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說苑(2)

설원(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설원(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0. 東渡河라가 中流而溺하니 船人接而出之하야 問曰 今者子欲安之
西閭過曰 欲東說諸侯王이로라
船人掩口而笑하야 曰 子渡河中流而溺이로되 不能自救어늘 安能說諸侯乎
西閭過曰 無以子之所能으로 相傷爲也하라 子獨不聞 價重千金이나 然以之이면 曾不如瓦磚이요 國之寶也 然用之彈이면 曾不如泥丸이며 倚衡負軛而趨 一日千里하니 此至疾也 然使捕鼠 曾不如百錢之狸 하고 試物不知하며 揚刃離金斬羽契鐵斧하니 此至利也 然以之補履 曾不如兩錢之錐니라
今子持楫乘扁舟하고 處廣水之中하며하야 而臨淵流하니 適子之所能耳어니와 若試與子東說諸侯王하야 見一國之主 子之蒙蒙 無異夫未視之狗耳니라


서려과西閭過가 동쪽으로 가서 황하黃河를 건너다가 강물 중간에서 물에 빠지니, 뱃사람이 그를 붙잡아 구출하면서 물었다. “지금 그대는 어디로 가려고 하시오?”
서려과가 말했다. “동쪽으로 가서 제후왕에게 유세하려고 한다네.”
뱃사람이 입을 가리고 웃으며 말했다. “그대는 강물 중간에서 물에 빠졌으나 스스로 구출하지 못했는데, 어떻게 제후들에게 유세한단 말이오?”
서려과가 말했다. “그대가 잘하는 일을 가지고 서로 폄하하지 말라. 그대는 화씨和氏에 관한 일을 듣지 못했는가? 그 가치가 천금千金이나 되지만 이것으로 방추紡錘를 만들면 진흙을 구워 만든 와전瓦磚만 못하고, 수후隨侯의 구슬은 나라의 보물이지만 탄환으로 쓰면 진흙으로 만든 탄환만 못하며, 기기騏驥녹이騄駬는 수레끌채 마구리에 의지하여 멍에를 지고 달리면 하루에 천 리를 가니 이는 지극히 빠르지만, 쥐를 잡게 하면 백전百錢짜리 고양이만 못하고, 간장干將막야鏌鎁을 쳐도 울리지 않고 물건을 시험 삼아 베어도 베어지는지 알지 못하며, 칼날을 휘두르면 금속을 자르고 깃털을 베며 쇠도끼를 끊으니 이는 지극히 날카롭지만, 이것으로 신을 꿰매는 데 쓰면 2전짜리 송곳만 못하다.
지금 그대는 노를 잡아 조각배를 타고 넓은 물 가운데에서 양후陽侯가 일으키는 물결을 맞으며 깊이 흐르는 물을 굽어보고 있으니, 그대의 재능에 딱 들어맞는다. 그러나 만일 한번 그대와 함께 동쪽으로 가 제후왕에게 유세하여 한 나라의 임금을 뵙게 되면 그대의 몽매蒙昧한 모습은 아무것도 보지 못하는 개와 다름이 없을 것이다.”


역주
역주1 西閭過 : 사람 이름인데, 행적은 미상이다.
역주2 和氏之璧 : 춘추시대 楚나라 사람 卞和가 楚山에서 얻은 寶玉이다. 변화가 璞玉을 얻어 厲王에게 바쳤으나 왕을 속였다 하여 왼쪽 발꿈치를 베였고, 武王에게 바쳤으나 오른쪽 발꿈치마저 베였다. 文王 때 비로소 이 박옥을 알아보고 다듬어 천하의 진귀한 玉璧이 되었다. 《韓非子 和氏》‧《淮南子 說山訓》
역주3 間紡 : 물레로 실을 자을 때 실이 감기는 공구의 일종이다. 곧 紡錘로, 처음에는 진흙을 구워서 만들었으나 후대에는 쇠나 나무‧소뼈 등으로 만들었다. 《齊民要術 10》
역주4 隨侯之珠 : 隨侯가 상처 입은 뱀을 약을 발라 치료해주고 그 보답으로 받았다는 전설상의 구슬이다. 隨는 漢水 동쪽의 제후국으로, 지금의 湖北省 隨州市에 있었다. 隋로도 쓴다. 《史記 魯仲連鄒陽列傳》‧《淮南子 覽冥訓》
역주5 騏驥騄駬 : 騏驥와 騄駬로, 둘 다 駿馬의 이름이다. 騄駬는 騄耳로도 쓰는데, 周 穆王이 탔다는 八駿馬의 하나이다. 《楚辭 離騷》‧《竹書紀年 下》‧《史記 秦本紀》
역주6 干將鏌鎁 : 干將과 鏌鎁로, 모두 寶劍 이름이다. 간장은 춘추시대 吳나라의 劍을 만드는 匠人이고 막야는 그의 아내인데, 陽劍인 간장과 陰劍인 막야를 만들어 吳王 闔廬에게 바쳤다 한다. 鏌鎁는 주로 莫耶로 쓴다. 《荀子 性惡》‧《莊子 大宗師》‧《吳越春秋 闔閭內傳》
역주7 拂鐘不錚 : 鐘을 쳐도 울리는 소리가 나지 않는다는 말이다. 拂은 刜과 통용하니, 친다는 뜻이다.
역주8 陽侯之波 : 파도의 神인 陽侯가 일으키는 물결이라는 뜻으로, 물결이나 파도를 이른다. 《戰國策 韓策 2》‧《淮南子 覽冥訓》

설원(2)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