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說苑(1)

설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설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8. 封狐文豹之皮者하다
文公喟然歎曰 文豹何罪哉 以其皮爲罪也로다
大夫欒枝曰 地廣而不平하고 財聚而不散이면 獨非狐豹之罪乎잇가
文公曰 善哉로다 說之
欒枝曰 地廣而不平이면 人將平之하고 財聚而不散이면 人將爭之리이다
於是 地以分民하고 散財以賑貧하다


진 문공晉 文公 때에 적인翟人 중에 큰 여우 가죽과 표범 가죽을 바친 자가 있었다.
문공文公이 한숨을 쉬고 탄식하면서 말했다. “큰 여우와 표범은 무슨 죄가 있겠나! 좋은 가죽 때문에 죄가 된 것이지.”
그러자 대부大夫 난지欒枝가 말했다. “땅이 넓은데도 고루 분배分配하지 않고 재물財物이 모였는데도 흩어주지 않으면 어찌 여우와 표범이 당한 죄와 같지 않겠습니까?”
문공은 말했다. “훌륭하구나. 그 말이.”
그러자 난지는 다시 말했다. “땅이 넓은데도 고루 분배하지 않으면 백성들이 고른 분배를 요구할 것이고, 재물이 모였는데도 흩어주지 않으면 백성들이 쟁탈爭奪하려고 할 것입니다.”
이에 땅을 분할分割하여 백성들에게 나누어주고 재물을 흩어서 가난한 사람을 구제하였다.


역주
역주1 翟人 : 고대 중국의 북방에 거주하던 민족 이름으로, 中原 사람이 각 소수민족을 두루 이르는 말로도 쓴다. 翟은 狄과 통용한다.
역주2 〈獻〉 : 저본에는 ‘獻’이 없으나, 《說苑校證》의 “《韓非子》와 《金樓子》에 모두 ‘獻’자가 있다.”는 說에 따라 보충하였다.
역주3 封狐 : 큰 여우를 가리킨다. ‘封’은 ‘크다’는 뜻이다. 《楚辭》 〈離騷〉에 “또 큰 여우를 쏘아 잡기 좋아했다.[又好射夫封狐]”의 王逸 注에 “封狐는 大狐이다.”라 하였다.
역주4 : ‘裂’과 통용한다.
역주5 晉文公時……散財以賑貧 : 저본에는 앞 章에 연결되어 있으나, 《群書拾補》에는 宋‧元本에 모두 別行하였다 하였고, 《說苑校證》에는 明鈔本‧楚府本‧關嘉本에 모두 別行하였다고 하면서 別行한 것을 따라 장을 나누었다.

설원(1)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