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正義(6)

상서정의(6)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6)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傳]紂之不善 亦於文武之道大行하여 以能知三有居惡人之心하고 灼然見三有賢俊之心이라
以敬事上帝하시며 立民長伯하시니이다
[傳]言文武知三宅三俊이라 能以敬事上天하고 立民正長이라 謂郊祀天하고 建諸侯
[疏]‘亦’至‘長伯’
○正義曰:既言上天去惡與善, 滅殷興周, 即說文王․武王, 能用求賢審官之事.
桀惡所以興成湯, 紂惡所以開文武, -言紂之不善, 亦於文王․武王, 使得其道大行.-
能知居三有惡人之心, 居之皆得其所, -言服其罪也.- 灼然見三有賢俊之心, 用之皆得其人, -言明其德也.-
文武知此三宅三俊, 故能敬事上天, 稱天心也. 立民正長, 合民心也.
[疏]○傳‘紂之’至‘之心’
○正義曰:桀之昏亂開成湯, 紂之不善開文武, 其事同也.
於成湯言能受上天之命, 於文武云能敬事上帝, 前聖後聖爲行必同, 交錯爲文, 所以互相見爾.
文王受命, 武王伐紂, 二聖共成王道, 故文武竝言之.
猶詩序云 “文武以天保已上治內, 採薇已下治外.” 文武竝言, 與此同也.
文王之時, 未定天下, 所立之官, 亦未具足.
下經所言“立政任人”已下, “三亳阪尹”已上, 其所舉官屬, 多是文武時事, 以見二聖同道, 父作之, 子述之, 言其相成爾.
故以“能知三有居惡人之心, 灼然見三有賢俊之心.”
言文王之聖心, 能揆度知惡人真惡, 須屏黜之, 知賢人實賢, 須舉用之, 故去惡進賢, 皆得其所.
賢人難識, 故特言‘灼然’, 言其知之審也.
[疏]○傳‘言文’至‘諸侯’
○正義曰:上天之道, 與善去惡, 三宅三俊, 行合天心.
言“文武知三宅三俊, 故能敬事上帝.” ‘伯’, 亦長也, 故言“立民正長.” 天子祭天, 知“敬事上帝”, 謂“郊祀天”也.
天子建國, 知“立民長伯”, 謂“建諸侯”也. 以下句“立政任人”已下, 歷言朝廷之臣與蠻夷眾君, 知此“立民長伯”, 主謂諸侯.
詩周頌維清 述文王之德, 言 ‘肇禋’, 大雅皇矣美文王之伐, 言 ‘是類’, ‘類’․‘禋’, 皆是祭天之名, 是文王已祀天矣.
文王未得封建諸侯, 其建諸侯, 維武王時爾.


또한 문왕文王무왕武王에 있어서 삼유택三有宅들의 마음씨를 깊이 헤아려 아시고, 삼유준三有俊들의 마음씨를 밝게 꿰뚫어보시어,
불선不善이 또한 문왕文王무왕武王가 크게 행하여 능히 삼유거악인三有居惡人의 마음씨를 헤아려 알고, 삼유현준三有賢俊의 마음씨를 밝게 꿰뚫어볼 수 있게 했다는 것이다.
경건하게 상제上帝를 섬기며 백성들의 을 세우셨습니다.
문왕文王무왕武王삼택三宅삼준三俊을 헤아려 알았기 때문에 능히 경건하게 하늘을 섬기고, 백성들의 정장正長(군장君長)을 세울 수 있었다고 말한 것이다. 곧 하늘에 교사郊祀를 지내고 제후諸侯를 세운 것을 이른다.
의 [亦越]에서 [장백長伯]까지
정의왈正義曰:이미 상천上天한 사람은 제거하고 한 사람은 도와준 점과 나라를 멸망시키고 나라를 흥기시킨 점에 대해 말하고 나서 곧 문왕文王무왕武王이 능히 어진 이를 구하고 벼슬을 살펴본 일을 말하였다.
성탕成湯을 흥기시킨 원인이고, 문왕文王무왕武王이 〈흥기하는 길을〉 열어준 원인이다. -불선不善이 또한 문왕文王무왕武王에 있어서 그 가 크게 행할 수 있게 한 점을 말한 것이다.-
能知居三有惡人之心’은 거처시킴에 있어서 모두 그 처소를 얻게 한 것이고, -그 죄를 복종시킴을 말한 것이다.- ‘灼然見三有賢俊之心’은 임용함에 있어서 모두 그 적임자를 얻은 것이니, -그 덕을 밝히게 함을 말한 것이다.-
문왕文王무왕武王이 이 삼택三宅삼준三俊을 헤아려 알았기 때문에 경건하게 상천上天을 섬겨 천심天心에 걸맞을 수 있었다. ‘민심民心에 합한 것이다.
의 [紂之]에서 [지심之心]까지
정의왈正義曰혼란昏亂성탕成湯을 열어주고, 불선不善문왕文王무왕武王을 열어준 것이니, 그 일이 동일한 것이다.
그런데 성탕成湯에 있어서는 “상천上天을 받았다.”라고 말하였고, 문왕文王무왕武王에 있어서는 “경건하게 상제上帝를 섬겼다.”라고 하였으니, 전성前聖후성後聖이 행한 일이 반드시 같았을 것인데, 교착交錯해서 글을 지은 것은 서로 보이기 위한 것일 뿐이다.
문왕文王을 받았고, 무왕武王를 쳤으니, 두 성인이 함께 왕도王道를 이룬 것이다. 그러므로 문왕文王무왕武王을 아울러서 말한 것이다.
이를테면 〈시서詩序〉에서 “문왕文王무왕武王이 〈천보天保〉 이상은 안을 다스리고, 〈채미採薇〉 이하는 밖을 다스린 것이다.”라고 하여 문왕文王무왕武王을 아울러 말한 것이 여기서와 같게 한 예이다.
문왕文王의 시대에는 아직 천하天下를 정하지 못하였으니, 창설한 관직 또한 넉넉하게 갖추어지지 못하였다.
아랫 에서 말한 ‘입정立政’․‘임인任人’ 이하와 ‘관속官屬이 대부분 문왕文王무왕武王 시대의 일이었으니, 두 성인이 를 같이 하였음을 볼 수 있다. 아버지는 창작을 하고 아들은 술전述傳을 한 것이니, 서로 이룬 점을 말했을 뿐이다.
그러므로 “능히 삼유거악인三有居惡人의 마음씨를 헤아려 알고, 삼유현준三有賢俊들의 마음씨를 밝게 꿰뚫어볼 수 있다.”라고 한 것이니,
문왕文王성심聖心이 능히 악인惡人의 참된 을 헤아려 알아서 필수적으로 내쳤고, 현인賢人의 실제 어짊을 알아서 필수적으로 들어 썼기 때문에 한 사람을 제거하고 어진 사람을 진출시켜 모두 그 처소를 얻게 하였던 것이다.
어진 사람은 알아보기 어려운 것이기 때문에 특별히 ‘작연灼然’을 말하였으니, 그 앎의 세심함을 말한 것이다.
의 [언문言文]에서 [제후諸侯]까지
정의왈正義曰상천上天한 사람을 돕고 한 사람을 제거하는 것이니, 삼택三宅삼준三俊은 그 행한 것이 천심天心에 합하였다.
그래서 “문왕文王무왕武王삼택三宅삼준三俊을 헤아려 알았기 때문에 능히 경건하게 상제上帝를 섬겼다.”라고 말한 것이다. ‘’ 또한 의 뜻이기 때문에 “백성들의 정장正長을 세울 수 있었다.”라고 말한 것이다. 천자天子는 하늘에 제사 지내기 때문에 〈공안국이〉 “경건하게 상제上帝를 섬긴다.”는 것을 알고 “하늘에 교사郊祀를 지냈다.”라고 말한 것이다.
천자天子는 나라를 세우기 때문에 〈공안국이〉 “백성들의 정장正長을 세울 수 있었다.”는 것을 알고 “제후諸侯를 세웠다.”라고 말한 것이다. 아랫 구의 ‘입정立政’․‘임인任人’ 이하에서 조정朝廷의 신하와 만이蠻夷중군眾君을 내리 말하였기 때문에 이 “백성의 장백長伯을 세운다.”는 것은 제후諸侯를 위주로 해서 이른 점을 〈공안국은〉 알았던 것이다.
시경詩經≫ 〈주송周頌 유청維清〉에서 문왕文王술전述傳할 때에 ‘조인肇禋(처음 인사禋祀를 지냄)’을 말하고, 〈대아大雅 황의皇矣〉에서 문왕文王의 정벌을 아름답게 여길 때에 ‘유제類祭를 지냄)’를 말하였으니, ‘’와 ‘’은 모두 하늘에 제사 지내는 이름이므로 이는 문왕文王이 이미 하늘에 제사 지냈던 것이다.
문왕文王은 아직 제후諸侯봉건封建하지 못하였으니, 그 제후諸侯를 세운 것은 무왕武王의 시대이다.


역주
역주1 克知三有宅心 灼見三有俊心 : 林之奇(≪尙書全解≫)는 “王氏(王安石)는 ‘「三宅」은 이미 직위도 주고 이미 직사도 맡겼기 때문에 그들 마음은 알지 않을 수 없고, 「三有俊」의 경우는 밝게 보는 것만으로 족하다.’고 하였으니, 그 생각은 ‘三俊’은 이미 직위에 자리 잡은 ‘三宅’의 경지에 아직 이르지 못했고, ‘灼見’은 ‘克知’의 상세한 것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여긴 것인데, 先儒가 ‘三宅’과 ‘三俊’을 나눈 것은 王氏와 다르다.[王氏以三宅已授之以位 己任之以事 故不可以不知其心 若三有俊 則灼見之足矣 其意謂三俊未至於三宅之己在位 灼見未至於克知之爲詳 先儒之分三宅三俊 異於王氏]”라고 하였다.
역주2 (曰)[越] : 저본에는 ‘曰’로 되어 있으나, 宋刊 單疏本․宋兩浙東路茶鹽司本에 의거하여 ‘越’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6)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