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說苑(2)

설원(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설원(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0. 할새 左帶玉具劍하고 右帶하야 左光照右하고 右光照左러라 坐有頃호되 太子不視也하고 又不問也
經侯曰 魏國亦有寶乎
太子曰 有니라
經侯曰 其寶何如
太子曰 主信臣忠하야 百姓하니 此魏之寶也니라
經侯曰 吾所問者 非是之謂也 乃問其器而已니이다
太子曰 有治魏 而市無하고 而道不拾遺하며 在朝 而四隣賢士 無不相因而見하니 此三大夫 乃魏國之大寶니라
於是經侯默然不應이러니 左解玉具하고 右解環佩하야 委之坐하고 愆然而起하야 默然不謝하고 趨而出하야 上車驅去하다
魏太子使騎操劍佩하고 逐與經侯하야 使告經侯曰 吾無德所寶하야 不能爲珠玉所守 此寒不可衣하고 飢不可食하니 無爲遺我賊하라 於是經侯杜門不出이라가 하다


경후經侯 태자太子에게 갈 적에 왼쪽에는 으로 장식한 보검寶劍을 차고, 오른쪽에는 환패環佩를 차고 있어서 왼쪽의 광채는 오른쪽을 비치고, 오른쪽의 광채는 왼쪽을 비쳐 번쩍거렸다. 한참 동안 앉아 있었으나 태자는 그를 거들떠보지도 않았고, 또 그에게 묻지도 않았다.
경후가 말했다. “위나라에도 보물이 있습니까?”
태자가 말했다. “보물이 있지요.”
경후가 말했다. “그 보물은 어떤 것입니까?”
태자가 말했다. “임금은 신의信義가 있고 신하는 충성스러워서 백성들이 임금을 떠받들고 있으니, 이것이 위나라의 보물입니다.”
경후가 말했다. “내가 보물에 대해 물은 것은 이런 걸 말한 것이 아닙니다. 바로 어떤 기물器物인지를 물은 것일 뿐입니다.”
태자가 말했다. “있지요. 도사소徒師沼가 위나라를 다스릴 적에 시장에 물건 값을 속이는 행위가 없었고, 극신郄辛양읍陽邑을 다스릴 적에 길에 흘린 물건을 주워 가는 사람이 없었으며, 망묘芒卯가 조정에 있을 적에 사방 이웃나라의 어진 선비들이 서로 이끌어 뵙지 않은 사람이 없었소. 그러니 이 세 분의 대부大夫는 바로 위나라의 큰 보물입니다.”
이에 경후는 대답을 하지 못하고 잠자코 있더니, 왼쪽에 찼던 옥으로 장식한 검을 풀고, 오른쪽에 찼던 환패를 풀어서 자리에 놓아두고 겸연쩍어하며 일어나 묵묵히 인사말도 하지 않은 채 달려 나가 수레를 타고 말을 몰아 가버렸다.
위 태자가 기사騎士를 시켜 검과 환패를 가지고 쫓아가서 경후에게 돌려주게 하고 경후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게 하였다. “나는 보물로 삼을 이 없어서 이런 주옥珠玉을 지킬 수 없소. 이 물건들은 추워도 옷을 만들어 입을 수 없고, 배가 고파도 먹을 수가 없으니, 나에게 재해災害를 남겨주는 일이 없게 하라.”이에 경후는 두문불출杜門不出하다가 부끄러움을 안고 죽었다.


역주
역주1 經侯往適魏太子 : 經侯는 사람 이름인데, 행적은 미상이다. 魏太子의 행적도 미상이다.
역주2 {羽} : 저본에는 ‘羽’자가 있으나, 《說苑校證》에 “《藝文類聚》 권60‧67과 《太平御覽》 권692의 인용문에 모두 ‘羽’자가 없다.”라고 한 것을 따라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3 (珮環)[環佩] : 저본에는 ‘珮環’으로 되어 있으나, 《說苑校證》에 의거하여 ‘環佩’로 바로잡았다.
역주4 (上戴)[戴上] : 저본에는 ‘上戴’로 되어 있으나, 《群書拾補》에 “《太平御覽》 권146에 ‘戴上’으로 되어 있고, 또 두 군데의 인용문에도 모두 같다.” 하였고, 《說苑校證》에는 “《藝文類聚》의 인용문에 ‘戴之’로 되어 있어서 《群書拾補》의 교정을 따른다.”라고 한 것을 따라 바로잡았다.
역주5 徒師沼 : 魏나라 大夫인 듯한데, 행적은 미상이다.
역주6 豫賈 : 허위로 높은 값을 정하여 고객을 속이는 행위를 말한다. 《荀子 儒效》
역주7 郄辛治陽 : 郄辛은 魏나라 大夫인 듯한데, 행적은 미상이다. 陽은 地名인데, 王鍈의 《說苑全譯》의 注에는, “전국시대 魏나라의 城邑으로, 지금의 山西省 太原市 서북쪽 45리에 있다.” 하였다.
역주8 芒卯 : 본서 권10 〈敬愼〉 18의 주3) 참고.
역주9 (傳死)[愧死] : 저본에는 ‘傳死’로 되어 있으나, 《群書拾補》에는 “‘傳死’ 두 글자는 잘못되었으니, 당연히 衍文이다.” 하였으나 《說苑校證》에 “范本에 ‘傳死’가 ‘愧死’로 되어 있으니, 이것이 옳다.”라고 한 것을 따라 바로잡았다.

설원(2)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