傳
		                       		
		                        
		                        	
		                        		
		                            	[傳]肩은 任也라 我不任貪貨之人하고 敢奉用進進於善者와 人之窮困을 能謀安其居者면 則我式序而敬之니라
		                            	 
									
                        			
                        			
                        		
	                     		
			                       	
			                       	
	                     		
	                     		
		                        
                        	
                        	
                        	
                        	
                        		
                        		
                        		
                        			
                        			
		                       		
		                       		
		                       		
		                       			
		                        			
		                        				
		                        				 
		                        			
		                       			
		                       			
		                       			
		                       				疏
		                       		
		                        
		                        	
		                        		
									
                        			
                        			
                        		
	                     		
			                       	
			                       	
	                     		
	                     		
		                        
                        	
                        	
                        	
                        	
                        		
                        		
                        		
                        			
                        			
		                       		
		                       		
		                       		
		                        
		                        	
		                        		
		                            	○正義曰:言遷事已訖, 故嘆而勅之 “嗚呼. 國之長伯, 及衆官之長與百執事之人, 庶幾皆相與隱括共爲善政哉. 
		                            	 
									
                        			
                        			
                        		
	                     		
			                       	
			                       	
	                     		
	                     		
		                        
                        	
                        	
                        	
                        	
                        		
                        		
                        		
                        			
                        			
		                       		
		                       		
		                       		
		                        
		                        	
		                        		
		                            	我其勉力大助汝等爲善, 汝當思念愛敬我之衆民. 我不任用好貨之人, 
		                            	 
									
                        			
                        			
                        		
	                     		
			                       	
			                       	
	                     		
	                     		
		                        
                        	
                        	
                        	
                        	
                        		
                        		
                        		
                        			
                        			
		                       		
		                       		
		                       		
		                        
		                        	
		                        		
		                            	有人果敢奉用進進於善, 見窮困之人, 能謀此窮困之人安居者, 我乃次序而敬用之.
		                            	 
									
                        			
                        			
                        		
	                     		
			                       	
			                       	
	                     		
	                     		
		                        
                        	
                        	
                        	
                        	
                        		
                        		
                        		
                        			
                        			
		                       		
		                       		
		                       		
		                       			
		                        			
		                        				
		                        				 
		                        			
		                       			
		                       			
		                       			
		                       				疏
		                       		
		                        
		                        	
		                        		
									
                        			
                        			
                        		
	                     		
			                       	
			                       	
	                     		
	                     		
		                        
                        	
                        	
                        	
                        	
                        		
                        		
                        		
                        			
                        			
		                       		
		                       		
		                       		
		                        
		                        	
		                        		
		                            	○正義曰:‘邦伯’, 邦國之伯, 諸侯師長, 故爲東西二伯及九州之牧也. 
		                            	 
									
                        			
                        			
                        		
	                     		
			                       	
			                       	
	                     		
	                     		
		                        
                        	
                        	
                        	
                        	
                        		
                        		
                        		
                        			
                        			
		                       		
		                       		
		                       		
		                        
		                        	
		                        		
		                            	鄭玄注禮記云 “殷之州長曰伯, 虞夏及周皆曰牧.” 此殷時而言‘牧’者, 此乃鄭之所約, 孔意不然, 故總稱‘牧’也. 
		                            	 
									
                        			
                        			
                        		
	                     		
			                       	
			                       	
	                     		
	                     		
		                        
                        	
                        	
                        	
                        	
                        		
                        		
                        		
                        			
                        			
		                       		
		                       		
		                       		
		                        
		                        	
		                        		
		                            	‘師’訓爲衆, ‘衆長’, 衆官之長, 故爲三公六卿也. 其‘百執事’, 謂大夫以下, 諸有職事之官皆是也. 
		                            	 
									
                        			
                        			
                        		
	                     		
			                       	
			                       	
	                     		
	                     		
		                        
                        	
                        	
                        	
                        	
                        		
                        		
                        		
                        			
                        			
		                       		
		                       		
		                       		
		                        
		                        	
		                        		
		                            	此摠勅衆臣, 故二伯已下及執事之人, 皆戒之也. 釋言云 “庶幾, 尙也.” 反覆相訓, 故‘尙’爲庶幾. 
		                            	 
									
                        			
                        			
                        		
	                     		
			                       	
			                       	
	                     		
	                     		
		                        
                        	
                        	
                        	
                        	
                        		
                        		
                        		
                        			
                        			
		                       		
		                       		
		                       		
		                        
		                        	
		                        		
		                            	‘庶’, 幸也. ‘幾’, 冀也. ‘隱’, 謂隱審也. 幸冀相與隱審檢括, 共爲善政, 欲其同心共爲善也. 
		                            	 
									
                        			
                        			
                        		
	                     		
			                       	
			                       	
	                     		
	                     		
		                        
                        	
                        	
                        	
                        	
                        		
                        		
                        		
                        			
                        			
		                       		
		                       		
		                       		
		                        
		                        	
		                        		
		                            	‘隱括’必是舊語, 不知本出何書. 何休公羊序云 “隱括使就繩墨焉.”
		                            	 
									
                        			
                        			
                        		
	                     		
			                       	
			                       	
	                     		
	                     		
		                        
                        	
                        	
                        	
                        	
                        		
                        		
                        		
                        			
                        			
		                       		
		                       		
		                       		
		                       			
		                        			
		                        				
		                        				 
		                        			
		                       			
		                       			
		                       			
		                       				疏
		                       		
		                        
		                        	
		                        		
									
                        			
                        			
                        		
	                     		
			                       	
			                       	
	                     		
	                     		
		                        
                        	
                        	
                        	
                        	
                        		
                        		
                        		
                        			
                        			
		                       		
		                       		
		                       		
		                        
		                        	
		                        		
		                            	○正義曰:‘簡 大’, 釋詁文. 又云 “相‧助, 慮也.” 俱訓爲
, 是‘相’得爲助也. 
 
									
                        			
                        			
                        		
	                     		
			                       	
			                       	
	                     		
	                     		
		                        
                        	
                        	
                        	
                        	
                        		
                        		
                        		
                        			
                        			
		                       		
		                       		
		                       		
		                        
		                        	
		                        		
		                            	盤庚欲使群臣同心爲善, 欲勉力大佐助之, 使皆念敬我衆民也.
		                            	 
									
                        			
                        			
                        		
	                     		
			                       	
			                       	
	                     		
	                     		
		                        
                        	
                        	
                        	
                        	
                        		
                        		
                        		
                        			
                        			
		                       		
		                       		
		                       		
		                       			
		                        			
		                        				
		                        				 
		                        			
		                       			
		                       			
		                       			
		                       				疏
		                       		
		                        
		                        	
		                        		
									
                        			
                        			
                        		
	                     		
			                       	
			                       	
	                     		
	                     		
		                        
                        	
                        	
                        	
                        	
                        		
                        		
                        		
                        			
                        			
		                       		
		                       		
		                       		
		                        
		                        	
		                        		
		                            	○正義曰:釋詁云 “肩, 勝也.” 舍人曰 “肩, 强之勝也.” 强能勝重, 是堪任之義, 故爲任也. 我今不委任貪貨之人. 
		                            	 
									
                        			
                        			
                        		
	                     		
			                       	
			                       	
	                     		
	                     		
		                        
                        	
                        	
                        	
                        	
                        		
                        		
                        		
                        			
                        			
		                       		
		                       		
		                       		
		                        
		                        	
		                        		
		                            	以‘恭’爲奉, 人有向善而心不決志, 故美其人能果敢奉用進進於善者, 言其人好善不倦也. ‘鞠’訓爲窮, ‘鞠人’, 謂窮困之人. 
		                            	 
									
                        			
                        			
                        		
	                     		
			                       	
			                       	
	                     		
	                     		
		                        
                        	
                        	
                        	
                        	
                        		
                        		
                        		
                        			
                        			
		                       		
		                       		
		                       		
		                        
		                        	
		                        		
		                            	‘謀人之保居’, 謂謀此窮人之安居. 若人之窮困, 能謀安其居, 愛人而樂安存之者, 則我式序而敬之. 
		                            	 
									
                        			
                        			
                        		
	                     		
			                       	
			                       	
	                     		
	                     		
		                        
                        	
                        	
                        	
                        	
                        		
                        		
                        		
                        			
                        			
		                       		
		                       		
		                       		
		                        
		                        	
		                        		
		                            	詩云 “式序在位.” 言其用次序在官位也. 鄭‧王皆以‘鞠’爲養, 言“能謀養人安其居者, 我則次序而敬之.” 與孔不同.
		                            	 
									
                        			
                        			
                        		
	                     		
			                       	
			                       	
	                     		
	                     		
		                        
                        	
                        	
                        	
                        	
                   			
                    			
                    				
                    				 
                    			
                   			
                        	
                        	
                        	
                        	
	                       	
	                       	
	                       	
	                       	
							                       	
	                        
	                        
	                        	
	                        
	                        	
	                        		
	                        	
	                        
	                        	
	                        
	                        	
	                        
	                        	
	                        
	                        	
	                        
	                        	
	                        
	                        	
	                        
	                        	
	                        
	                        	
	                        
	                        	
	                        
	                        	
	                        
	                        	
	                        
	                        	
	                        
	                        	
	                        
	                        	
	                        
	                        	
	                        
	                        	
	                        
	                        	
	                        
	                        	
	                        
	                        	
	                        
	                        	
	                        
	                        	
	                        
	                        	
	                        
	                        	
	                        
	                        	
	                        
	                        	
	                        
	                        	
	                        
	                        	
	                        
	                        	
	                        
	                        	
	                        
	                        	
	                        
	                        	
	                        
	                        	
	                        
	                        	
	                        
	                        	
	                        
	                        	
	                        
	                        	
	                        
	                        	
	                        
	                        	
	                        
	                        	
	                        
	                        	
	                        
	                        
	                        
                        	
		                        
		                        
		                        
		                        
                        		
                        	
		                        
		                        
		                        
		                        	
		                        	
		                        
		                        
                        		
                        		
                        			
			                        
			                        	朕은 財貨를 좋아하는 사람에게 책임을 맡기지 않고, 과감하게 善에 매진하는 사람과 곤궁한 사람을 보거든 능히 그들을 편안히 살게 할 방법을 모색하는 사람이면 〈나는〉 차서에 따라 경건하게 임용하겠노라.
			                              
                        			
                        		
                        		
	                     		
			                       	
			                       	
	                     		
		                        
                        	
		                        
		                        
		                        
		                        
                        		
                        	
		                        
		                        
		                        
		                        
                        		
                        		
                        		
                        			
                        			
		                       		
		                       		
		                       		
		                       			
		                       			
		                       			
		                       				傳
		                       		
		                       		
		                        		
			                            	肩은 任의 뜻이다. 나는 財貨를 탐하는 사람을 임용하지 않고, 과감하게 善에 매진하는 사람과 곤궁한 사람을 보거든 능히 그들을 편안히 살게 할 방법을 모색하는 사람이면 나는 차서에 따라 경건하게 〈임용〉하겠노라.
			                             
									
                        			
                        			
                        		
	                     		
			                       	
			                       	
	                     		
		                        
                        	
		                        
		                        
		                        
		                        
                        		
                        	
		                        
		                        
		                        
		                        
                        		
                        		
                        		
                        			
                        			
		                       		
		                       		
		                       		
		                       			
		                        			
		                        				
		                        				 
		                        			
		                       			
		                       			
		                       			
		                       				疏
		                       		
		                       		
		                        		
									
                        			
                        			
                        		
	                     		
			                       	
			                       	
	                     		
		                        
                        	
		                        
		                        
		                        
		                        
                        		
                        	
		                        
		                        
		                        
		                        
                        		
                        		
                        		
                        			
                        			
		                       		
		                       		
		                       		
		                       		
		                        		
			                            	○正義曰:도읍을 옮기는 일이 이미 끝났기 때문에 탄식하며 경계하기를 “嗚呼라. 나라의 長伯 및 뭇 관원의 長과 百執事들은 부디 모두 서로 더불어 隱括하여 함께 善政을 하도록 하라. 
			                             
									
                        			
                        			
                        		
	                     		
			                       	
			                       	
	                     		
		                        
                        	
		                        
		                        
		                        
		                        
                        		
                        	
		                        
		                        
		                        
		                        
                        		
                        		
                        		
                        			
                        			
		                       		
		                       		
		                       		
		                       		
		                        		
			                            	나는 힘써 너희들이 善을 하도록 크게 도울 것이니, 너희들은 응당 우리의 뭇 백성을 思念하고 愛敬해야 한다. 나는 財貨를 좋아하는 사람에게 책임을 맡기지 않고, 
			                             
									
                        			
                        			
                        		
	                     		
			                       	
			                       	
	                     		
		                        
                        	
		                        
		                        
		                        
		                        
                        		
                        	
		                        
		                        
		                        
		                        
                        		
                        		
                        		
                        			
                        			
		                       		
		                       		
		                       		
		                       		
		                        		
			                            	과감하게 善에 매진하는 사람과 곤궁한 사람을 보거든 능히 그들을 편안히 살게 할 방법을 모색하는 사람이 있으면 나는 차서에 따라 경건하게 임용할 것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疏
		                       		
		                       		
		                        		
									
                        			
                        			
                        		
	                     		
			                       	
			                       	
	                     		
		                        
                        	
		                        
		                        
		                        
		                        
                        		
                        	
		                        
		                        
		                        
		                        
                        		
                        		
                        		
                        			
                        			
		                       		
		                       		
		                       		
		                       		
		                        		
			                            	○正義曰:‘邦伯’은 邦國의 伯과 諸侯의 師長이기 때문에 東‧西 二伯 및 九州의 牧으로 여긴 것이다. 
			                             
									
                        			
                        			
                        		
	                     		
			                       	
			                       	
	                     		
		                        
                        	
		                        
		                        
		                        
		                        
                        		
                        	
		                        
		                        
		                        
		                        
                        		
                        		
                        		
                        			
                        			
		                       		
		                       		
		                       		
		                       		
		                        		
			                            	鄭玄이 ≪禮記≫에 注를 달기를 “殷나라는 州長을 ‘伯’이라 했고, 虞나라와 夏나라 및 周나라는 모두 ‘牧’이라 했다.”라고 하였다. 여기는 殷나라 시대인데 ‘牧’이라 말한 것은, 이는 곧 鄭玄이 요약한 것이고, 孔安國의 생각은 그렇지 않았기 때문에 총칭하여 ‘牧’이라고 한 것이다. 
			                             
									
                        			
                        			
                        		
	                     		
			                       	
			                       	
	                     		
		                        
                        	
		                        
		                        
		                        
		                        
                        		
                        	
		                        
		                        
		                        
		                        
                        		
                        		
                        		
                        			
                        			
		                       		
		                       		
		                       		
		                       		
		                        		
			                            	‘師’는 衆으로 풀이하니, ‘衆長’은 뭇 벼슬아치의 長이기 때문에 三公과 六卿으로 여긴 것이다. ‘百執事’는 大夫 이하 모든 職事를 가진 벼슬아치가 모두 이러한 자들이다. 
			                             
									
                        			
                        			
                        		
	                     		
			                       	
			                       	
	                     		
		                        
                        	
		                        
		                        
		                        
		                        
                        		
                        	
		                        
		                        
		                        
		                        
                        		
                        		
                        		
                        			
                        			
		                       		
		                       		
		                       		
		                       		
		                        		
			                            	여기서는 뭇 신하를 총괄하여 신칙하였기 때문에 二伯 이하 및 執事의 사람들을 모두 경계하였다. ≪爾雅≫ 〈釋言〉에 “‘庶幾’는 尙(부디)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반복해서 서로 풀이하였기 때문에 ‘尙’을 庶幾라고 하였다. 
			                             
									
                        			
                        			
                        		
	                     		
			                       	
			                       	
	                     		
		                        
                        	
		                        
		                        
		                        
		                        
                        		
                        	
		                        
		                        
		                        
		                        
                        		
                        		
                        		
                        			
                        			
		                       		
		                       		
		                       		
		                       		
		                        		
			                            	‘庶’는 幸의 뜻이고, ‘幾’는 冀의 뜻이다. ‘隱’은 은밀히 살핌을 이른다. 서로 더불어 깊이 살피고 유심히 점검하여 함께 善政을 하기를 바란다는 말이니, 곧 마음을 같이 하여 함께 善을 하도록 하고자 해서이다. 
			                             
									
                        			
                        			
                        		
	                     		
			                       	
			                       	
	                     		
		                        
                        	
		                        
		                        
		                        
		                        
                        		
                        	
		                        
		                        
		                        
		                        
                        		
                        		
                        		
                        			
                        			
		                       		
		                       		
		                       		
		                       		
		                        		
			                            	‘隱括’은 필시 舊語일 텐데, 본디 어느 책에서 나왔는지 알 수 없다. 何休의 〈公羊傳解詁序〉에 “隱括使就繩墨焉(바로잡아서 먹줄에 맞게 했다.)”라고 하였다.
			                             
									
                        			
                        			
                        		
	                     		
			                       	
			                       	
	                     		
		                        
                        	
		                        
		                        
		                        
		                        
                        		
                        	
		                        
		                        
		                        
		                        
                        		
                        		
                        		
                        			
                        			
		                       		
		                       		
		                       		
		                       			
		                        			
		                        				
		                        				 
		                        			
		                       			
		                       			
		                       			
		                       				疏
		                       		
		                       		
		                        		
									
                        			
                        			
                        		
	                     		
			                       	
			                       	
	                     		
		                        
                        	
		                        
		                        
		                        
		                        
                        		
                        	
		                        
		                        
		                        
		                        
                        		
                        		
                        		
                        			
                        			
		                       		
		                       		
		                       		
		                       		
		                        		
			                            	○正義曰:[簡 大] ≪爾雅≫ 〈釋詁〉의 글이다. 또 “相과 助는 慮의 뜻이다.”라고 하여 모두 ‘慮’로 풀이하였으니, 이 ‘相’은 助의 뜻이 될 수 있다. 
			                             
									
                        			
                        			
                        		
	                     		
			                       	
			                       	
	                     		
		                        
                        	
		                        
		                        
		                        
		                        
                        		
                        	
		                        
		                        
		                        
		                        
                        		
                        		
                        		
                        			
                        			
		                       		
		                       		
		                       		
		                       		
		                        		
			                            	盤庚은 신하들로 하여금 마음을 같이해서 善을 하게 하려고 하였으니, 곧 힘을 써 크게 도와서 모두 우리의 뭇 백성을 생각하고 공경하도록 하고자 한 것이다.
			                             
									
                        			
                        			
                        		
	                     		
			                       	
			                       	
	                     		
		                        
                        	
		                        
		                        
		                        
		                        
                        		
                        	
		                        
		                        
		                        
		                        
                        		
                        		
                        		
                        			
                        			
		                       		
		                       		
		                       		
		                       			
		                        			
		                        				
		                        				 
		                        			
		                       			
		                       			
		                       			
		                       				疏
		                       		
		                       		
		                        		
									
                        			
                        			
                        		
	                     		
			                       	
			                       	
	                     		
		                        
                        	
		                        
		                        
		                        
		                        
                        		
                        	
		                        
		                        
		                        
		                        
                        		
                        		
                        		
                        			
                        			
		                       		
		                       		
		                       		
		                       		
		                        		
			                            	○正義曰:≪爾雅≫ 〈釋詁〉에 “肩은 勝의 뜻이다.”라고 하였고, 郭舍人의 注에 “肩은 强이 이긴 것이다.”라고 하였다. 强이 능히 重을 이기니 이는 堪任의 뜻이기 때문에 ‘任의 뜻이다.’라고 한 것이다. 그래서 ‘나는 지금 재화를 탐하는 사람에게 위임하지 않겠다.’라고 한 것이다. 
			                             
									
                        			
                        			
                        		
	                     		
			                       	
			                       	
	                     		
		                        
                        	
		                        
		                        
		                        
		                        
                        		
                        	
		                        
		                        
		                        
		                        
                        		
                        		
                        		
                        			
                        			
		                       		
		                       		
		                       		
		                       		
		                        		
			                            	‘恭’을 奉의 뜻으로 여기어, 사람이 善으로 향해 가더라도 마음에 결단성이 없기 때문에 그 사람이 능히 과감하게 善에 매진하는 것을 아름답게 여기는 것은, 그 사람이 善을 좋아하여 게으름을 부리지 않는 점을 말한 것이다. ‘鞠’을 窮의 뜻으로 풀이하니, ‘鞠人’은 窮困한 사람을 이른다. 
			                             
									
                        			
                        			
                        		
	                     		
			                       	
			                       	
	                     		
		                        
                        	
		                        
		                        
		                        
		                        
                        		
                        	
		                        
		                        
		                        
		                        
                        		
                        		
                        		
                        			
                        			
		                       		
		                       		
		                       		
		                       		
		                        		
			                            	[謀人之保居] 이런 곤궁한 사람이 편안히 살게 할 방법을 모색함을 이른다. 만일 사람의 곤궁함을 보거든 그들이 편안히 살게 할 방법을 능히 모색하고, 사람을 사랑하여 즐겁고 편안히 살게 할 방법을 보존시키는 사람이면 나는 순서에 따라 임용하여 공경한다는 것이다. 
			                             
									
                        			
                        			
                        		
	                     		
			                       	
			                       	
	                     		
		                        
                        	
		                        
		                        
		                        
		                        
                        		
                        	
		                        
		                        
		                        
		                        
                        		
                        		
                        		
                        			
                        			
		                       		
		                       		
		                       		
		                       		
		                        		
			                            	≪詩經≫ 〈周頌 時邁〉에 “지위에 있는 자들을 차서대로 앉힌다.”라고 하였으니, 차서에 따라 官位에 둠을 말한 것이다. 鄭玄과 王肅은 모두 ‘鞠’을 養의 뜻으로 보아 “능히 사람을 길러주어 그들을 편안히 살게 할 방법을 모색하는 사람이면 나는 차서에 따라 임용하여 공경하겠노라.”고 말하였으니, 孔安國의 해석과 같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