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3)

상서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佑賢輔德하시며 顯忠遂良하시며
[傳]賢則助之하고 德則輔之하고 忠則顯之하고 良則進之 明王之道
兼弱攻昧하시며 取亂하사
[傳]弱則兼之하고 暗則攻之하고 亂則取之하고 有亡形則侮之 言正義
推亡固存이어야 邦乃其昌하리이다
[傳]有亡道 則推而亡之하고 有存道 則輔而固之 王者如此 國乃昌盛이라
[疏]‘乃葛伯 仇餉’
○正義曰:此言‘乃’者, 卻說已過之事. 胤征云 ‘乃季秋月朔’, 其義亦然.
左傳稱‘怨耦曰仇’, 謂彼人有負於我, 我心怨之, 是名爲‘仇’也.
餉田之人不負葛伯, 葛伯奪其餉而殺之, 是葛伯以餉田之人, 爲己之仇. 言非所怨而妄殺, 故湯爲之報也.
孟子稱湯使亳衆往爲之耕, 有童子以黍肉餉, 葛伯奪而殺之, 則葛伯所殺, 殺亳人也.
傳言“葛伯遊行, 見農人之餉於田者, 殺其人而奪其餉, 故謂之仇餉.” 乃似葛伯自殺己人, 與孟子違者.
湯之徵葛, 以人之枉死而爲之報耳, 不爲亳人乃報之, 非亳人則赦之, 故傳指言殺餉, 不辨死者何人.
亳人‧葛人, 義無以異, 故不復言‘亳’, 非是故違孟子.
[疏]○傳‘賢則’至‘之道’
○正義曰:周禮大夫云 “三年則大比, 考其德行道藝, 而興賢者.” 鄭玄云 “賢者謂有德行者.”
詩序云 “忠臣良士.” 皆是善也. 然則賢是德盛之名, 德是資賢之實, ‘忠’是盡心之事, ‘良’是爲善之稱,
俱是可用之人, 所從言之異耳. ‘佑’之與‘輔〮’‧‘顯’之與‘遂’, 隨便而言之.
[疏]○傳‘弱則’至‘正義’
○正義曰:力少爲弱, 不明爲昧, 政荒爲亂, 國滅爲亡. 兼謂包之, 攻謂擊之, 取謂取爲己有, 侮謂侮慢其人.
弱‧昧‧亂‧亡, 俱是彼國衰微之狀, 兼‧攻‧取‧侮, 是此欲呑竝之意. 弱‧昧是始衰之事. 來服則制爲己屬, 不服則以兵攻之.
此二者始欲服其人, 末是滅其國. 亂是已亂, 亡謂將亡. 二者衰甚, 已將滅其國.
亡形已著, 無可忌憚, 故陵侮其人. 旣侮其人, 必滅其國, 故以侮言之. 此是人君之正義.
仲虺陳此者, 意亦言桀亂亡, 取之不足爲愧. 下言‘推亡’及‘覆昏暴’, 其意亦在桀也.


諸侯 중에 어진 이를 돕고 德이 있는 사람을 보조하시며, 충실한 사람을 드러내고 선량한 사람을 진취시키며,
어진 사람은 돕고, 德이 있는 사람은 보조하고, 충실한 사람은 드러내고, 선량한 사람은 진취시킨 것은 명철한 王의 도리이다.
약한 나라를 겸병하고 혼매한 나라를 공격하며, 어지러운 나라를 빼앗고 망할 형상이 있는 나라를 업신여기시어,
약하면 겸병하고 혼매하면 공격하고 어지러우면 취하고 망할 형상이 있으면 업신여긴다는 것은 義를 바르게 함을 말한 것이다.
망할 길이 보이는 나라를 밀어내고 보존할 길이 보이는 나라를 튼튼하게 해주셔야 나라가 창성해질 것입니다.
망할 길이 보이면 밀어서 망하게 하고, 보존할 길이 보이면 보조해서 튼튼하게 해준다. 王者가 이와 같이 하면 나라가 곧 창성할 것이란 말이다.
經의 [乃葛伯 仇餉]
○正義曰:여기서 말한 ‘乃’는 문득 이미 지나간 일을 말할 때에 쓰는 글자이다. 〈胤征〉에서 말한 ‘乃季秋月朔’도 그 뜻이 또한 그렇다.
≪春秋左氏傳≫ 桓公 2년 조에 “원망스런 배우자를 ‘仇’라 한다.”라고 하였으니, 저 사람이 나를 저버리면 내 마음이 원망하게 되므로 이를 명명하여 ‘仇’라고 하였다.
들밥을 내다 먹이는 사람이 葛伯을 저버리지 않았는데, 葛伯이 그 밥을 빼앗고 죽였으니 이는 葛伯이 들밥을 내다 먹이는 사람을 자기의 원수로 여긴 것이다. 원망할 대상이 아닌데 망령되이 죽였기 때문에 湯임금이 그를 위해 보복했음을 말한 것이다.
≪孟子≫ 〈滕文公 下〉에 “湯임금이 亳邑 백성들로 하여금 葛나라에 가서 밭을 갈아주게 할 때 어떤 童子가 기장밥과 고기를 가지고 와서 먹이자, 葛伯이 그 음식을 빼앗아 먹고 동자를 죽였다.”라고 칭하였으니, 葛伯이 죽인 것은 亳邑 사람을 죽인 것이다.
그런데 傳에서 말하기를 “葛伯이 놀러 다니다가 농민이 밭에 들밥을 내다먹는 것을 보면 그 사람을 죽이고 그 밥을 빼앗아 먹었다. 그러므로 이를 ‘仇餉’이라 이른다.”라고 하였으니, 마치 葛伯이 스스로 자기 나라 사람을 죽인 모양새여서 ≪孟子≫와 어긋난 것처럼 되었다.
그러나 湯임금이 葛伯을 징계한 것은 사람이 억울하게 죽었기 때문에 그를 위해 보복했을 뿐이지, 亳邑 사람을 위해서 보복한 것이 아닌데, 혹시 亳邑 사람이 아니면 놓아주었을 가능성이 있어 보이기 때문에 傳에서는 ‘그 사람을 죽이고서 그 밥을 빼앗아 먹은 것’을 가리켜 말하고 죽은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는 분변하지 않았다.
亳邑 사람이든 葛나라 사람이든 별다른 뜻이 없기 때문에 ‘亳’을 말하지 않은 것이지, 고의로 ≪맹자≫와 어긋나게 한 것은 아니다.
○傳의 [賢則]에서 [之道]까지
○正義曰:≪周禮≫ 〈鄕大夫〉에 “3년마다 한 번씩 크게 비교하는 제도를 실시해서 德行이 있는 사람과 道藝가 있는 사람을 상고하여 賢者와 〈유능한 사람을〉 천거한다.”라고 하였는데, 鄭玄은 “賢者는 德行이 있는 자를 이른다.”라고 하고,
≪毛詩≫ 〈揚之水〉 小序에 “忠臣과 良士”라고 하였으니 모두 善을 실천한 사람들이다. 그렇다면 ‘賢’은 바로 德이 성대함을 이르는 명칭이고, ‘德’은 바로 어짊을 돕는 알맹이 구실을 하는 것이고, ‘忠’은 바로 마음을 다하는 일이고, ‘良’은 바로 善을 하는 것을 이르는 칭호이니,
모두 등용할 수 있는 사람인데, 경우에 따라 말을 달리 했을 뿐이다. 佑와 輔, 顯과 遂는 편의에 따라 말한 것이다.
○傳의 [弱則]에서 [正義]까지
○正義曰:힘이 적은 것을 ‘弱’이라 하고, 밝지 않은 것을 ‘昧’라 하고, 정치가 문란한 것을 亂이라 하고, 나라가 멸망한 것을 亡이라 한다. 兼은 포함하는 것을 이르고, 攻은 공격하는 것을 이르고, 取는 취해서 자기의 소유로 삼는 것을 이르고, 侮는 남을 侮慢하는 것을 이른다.
弱‧昧‧亂‧亡은 모두 저쪽 나라가 衰微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兼‧攻‧取‧侮는 바로 呑竝하려는 뜻을 나타낸 것이다. 弱‧昧는 비로소 쇠해지는 일이다. 와서 복종하면 제어하여 자기의 속국으로 삼고, 복종하지 않으면 병력을 가지고 공격한다.
이 두 가지는 처음에는 그 사람을 복종시키려고 하고, 끝에 가서는 그 나라를 멸망시키는 것이다. 亂은 바로 이미 어지러워진 것이고, 亡은 장차 망하려 하는 것을 이른다. 두 가지는 쇠락이 심한 것이니, ‘이미’든 ‘장차’든 그 나라를 멸한 것이다.
망할 형태가 이미 나타났으므로 꺼릴 것이 없기 때문에 그 사람을 능멸하고 업신여긴 것이다. 이미 그 사람을 업신여겼으면 반드시 그 나라를 멸하기 때문에 ‘侮’를 가지고 말한 것이다. 이것이 바로 임금의 바른 義이다.
仲虺가 이것을 진달한 것은 그 뜻이 또한 桀이 亂亡하였으니, 그를 취한 것이 부끄러운 일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말하기 위해서이다. 아래에서 ‘推亡’과 ‘覆昏暴’를 말한 그 뜻 또한 桀에게 있다.


역주
역주1 : 蔡傳에서는 傷(망가짐)의 뜻으로 보았다.
역주2 (卿)[鄕] : 저본에는 ‘卿’으로 되어 있으나, ≪周禮≫에 의거하여 ‘鄕’으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3)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