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2)

상서정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帝曰 吁 니라 禹曰 兪니이다
[疏]‘禹曰都’至‘曰兪’
○正義曰:禹以皐陶然己, 因歎而戒帝曰 “嗚呼. 帝當謹愼汝所在之位.” 帝受其戒曰 “然.”
禹又戒帝曰 “若欲愼汝在位, 當須先安定汝心好惡所止, 念慮事之微細, 以保安其身, 其輔弼之臣必用正直之人.
若能如此, 惟帝所動, 則天下大應之, 以待帝志. 以明受天之報施, 天其重命帝用美道也.”
帝以禹言已重, 乃驚而言曰 “吁. 臣哉近哉, 臣當親近君也. 近哉臣哉, 君當親近臣也.”
言君臣當相親近, 共與成政道也. 禹應帝曰 “然.” 言君臣宜相親近也.
[疏]○傳‘言愼’至‘直人’
○正義曰:此禹重戒帝, 覆上‘愼乃在位’.
‘當先安好惡所止’, 謂心之所止, 當止好不止惡, 言惡以好也.
大學云 “爲人君止於仁, 爲人臣止於敬.” ‘好惡所止’, 謂此類也.
傳意以上‘惟’爲念, 下‘惟’爲辭, 故云念慮幾微, 然後以保其好惡所安寧耳.
[疏]○傳‘徯待’至‘帝志’
○正義曰:‘徯 待’, 釋詁文. 帝先能自安所止, 心之所止, 止於好事,
其有擧動, 發號出令, 則天下大應之, 順命以待帝志. 謂靜以待命, 有命則從也.
[疏]○傳‘昭明’至‘用美’
○正義曰:堯典已訓昭爲明, 此重訓詳之. 皇天無親, 惟德是輔, 人之所欲, 天必從之.
帝若能安所止, 非但人歸之, 又乃明受天之報施. 天下太平, 祚胤長遠, 是天之報施也.
‘天又重命用美’, 謂四時和祥瑞臻之類也. 或當前後非一, 故傳言‘又’也.
[疏]○傳‘隣近’至‘而成’
○正義曰:周禮 ‘五家爲隣’, 取相近之義, 故隣爲近也. 禹言君當好善, 帝言須得臣力.
再言隣哉, 言君臣之道, 當相須而成. 鄭玄云 “臣哉, 汝當爲我隣哉, 隣哉, 汝當爲我臣哉. 反覆言此, .”


帝舜이 말씀하시기를 “아, 신하가 바로 인근이고 인근이 바로 신하이다.”라고 하니, 禹가 말하기를 “아, 지당한 말씀입니다.”라고 하였다.
隣은 近의 뜻이다. 임금과 신하의 道가 가까워서 서로 기다려(의지해서) 이루어진다는 점을 말한 것이다.
經의 [禹曰都]에서 [曰兪]까지
○正義曰:禹는 皐陶가 자기를 옳게 여겼기 때문에 그로 인하여 탄식하고 帝舜을 경계하기를 “아. 황제께서는 마땅히 당신께서 자리한 지위를 근신하셔야 합니다.”라고 하자, 帝舜은 그 경계를 받아들이고 말씀하시기를 “옳거니.”라고 하셨다.
禹는 또 帝舜을 경계하기를 “만일 당신께서 자리한 지위를 근신하려고 하신다면 마땅히 모름지기 먼저 당신 마음의 좋아하고 미워함이 그칠 바를 안정해야 합니다. 일의 기미를 깊이 생각하여 그 몸을 保安하시고 그 보필하는 신하들은 반드시 정직한 사람을 써야 합니다.
만일 능히 이와 같이 한다면 황제께서 움직였다 하면 천하가 크게 호응하여 황제의 뜻을 기다릴 것입니다. 하늘의 布施를 밝게 받으시면 하늘이 황제에게 아름다운 방법을 써서 거듭 명을 내릴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帝舜은 禹의 말이 워낙 소중하기 때문에 깜짝 놀라면서 말씀하시기를 “아. 신하가 바로 인근이니 신하는 응당 임금을 친근히 해야 한다. 인근이 바로 신하이니 임금은 응당 신하를 친근히 해야 한다.”라고 하였으니,
임금과 신하는 마땅히 서로 친근히 하여 함께 政道를 이루어야 함을 말씀하신 것이다. 禹는 帝舜에 응대해 말하기를 “아, 지당한 말씀입니다.”라고 하였으니, 임금과 신하는 마땅히 친근히 해야 함을 말한 것이다.
○傳의 [言愼]에서 [直人]까지
○正義曰:이는 禹가 帝舜을 거듭 경계하기 위하여 上文의 “당신께서 자리한 〈임금의〉 지위를 삼가소서.[愼乃在位]”라는 말을 반복한 것이다.
[當先安好惡所止] 마음이 그칠 바는 응당 좋아함에 그치고 미워함에 그치지 않아야 함을 이르니, 미워하는 마음으로 좋아하는 체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말한 것이다.
≪禮記≫ 〈大學〉에 “임금이 되면 仁에 그치고 신하가 되면 敬에 그친다.”라고 하였으니, ‘좋아하고 미워함이 그치는 바[好惡所止]’는 이러한 따위를 이른다.
孔傳의 뜻은 위의 惟는 念으로 여기고, 아래의 惟는 어조사로 여겼기 때문에 ‘幾微를 깊이 생각한 연후에 그 좋아하고 미워함의 안녕할 바를 보존한다.’고 한 것이다.
○傳의 [徯待]에서 [帝志]까지
○正義曰:[徯 待] ≪爾雅≫ 〈釋詁〉의 글이다. 皇帝가 먼저 능히 스스로 그칠 바에 안정하면 마음의 그치는 바가 좋은 일에 그치고,
‘거동하며 호령을 한즉 천하가 크게 호응하여 명을 따라 황제의 뜻을 기다린다.’는 것은 조용히 명령을 기다리다가 명령을 하면 곧 따르는 것을 이른다.
○傳의 [昭明]에서 [用美]까지
○正義曰:〈堯典〉에서 이미 昭를 明의 뜻으로 풀이하였는데, 여기서 거듭 풀이하여 자상하게 밝혔다. 皇天은 〈일정하게〉 친함이 없고 오직 덕이 있는 사람만을 도우며, 백성들이 원하는 것을 하늘은 반드시 따른다.
황제가 만일 능히 그칠 바를 안정하면 단지 사람들이 몰려올 뿐만 아니라 또 하늘의 報施를 분명하게 받는다. 천하가 태평하면 복을 장구하게 누리게 되니, 이것이 하늘의 보시이다.
[天又重命用美] 四時가 화평하고 祥瑞가 이르는 따위를 이른다. 혹 앞뒤로 당한 것이 한 번뿐이 아니기 때문에 孔傳에서 ‘또’라고 말한 것이다.
○傳의 [隣近]에서 [而成]까지
○正義曰:≪周禮≫ 〈地官 司徒 遂人〉에 “다섯 집을 隣으로 삼는다.”라고 하였으니, 서로 가까운 뜻을 취했기 때문에 隣을 近이라고 한 것이다. 禹는 “임금님은 마땅히 善을 좋아해야 한다.”고 말하고, 帝舜은 “모름지기 신하의 힘을 얻어야 한다.”라고 말하였다.
두 번 ‘隣哉’라고 말한 것은 임금과 신하의 도리는 응당 서로 의지해서 이루어진다는 점을 말한 것이다. 鄭玄은 “‘臣哉’는 ‘너는 마땅히 나의 이웃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고, ‘隣哉’는 ‘너는 마땅히 나의 신하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반복해서 이것을 말한 것은 〈帝舜이〉 禹로 하여금 그 충심을 들어와서 고하게 하려는 것이었다.”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臣哉隣哉 隣哉臣哉 : 蔡傳에서는 “隣은 좌우에서 보필하는 것이다. 臣은 사람을 가지고 말하고 隣은 직책을 가지고 말한 것이다.[隣 左右輔弼也 臣以人言 隣以職言]”라고 풀이하였다. 그러나 조선후기 李顯益의 ≪正菴集≫ 권8 〈書傳說〉에는 “臣哉는 地分(지위)을 가지고 말하고, 隣哉는 親近을 가지고 말한 것인데, 蔡沈의 ≪書集傳≫에서는 이런 뜻을 빠뜨렸다.”라고 하였다. 蘇軾은 隣을 ‘조정에 있는 신하들[在朝之臣]’로 보았다.
역주2 隣……相須而成 : 林之奇는 ≪尙書全解≫에서 “〈공안국의〉 이 說은 통하지 않는다. 下文에 ‘欽四隣(사방 가까이에 있는 신하들은 그 직책을 경건히 닦게 하고)’이라고 한 말에 의거하면, 그 가리킨 바는 禹의 僚屬인 전후좌우에서 협력하여 임금을 섬기는 자들이다. 臣哉란 반드시 너희 신하들의 도움에 힘입을 것임을 말한 것이니, 이는 아마도 禹를 가리켜 말한 것이리라. 隣哉란 너는 또 응당 그 요속인 전후좌우의 사람들을 거느리고 나의 보좌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역주3 : 문의로 보아 衍字인 것 같다.
역주4 (刑)[形] : 저본에는 ‘刑’으로 되어 있으나, 毛本에 의거하여 ‘形’으로 바로잡았다.
역주5 欲其志心入禹 : 四庫本 ≪尙書注疏≫의 〈考證〉에 “‘欲其志心入禹’ 6字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文義로 미루어보면 마땅히 ‘欲其忠心入告(禹로 하여금 그 충심을 들어와서 고하게 함)’가 되어야 한다.”라고 하였으니, 옳은 것 같다.

상서정의(2)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