥命이니다
[傳]言桀不謀長久 惟以不敬其德이라 乃早墜失其王命이니 亦王所知
我不敢知 曰有殷 受天命하여 惟有歷年이니다
[傳]夏言服하고 殷言受 明受而服行之 互相兼也 殷之賢王 猶夏之賢王이니 所以歷年 亦王所知
[傳]紂早墜其命 猶桀不敬其德이니 亦王所知


우리는 나라를 살펴보지 않을 수 없으며, 또한 나라를 살펴보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은 마땅히 나라와 나라를 살펴보아서 歷年이 긴 것은 본받고 역년이 짧은 것은 경계해야 함을 말한 것이다.
나만 감히 알 것이 아니라 〈왕도 알아야 할 일입니다.〉 이르건대, 나라는 天命服行해서 歷年을 많이 가지게 된 것입니다.
능히 을 공경했기 때문에 歷年數가 많았으니, 그것은 나만 감히 알 것이 아니라 또한 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나만 감히 알 것이 아니라, 〈왕께서도 아셔야 할 일입니다.〉 이르건대, 역년이 연장되지 못한 것은 을 공경하지 아니하여 일찍 天命을 떨어뜨린 것입니다.
長久〈할 계책〉을 도모하지 않은 것은 그 을 공경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일찍 그 王命을 떨어뜨린 것이니, 또한 이 알아야 할 바라고 말한 것이다.
나만 감히 알 것이 아니라, 〈왕께서도 아셔야 할 일입니다.〉 이르건대, 나라가 天命을 받아서 역년을 오래 가지게 된 것입니다.
나라에 대해서는 ‘’을 말하고 나라에 대해서는 ‘’를 말한 것은 받아서 服行함을 밝힌 것이니, 상호간에 겸한 것이다. 나라의 賢王나라의 賢王과 같으니, 歷年이 긴 것은 또한 도 알아야 할 바라고 한 것이다.
나만 감히 알 것이 아니라, 〈왕께서도 아셔야 할 일입니다.〉 이르건대, 역년을 연장하지 못한 것은 그 을 공경치 아니하여 일찍 그 을 떨어뜨린 것입니다.
가 일찍 그 을 떨어뜨린 것은 이 그 을 공경치 않은 것과 같으니, 또한 이 알아야 할 일이라고 한 것이다.


역주
역주1 我不敢知……乃早墜厥命 : 林之奇(≪尙書全解≫)는 “옛사람은 天命에 대하여 꼭 있는 것이라 여기지도 않고 꼭 없는 것이라 여기지도 않았다. 그러므로 召公은 역년의 긺과 짧음에 대해 모두 감히 알지 못할 것으로 의심하였다. 德을 공경하면 역년을 누리고 德을 공경하지 않으면 그 命을 떨어뜨린다는 사실만은 의심할 나위가 없는 것이다.[古人於天命 不以爲必有 不以爲必無 故召公於歷年不其延 皆不敢知者疑之也 至於敬德則有歷年 不敬德則墜厥命 蓋無可疑者]”라고 하였고, 蔡傳은 “夏나라와 商나라의 歷年의 길고 짧음에 대해서는 감히 알 수 없고, 내가 알 수 있는 것은 오직 〈그 德을 공경하면 연년을 길게 누리고,〉 그 德을 공경하지 아니하면 즉시 天命을 떨어뜨린다는 사실이다.[夏商歷年長短 所不敢知 我所知者 惟不敬厥德 卽墜其命也]”라고 하였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