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3)

상서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君罔以辯言으로 亂舊政하며
[傳]利口覆國家 特愼焉이라
臣罔以寵利 居成功이라사
[傳]成功不退 其志無限이라 爲之極以安之
[疏]傳‘成功’至‘安之’
○正義曰:四時之序, 成功者退. 臣旣成功, 不知退謝, 其志貪欲無限, 其君不堪所求, 或有怨恨之心. 君懼其謀, 必生誅殺之計.
自古以來, 人臣有功不退者, 皆喪家滅族者衆矣. 經稱臣無以寵利居成功者, 爲之限極以安之也.
伊尹告君而言及臣事者, 雖復汎說大理, 亦見己有退心也.
邦其永孚于休하리이다
[傳]言君臣各以其道 則國長信保於美


임금은 달변으로 옛 정치를 어지럽히지 말아야 하고,
달변은 국가를 전복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특별히 삼가야 한다는 것이다.
신하는 恩寵과 利祿을 가지고 이룬 공을 차지하지 말아야 합니다.
공을 이루고 물러가지 않으면 그 뜻의 〈탐욕이〉 한이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공을 이룬 것을 限極으로 삼아 〈물러나〉 몸을 편안히 보전해야 한다는 것이다.
傳의 [成功]에서 [安之]까지
○正義曰:四時의 節序는 공을 이룬 것은 물러간다. 신하가 이미 공을 이루고 물러갈 줄을 알지 못하면 그 뜻의 탐욕이 한이 없으므로 임금이 그의 요구를 견디지 못하여 혹 원한의 마음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요, 임금이 그의 역모를 두려워하면 반드시 誅殺할 생각을 하게 될 것이다.
자고이래로 남의 신하로서 공을 이루고 물러가지 않은 자는 모두 喪家滅族을 당한 경우가 많았다. 經文에서 “신하는 恩寵과 利祿을 가지고 이룬 공을 차지하지 말아야 합니다.”라고 칭한 것은 공을 이룬 것을 限極으로 삼아 〈물러나〉 몸을 편안히 보전해야 한다는 것이다.
伊尹이 임금에게 고하면서 신하의 일을 언급한 것은 비록 범연하게 대체적인 이치를 말했으나 또한 자기가 물러갈 마음을 가지고 있음을 보인 것이다.
〈그렇게 하면〉 나라는 영원히 아름다운 天命을 보장하게 될 것입니다.”
임금과 신하가 각각 그 도리로써 하면 나라가 길이 아름다운 天命을 보장할 것이란 말이다.



상서정의(3)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