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王曰 封 我西土 邦君御事小子하니 尙克用文王敎하여 不腆于酒
故我至于今하여 克受殷之命이니라
[傳]以不厚於酒 我周家至於今 能受殷王之命이라
[疏]‘王曰封我西’至‘之命’
○正義曰:於此乃總言不可不用文王愼酒之敎. 王命之曰 “封, 我文王本在西土,
以道輔訓往日國君及治事之臣大夫士與其民之小子, 其此等皆庶幾能用文王敎, 而不厚於酒,
故我周家至于今, 能受殷之王命. 以此故, 不可不用其敎以斷酒.”
[疏]○傳‘我文’至‘常飮’
○正義曰:‘棐’, 輔也. ‘徂’, 往也. 以事已過, 故言‘往日’. 恐嗜酒不成其德, 故以斷酒輔成之.
其‘御事’, 謂國君之下衆臣也. ‘不厚於酒’, 卽‘無彜酒’也. 故云“不常飮.” 總述上也.


왕께서 말씀하였다. “아! 〈문왕께서〉 우리 西土에 계실 적에 지난날의 邦君(제후)과 일을 다스리는 자 그리고 백성의 자손들을 도와 교훈하시니, 〈그들은 거의 모두 능히〉 文王의 가르침을 잘 활용하여 술을 많이 마시지 않았다.
우리 文王西土에 계실 적에 지난날의 國君 및 일을 다스리는 자 그리고 백성의 자손들을 도와 교훈하니, 이들은 모두 거의 능히 문왕의 교훈을 활용해서 술을 많이 마시지 않았다는 것이니, 곧 늘 술을 마시지 않았음을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지금에 이르러 나라의 天命을 대신 받게 된 것이다.”
술을 많이 마시지 않았기 때문에 우리 나라가 오늘에 와서 나라 天命을 받을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의 [王曰封我西]에서 [之命]까지
正義曰:여기서는 곧 文王이 술을 삼갈 것에 대해 교훈한 것을 활용하지 않을 수 없음을 총체적으로 말한 것이다. 이 다음과 같이 명령하였다. “아! 우리 文王이 본래 西土에 계실 적에
지난날의 國君 및 일을 다스리는 신하인 大夫 그리고 백성의 小子들을 도리로써 도와 교훈하였으니, 그들이 모두 거의 능히 문왕의 교훈을 활용해서 술을 많이 마시지 않았다.
그러므로 우리 나라가 오늘에 와서 능히 나라 天命을 받을 수 있었다. 이 까닭으로 그 교훈을 활용해서 술을 끊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의 [我文]에서 [常飮]까지
正義曰:‘’는 의 뜻이다. ‘’는 의 뜻이다. 일이 이미 지나갔기 때문에 ‘往日’이라 말한 것이다. 술을 즐기어 그 을 이루지 못할까 두려웠기 때문에 술을 끊음으로써 도와 이루게 한 것이다.
그 ‘御事’는 國君의 아래에 있는 여러 신하를 이른다. ‘不厚於酒’는 곧 ‘無彜酒(늘 술을 마시지 않았다.)’이다. 그러므로 “늘 마시지 않는다.”라고 말한 것이다. 모두 위의 일을 傳述한 것이다.


역주
역주1 棐徂 : 蔡傳은 “文王을 보좌하던 지난날의 邦君 등이[輔佐文王往日之邦君]”로 풀이하였다.
역주2 我文王在西土……皆庶幾能用上敎 : 兪樾은 “‘輔訓往日’은 문장이 뜻을 이루지 못한다. ‘棐’는 응당 ‘非’의 뜻으로 읽어야 한다. ‘徂’는 ‘往’의 뜻을 가진 글자이다. ≪荀子≫ 〈解蔽篇〉의 ‘不慕往’에 대한 楊注에 ‘「往」은 「古昔」의 뜻이다.’라고 하였으니, 그렇다면 ‘我西土棐徂’란 ‘우리가 西土에 건국한 지 지금 〈연대가 그리〉 멀지 않으므로 古昔이 아닌 것이다. 그러므로 제후들과 이를 맡아보던 사람들과 젊은이들이 외려 능히 文王의 교훈을 활용한다.’고 말한 것이다.[輔訓往日 文不成義 棐當讀爲非 徂往也 荀子解蔽篇 不慕往 楊注曰 往古昔也 然則我西土棐徂者 言我肇西土 至今未遠 非古昔也 故邦君御事小子 尙克用文王敎也]”라고 하였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