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3)

상서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予念我先神后之勞爾先하노니 予丕克 用懷爾然이니라
[傳]言我亦法湯하여 大能進勞汝하여 以義懷汝心이언만 而汝違我하니 是汝反先人이라
[疏]‘予念’至‘爾然’
○正義曰:我念我先世神之君成湯, 愛勞汝之先人. 故我大能進用汝, 與汝爵位,
用以道義懷安汝心耳. 然汝乃違我命, 是汝反先人也.
[疏]○傳‘言我’至‘先人’
○正義曰:易稱 ‘神者, 妙萬物而爲言也.’ 殷之先世, 神明之君, 惟有湯耳, 故知‘神后’謂湯也.
下‘高后’‧‘先后’, 與此‘神后’一也. ‘神’者, 言其通聖, ‘高’者, 言其德尊.
此‘神后’言‘先’, 於‘高后’略而不言‘先’, 其下直言‘先后’, 又略而不言‘高’, 從上省文也.
‘勞爾先’, 謂愛之也. ‘勞’者, 勤也, 閔其勤勞而慰勞之. ‘勞’亦愛之義, 故論語云 “愛之, 能勿勞乎.” 是‘勞’爲愛也.
言湯勞汝先, 則此所責之臣, 其祖於成湯之世, 已在朝廷. 世仕王朝而不用己命, 故責之深也.


나는 우리 先世의 神明한 임금께서 너희의 조상을 위로하셨던 일을 생각하노니, 내가 너희를 크게 능히 등용한 것은 너희들을 생각해서 그런 것이다.
나 또한 成湯을 본받아서 너희를 크게 등용하고 위로해서 道義를 가지고 너희들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건만, 너희는 나의 명을 어기니, 이는 너희가 너희 선인을 배반한 것이라고 말한 것이다.
經의 [予念]에서 [爾然]까지
○正義曰:나는 우리 先世의 神明한 임금이신 成湯께서 너희 先人을 사랑하고 위로하시던 것을 생각하기 때문에 내가 너희를 크게 능히 등용하여 너희에게 爵位를 주고,
道義를 가지고 너희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었다. 그런데 너희는 나의 명을 어기니, 이는 너희가 너희 先人을 배반하는 것이다.
○傳의 [言我]에서 [先人]까지
○正義曰:≪周易≫ 〈說卦傳〉에서 “神이란 萬物을 신묘하게 함을 말한 것이다.”라고 칭하였다. 殷나라 先世의 神明한 임금으로는 오직 湯임금이 있었을 뿐이기 때문에 ‘神后’는 湯임금을 지칭한다는 것을 〈孔安國이〉 알았다.
아래의 ‘高后’‧‘先后’는 여기의 ‘神后’와 동일한 것이다. ‘神’이란 것은 그 通聖(通達聖明)을 말하고, ‘高’란 것은 그 德尊을 말한다.
여기의 ‘神后’는 ‘先’을 말하였으나 ‘高后’에서는 ‘先’을 생략하고 말하지 않았으며, 그 아래에서는 단지 ‘先后’만 말하고는 또 ‘高’를 생략하고 말하지 않았으니 위를 따라 글을 생략한 것이다.
‘너희 선조를 위로했다.’는 것은 사랑함을 이른다. ‘勞’란 것은 勤의 뜻이니, 그 勤勞를 민망히 여기어 慰勞한 것이다. ‘勞’ 또한 愛의 뜻이기 때문에 ≪論語≫ 〈憲問〉에 “사랑스럽다고 해서 수고로운 일을 시키지 않을 수 있겠느냐”라고 하였으니, 이 ‘勞’는 愛의 뜻이 된다.
湯임금이 너희 선조를 위로했다고 소급해서 말하였으니, 이는 꾸짖음을 받은 신하의 조상이 成湯의 세대에 이미 朝廷에 있었던 것이다. 〈조상들까지〉 대대로 王朝에서 벼슬을 하였건만 자기의 명을 따르지 않기 때문에 심하게 꾸짖은 것이다.


역주
역주1 : 蔡傳에서는 ‘畜養’이란 養의 뜻으로 보았다.
역주2 (后)[明] : 저본에는 ‘后’로 되어 있으나, “下文에 ‘殷之先世神明之君 惟有湯耳’라고 한 것을 살펴보건대 이 句의 ‘后’자도 마땅히 ‘明’자가 되어야 할 듯하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明’으로 바로잡았다.
역주3 (德) : 저본에는 ‘德’자가 있으나, “宋板에는 ‘德’자가 없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衍字로 처리하였다.
역주4 (又略而不言 先其下直言先) : 저본에는 ‘先后’ 아래에 ‘又略而不言 先其下直言先’ 11자가 있으나, “살펴보건대 ‘后’ 아래의 11자는 중복되었으니, 衍文이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5 (此)[追] : 저본에는 ‘此’로 되어 있으나, “毛本에 ‘追’로 되어 있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追’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3)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