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3)

상서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傳]各自謀行其志하여 人人自獻達於先王 以不失道
○靖 馬本作清이니 謂潔也
不顧行遯하리라
[傳]言將與紂俱死 所執各異 皆歸於仁하니 明君子之道 出處語默 非一途
[疏]‘父師’至‘行遯’
○正義曰:父師亦順其事而報微子曰 “王子, 今天酷毒下災, 生此昏虐之君, 以荒亂殷之邦國.
紂既沈湎, 四方化之, 皆起而沈湎酗醟於酒, 不可如何. 小人皆自放恣, 乃無所畏.
上不畏天災, 下不畏賢人, 違戾其耇老之長與舊有爵位致仕之賢人.
今殷民乃攘竊祭祀神祗之犧牷牲用, 以相通容, 行取食之, 無災罪之者. 盜天地大祀之物用而不得罪,-言政亂甚也.-
我又下視殷民, 所用爲治者, 民皆讐怨, 斂聚之道也.-言重賦傷民, 民以在上爲讐, 重賦乃是斂讐也.-
既爲重賦, 又急行暴虐, 此所以益招民怨, 是乃自召敵讐不懈怠也.
上下各有罪, 合於一紂之身.-言紂化之使然也.-故使民多瘠病, 而無詔救之者.
商今其有滅亡之災, 我起而受其敗. 商其沒亡喪滅, 我無所爲人臣僕.-言不可別事他人, 必欲諫取死也.-
我教王子出奔於外, 是道也. 我久子賢, 言於帝乙, 欲立子, 不肯.
我乃病傷子不得立爲王, 則宜終爲殷後. 若王子不出, 則我殷家宗廟, 乃隕墜無主.”
既勸之出, 卽與之別云 “各自謀行其志, 人人各自獻達於先王, 我不顧念行遯之事.”-明期與紂俱死.-
[疏]○傳‘比干’至‘王子’
○正義曰:諮二人而一人答, ‘明心同, 省文’也. 鄭云 “少師不答, 志在必死.” 然則箕子本意, 豈必求生乎. 身若求生, 何以不去.
既不顧行遯, 明期於必死, 但紂自不殺之耳. 若比干意異, 箕子則別有答, 安得默而不. 孔解‘心同’是也.
‘微子帝乙元子’, 微子之命 有其文也. 父師言微子爲‘王子’, 則父師非王子矣. 鄭‧王等以爲紂之諸父, 當是實也.
[疏]○傳‘天生’至‘如何’
○正義曰:荒殷邦者, 乃是紂也, 而云‘天毒降災’. 故言‘天生紂爲亂’. 本之於天, 天毒下災也.
以微子云 “若之何.” 此答彼意, 故言 ‘四方化紂沈湎, 不可如何’.
[疏]○傳‘言起’至‘紂故’
○正義曰:文在‘方興沈酗’之下, 則此無所畏畏者, 謂當時四方之民也.
民所當畏, 惟畏天與人耳, 故知二畏者, 上不畏天, 下不畏賢人.
違戾耇長與舊有位人, 卽是不畏賢人, 故不用其教, 紂無所畏, 此民無所畏, 謂法紂故也.
[疏]○傳‘自來’至‘政亂’
○正義曰:‘攘’‧‘竊’同文, 則‘攘’是竊類. 釋詁云 “攘, 因也.” 是因其自來而取之名‘攘’也.
說文云 “犧, 宗廟牲也.” 曲禮云 “天子以犧牛.” 天子祭牲, 必用純色, 故知‘色純曰犧’也.
周禮 “牧人掌牧六牲, 以供祭祀之牲牷.” 以‘牷’爲言, 必是體全具也, 故‘體完曰牷’.
經傳多言‘三牲’, 知‘牲’是牛羊豕也. 以‘犧’‧‘牷’‧‘牲’三者既爲俎實, 則‘用’者簠簋之實, 謂黍稷稻粱,
故云 ‘器實曰用’, 謂也. 禮 “天曰神, 地曰祗.” 舉天地則人鬼在其間矣, 故總云 ‘盜天地宗廟牲用’也.
訓‘將’爲行, ‘相容行食之’, 謂所司相通容, 使盜者得行盜而食之. 大祭祀之物, 物之重者, 盜而無罪, 言政亂甚也.
漢魏以來, 著律皆云 “敢盜郊祀宗廟之物, 無多少皆死.” 爲特重故也.
[疏]○傳‘下視’至‘怠’
○正義曰:箕子身爲三公, 下觀世俗, 故云 “下視殷民.” ‘所用治者’, 謂卿士已下, 是治民之官也.
以紂暴虐, 務稱上旨, ‘皆重賦傷民’. 民既傷矣, 則以上爲讐, 泰誓所謂‘虐我則讐’, 是也.
重斂民財, 乃是“聚斂怨讐之道.” 既爲重斂, 而又亟行暴虐, 亟, 急也.
急行暴虐, 欲以威民, 乃是‘自召敵讐’, 勤行虐政, 是‘不懈怠’也.
[疏]○傳‘商其’至‘於道’
○正義曰:‘有災’與‘淪喪’一事, 而重出文者, 上言“商今其有災, 我興受其敗.” 逆言災雖未至, 至則己必受禍,
此言“商其淪喪, 我罔爲臣僕.” 豫言殷滅之後, 言己不事異姓, 辭有二意, 故重出其文.
我無所爲臣僕, 言不能與人爲臣僕, 必欲以死諫紂. 但箕子之諫, 值紂怒不甚, 故得不死耳.
‘我教王子出 合於道’, 保全身命, 終爲殷後, 使宗廟有主, 享祀不絕, 是合其道也.
[疏]○傳‘刻病’至‘無主’
○正義曰:‘刻’者, 傷害之義, 故爲病也. 呂氏春秋仲冬紀云 “紂之母生微子啟與仲衍, 其時猶尚爲妾, 改而爲妻, 後生紂.
紂之父, 欲立微子啟爲太子, 太史據法而爭曰 ‘有妻之子, 不可立妾之子.’ 故立紂爲後.”
於時箕子蓋謂請立啟而帝乙不聽, 今追恨其事, 我久知子賢, 言於帝乙, 欲立子爲太子, 而帝乙不肯. 我病子不得立, 則宜爲殷後.
[疏]○傳‘言將’至‘一途’
○正義曰:不肯遯以求生, ‘言將與紂俱死’也. 或去或留, 所執各異, 皆歸於仁.
孔子稱 是‘皆歸於仁’也. 易繫辭曰 “君子之道, 或出或處, 或默或語.” 是‘非一途’也.
何晏云 “仁者愛人, 三人行異而同稱仁者, 以其俱在憂亂寧民.”


각기 自靖하고 사람마다 先王께 스스로 獻達해야 할 것이니,
각각 스스로 도모하여 그 뜻을 행하고, 사람마다 스스로 先王께 獻達하여 道를 잃지 않겠다는 것이다.
○‘靖’은 馬本에 ‘清’으로 되어 있으니, ‘潔’의 뜻을 이른다.
나는 도피할 것을 전연 고려하지 않겠습니다.”
장차 紂와 함께 죽으려고 함을 말한 것이다. 고집한 바가 각각 달랐으나 모두 仁으로 귀착하였으니, 君子의 道는 出處와 語默이 한 길이 아님을 밝힌 것이다.
經의 [父師]에서 [行遯]까지
○正義曰:父師 또한 그 일을 순서에 따라 微子에게 대답하였다. “王子님! 지금 하늘이 혹독하게 재앙을 내리어 이 같은 혼매하고 포학한 임금을 내어 殷나라를 荒亂하게 만들었습니다.
紂가 이미 술에 빠지자, 사방 사람들이 그에 동화되어 모두 일어나서 술에 빠져 주정을 일삼고 있으니 어떻게 할 수 없게 되어버렸습니다. 小人(小民)들이 모두 방자하게 굴어 두려워하는 바가 없습니다.
위로는 天災를 두려워하지 않고 아래로는 賢人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耇老의 어른과 예전에 爵位를 가졌다가 致仕한 賢人을 어깁니다.
지금 殷나라 백성들이 天神과 地祗에게 제사 지낼 犧‧牷‧牲과 여러 가지 제물을 도둑질하여도 서로 용납하여 다니면서 훔쳐다가 먹게 하고 죄를 주는 사람이 없습니다. 天地大祀의 제물을 도둑질해가도 죄를 받지 않습니다.-정치의 문란이 심함을 말한 것이다.-
내가 또 殷나라 백성들을 내려다보니, 다스린다는 자들은 백성이 모두 원수처럼 여기는 聚斂하는 방법만을 씁니다.-부세를 무겁게 부과하여 백성들을 상하게 하기 때문에 백성들이 윗자리에 있는 사람을 원수로 여김을 말하니, 부세를 무겁게 부과하는 것이 바로 원수처럼 여기는 聚斂하는 것이다.-
이미 무겁게 부과하고 또 자주 暴虐한 짓을 행하니, 이것이 더욱 백성들의 원망을 부른 이유이고, 이것이 곧 스스로 敵讐를 부르는 짓을 게을리하지 않는 것입니다.
윗사람과 아랫사람이 각각 죄를 지어 紂 한 사람의 몸에 합해졌습니다.-紂가 동화시켜 그렇게 만들었음을 말한 것이다.-그러므로 백성들을 수척한 병이 많게 만들고 구제하는 사람이 없게 만들었습니다.
商나라는 지금 멸망의 재난이 닥쳐올 것이니, 나는 일어나 그 禍敗를 받을 것입니다. 商나라가 沒亡하고 喪滅하더라도 나는 남의 臣僕이 되지 않을 것입니다.-다른 사람을 섬기지 않고 반드시 諫함으로써 죽음을 취하려고 함을 말한 것이다.-
우리가 王子로 하여금 밖으로 떠나라고 한 것은 道에 합한 것입니다. 나는 오랜 동안 그대의 어짊을 알고 帝乙에게 말하여 그대를 태자로 세우려고 한대, 帝乙이 좋아하지 않았습니다.
나는 그대가 왕으로 설 수 없음을 안타깝게 여기니, 마땅히 殷나라의 後嗣가 되어야 합니다. 만일 왕자님이 떠나지 않는다면 우리 殷나라 宗廟가 곧 무너지고 떨어져서 주인이 없게 될 것입니다.”
떠나가기를 권하고, 곧 더불어 헤어지면서 “각각 스스로 도모하여 그 뜻을 행하고, 사람마다 각각 스스로 先王께 獻達하여야 할 것이니, 나는 도피할 것을 전연 고려하지 않겠습니다.”라고 하였다.-紂와 함께 죽기로 기약함을 밝힌 것이다.-
○傳의 [比干]에서 [王子]까지
○正義曰:두 사람에게 물었는데 한 사람만이 답했기 때문에 ‘마음이 같음은 분명하니 글을 생략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鄭玄은 “少師가 답하지 않은 것은 반드시 죽을 생각을 가졌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는데, 그렇다면 箕子의 본뜻은 반드시 삶을 구하려 하였던가. 몸이 만일 살기를 구했다면 어째서 떠나가지 않았을까.
이미 ‘도피할 것을 전연 고려하지 않겠다.’고 한 것은 반드시 죽을 각오를 밝힌 것인데, 다만 紂가 스스로 죽이지 않았을 뿐이다. 만일 比干의 뜻이 달랐다면 箕子는 별도로 답을 하였을 것인데 어째서 묵묵히 있고 말을 하지 않았겠는가. 孔安國이 ‘마음이 같았다.’라고 풀이한 것이 옳다.
“微子는 帝乙의 元子였다.”란 것은 〈微子之命〉에 그 글이 있다. 父師가 微子를 ‘王子님’이라고 말하였으니, 父師는 王子가 아니었을 것이다. 鄭玄과 王肅 등이 “紂의 諸父이다.”라고 한 것이 사실일 것이다.
○傳의 [天生]에서 [如何]까지
○正義曰:殷나라를 荒亂하게 만든 자는 바로 紂인데, ‘하늘이 혹독하게 재앙을 내렸다.’라고 했기 때문에 ‘하늘이 紂를 내어 荒亂하게 만들었다.’고 말한 것이나, 원인이 하늘에 있으므로 하늘이 혹독하게 재앙을 내린 것이다.
微子가 “어떻게 구제하겠는가.”라고 했기 때문에 여기서 저기의 뜻에 답한 것이므로 ‘사방 사람들이 紂에 동화되어 술에 빠지니 어떻게 할 수 없게 되었다.’라고 말한 것이다.
○傳의 [言起]에서 [紂故]까지
○正義曰:글이 ‘方興沈酗’의 아래에 놓여있으니, 여기의 두려워해야 할 것을 두려워하는 바가 없는 자는 당시 사방의 백성들을 이른다.
백성들이 응당 두려워해야 할 바는 오직 하늘과 사람을 두려워할 뿐이다. 그러므로 두 가지 두려워할 것이 위로는 하늘을 두려워하고 아래로는 賢人을 두려워한다는 것을 〈孔安國은〉 알았던 것이다.
耇老의 어른과 옛날 직위에 있던 사람을 거슬린 것은 곧 賢人을 두려워하지 않기 때문에 그들의 가르침을 쓰지 않은 것이다. 紂가 두려워하지 않는 것을 백성들이 두려워하지 않는 것은 紂를 본받기 때문이란 점을 이른 것이다.
○傳의 [自來]에서 [政亂]까지
○正義曰:‘攘’과 ‘竊’이 같은 글로 이루어졌으니, ‘攘’은 바로 竊의 類이다. ≪爾雅≫ 〈釋詁〉에 “‘攘’은 因의 뜻이다.”라고 하였으니, 저절로 온 것을 인하여 취하는 것을 ‘攘’이라고 명명한다.
≪說文解字≫에 “‘犧’는 宗廟의 희생이다.”라고 하였고, ≪禮記≫ 〈曲禮 下〉에 “天子는 犧牛로 제사 지낸다.”라고 하였다. 天子의 제사에 올리는 희생은 반드시 순색을 쓰기 때문에 ‘색깔이 순색인 것을 犧라 한다.’는 점을 〈孔安國은〉 알았던 것이다.
≪周禮≫ 〈地官 司徒 牧人〉에 “牧人은 여섯 가지 牲(소‧말‧양‧돼지‧개‧닭)을 길러서 제사에 쓰는 牲과 牷을 제공하는 일을 관장한다.”라고 하였으니, ‘牷’이라 말한 것은 필시 몸체가 온전하게 갖추어진 것이기 때문에 ‘몸체가 완전한 것을 牷이라 한다.’라고 한 것이다.
經傳에서 ‘三牲’을 많이 말하였으니, ‘牲’은 바로 소‧양‧돼지임을 〈孔安國은〉 알았던 것이다. ‘犧’‧‘牷’‧‘牲’ 세 가지를 이미 도마에 담으니, ‘用’은 簠簋에 담는 것으로 차수수‧피‧벼‧기장을 이른다.
그러므로 ‘그릇에 담는 것을 用이라 한다.’라고 한 것이니, 粢盛을 이른다. ≪禮≫에 “하늘은 ‘神’이라 하고 땅은 ‘祗’라 한다.”라고 하였으니, 하늘과 땅을 들면 人鬼는 그 사이에 들어있기 때문에 총체적으로 ‘天地‧宗廟의 牲用을 도둑질 한다.’고 한 것이다.
‘將’을 行으로 풀이하니, ‘서로 용납하여 다니면서 훔쳐 먹는다.’라고 한 것은 곧 맡은 사람이 서로 용납하여 도둑질을 하는 자로 하여금 다니면서 도둑질해 먹게 함을 이른다. 큰 제사의 제물은 물건의 중대한 것인데, 도둑질을 해가도 죄를 줌이 없으니, 정치가 매우 어지러움을 말한 것이다.
漢‧魏 이래로 저작된 율법에 “감히 郊祀와 宗廟의 재물을 도둑질하면 다소를 막론하고 모두 죽음에 처한다.”라고 되어 있으니, 특별히 중대한 것이 되기 때문이다.
○傳의 [下視]에서 [懈怠]까지
○正義曰:箕子가 몸소 三公이 되어 世俗을 내려다보았기 때문에 “殷나라 백성들을 내려다보았다.”라고 한 것이다. ‘所用治者’는 卿士 이하를 이르니, 바로 백성을 다스리는 벼슬아치이다.
紂가 暴虐하기 때문에 윗사람의 비위를 맞추려고 힘썼다. 그래서 모두 부세를 무겁게 부과하여 백성들을 상하게 한 것이다. 백성들이 이미 상하였다면 윗사람을 원수로 여길 것이니, 〈泰誓〉에 이른바 “우리를 학대하면 원수이다.”라고 한 것이 이것이다.
백성의 재물을 무겁게 거두는 것이 바로 “원수처럼 聚斂하는 일을 일삼는 것이다.”라는 것이다. 이미 무겁게 거두고 또 자주 暴虐한 짓을 행하였으니, ‘亟’는 急의 뜻이다.
자주 暴虐한 짓을 행하는 것은 백성들을 위협하려는 목적이니, 이것이 바로 ‘스스로 敵讐를 부른다.’라는 것이다. 虐政을 부지런히 행하는 것이 바로 ‘게으름을 부리지 않는다.’란 것이다.
○傳의 [商其]에서 [於道]까지
○正義曰:‘有災’와 ‘淪喪’은 한 가지 일인데 거듭 글을 내놓는 것은, 위에서 말한 “商나라는 지금 재난이 닥쳐올 것이니, 나는 일어나 그 禍敗를 받으리다.”라고 한 것은 재앙이 비록 아직 이르지 않았으나 이른다면 자신은 반드시 禍를 받을 것임을 미리 말한 것이고,
여기서 말한 “商나라가 망하더라도 우리는 〈다른 사람의〉 臣僕이 되지 않을 것이다.”라고 한 것은 殷나라가 멸망한 뒤를 미리 말하여 자기는 다른 성씨를 섬기지 않을 것임을 말한 것이다. 말에 두 가지 뜻이 있기 때문에 그 글을 거듭 내놓은 것이다.
‘우리는 臣僕이 되지 않겠다.’는 것은 남들처럼 臣僕이 될 수 없으니, 반드시 죽음을 각오하고 紂에게 간하려고 함을 말한 것이다. 다만 箕子의 諫言은 紂가 심하게 노함을 만나지 않았기 때문에 죽지 않았을 뿐이다.
[我教王子出 合於道] 身命을 보전하여 끝내 殷나라의 後嗣가 되어서 宗廟가 주인을 가져 享祀가 끊어지지 않게 하려는 것이니, 이것이 그 道에 합하는 것이다.
○傳의 [刻病]에서 [無主]까지
○正義曰:‘刻’은 傷害의 뜻이기 때문에 病으로 여긴 것이다. ≪呂氏春秋≫ 〈仲冬紀〉에 “紂의 어머니가 微子啟와 仲衍을 낳았으나 그때에는 아직 妾이었고, 고쳐서 妻로 삼은 뒤에 紂를 낳았다.
紂의 아버지(帝乙)가 微子啟를 太子로 삼으려고 하자, 太史가 법에 의거해서 간언하기를 ‘妻의 아들이 있으니, 妾의 아들을 세워서는 안 됩니다.’라고 하였기 때문에 紂를 세워 後嗣로 삼았다.”라고 하였다.
이때에 箕子가 아마 啟를 세우자고 청하였으나 帝乙이 듣지 않았기 때문에 지금 그 일을 돌이켜 한스러워하면서 ‘나는 오랜 동안 그대의 어짊을 알고 帝乙에게 말하여 그대를 〈태자로〉 세우려고 하였으나 帝乙이 좋아하지 않았다. 나는 그대가 왕으로 서지 못함을 안타깝게 여기니, 마땅히 殷나라의 後嗣가 되어야 한다.’라고 이른 것이리라.
○傳의 [言將]에서 [一途]까지
○正義曰:도망쳐서 삶을 구하려고 하지 않았기 때문에 ‘장차 紂와 함께 죽으려고 함을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혹 떠나기도 하고 혹 머물기도 하여 실천한 바가 각각 달랐으나 모두 仁으로 귀착하였다.
孔子께서 “殷나라에 세 분 어진 이가 있었다.”라고 하셨으니, 이것이 ‘모두 仁으로 귀착했다.’라는 것이다. ≪周易≫ 〈繫辭傳 上〉에 “君子의 道가 혹은 나가기도 하고 혹은 처하기도 하며, 혹은 침묵을 지키기도 하고 혹은 말을 하기도 한다.”라고 하였으니, 이것이 ‘한 길이 아니다.’라는 것이다.
何晏은 “仁이란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니, 세 사람은 행동은 다르나 다 같이 어진 이라고 칭한 것은 그들이 모두 亂을 걱정하고 백성을 편안하게 하려는 데에 마음을 두었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自靖 人自獻于先王 : 蔡傳에서는 “‘靖’은 安의 뜻이니, 각기 의리상 마땅히 다해야 할 바에 마음을 편안히 가지고 스스로 그 뜻을 先王에게 전달하여 神明에게 부끄러움이 없도록 할 뿐이다.[靖安也 各安其義之所當盡 以自達其志於先王 使無愧於神明而已]”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云)[知] : 저본에는 ‘云’으로 되어 있으나, 傳文에 의거하여 ‘知’로 바로잡았다.
역주3 (呼)[言] : 저본에는 ‘呼’로 되어 있으나, 宋刊 單疏本에 의거하여 ‘言’으로 바로잡았다.
역주4 粢盛 : 祭品으로서 黍稷을 ‘粢’라 하고, 그릇에 담긴 것을 ‘盛’이라 한다.
역주5 (懈)[解] : 저본에는 ‘懈’로 되어 있으나, 傳文에 의거하여 ‘解’로 바로잡았다.
역주6 殷有三仁焉 : ≪論語≫ 〈微子〉에 보인다.

상서정의(3)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