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1)

정관정요집론(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貞觀十五年 遣使詣西域注+使, 去聲, 後同. 西域, 西夷之國也.하여 立葉護한대 未還注+葉, 音攝. 葉護, 突厥大臣之號也, 本曰葉護統. 葉護嗣其兄射匱可汗, 乃號葉護可汗. 是年, 葉護數遣使入貢. 秋七月, 左領軍將軍張大師持節, 即其所號, 立爲可汗, 賜以. 又令人多齎金帛注+令, 平聲, 後同.하여 歷諸國市馬하니 魏徵諫曰
今發使以立可汗爲名이어늘 可汗未定立 即詣諸國市馬하시니 彼必以爲意在市馬 不爲專立可汗注+不爲之爲, 去聲.이리이다
可汗得立이라도 則不甚懷恩이요 不得立이면 則生深怨이며 諸蕃聞之하면 且不重中國이리이다
但使彼國安寧注+使, 如字.이면 則諸國之馬 不求自至리이다
漢文帝有獻千里馬者어늘 曰 吾吉行日三十注+吉行, 謂巡幸祭祀也. 凶行日五十注+凶, 漢書作師. 凶行, 謂出兵行師也.이라
鸞輿在前注+輿, 漢書作旗.하고 屬車在後注+屬, 音囑. 漢因秦制, 大車八十一乘相屬也.하니 吾獨乘千里馬하여 將安之乎注+乘, 平聲. 之, 猶往也.아하고 乃償其道里所費而返之니이다
又光武注+名, 秀, 漢中興之君.有獻千里馬及寶劍者어늘 馬以駕
하고 劍以賜騎士니이다
今陛下凡所施爲注+施, 平聲. 皆邈過三王之上注+邈, 音莫.이어늘 奈何至此欲爲孝文光武之下乎잇가
又魏文帝注+姓曹, 名丕, 操之子也. 受漢禪, 國號魏.求市西域大珠어늘 蘇則注+蘇姓, 則名, 字文師, 扶風人. 仕魏爲侍中.曰 若陛下惠及四海하면 則不求自至어니와 求而得之하면 不足貴也
라하니
陛下縱不能慕漢文之高行注+去聲.이나 可不畏蘇則之正言耶잇가
太宗 遽令止之注+舊本, 此章之首曰貞觀中, 今按標年.하다
【集論】唐氏仲友曰
魏徵之諫 不使蠻夷窺中國也
先王 內中夏而外四夷하여 其待之固有其道矣 後世不爲所亂이면 則爲所窺 皆起於喜功貪利之故
太宗 聖明이로되 猶不免此하고 徵之所言 切中其病이로되 而終唐之世토록 困於亂華하니 可不戒哉
愚按 禹貢曰 織皮 崑崙析支渠捜 西戎即敍라하니 因其織皮之貢而即敍之 大禹之撫四夷也
是宜魏徵之進諫이어늘 幸太宗克從之也


정관貞觀 15년(641)에 사신을 서역西域에 보내注+使(사신)는 거성去聲이다. 뒤에도 같다. 서역西域서이西夷의 국가이다.섭호葉護가한可汗에 책립하게 했는데 채 돌아오기도 전에注+은 음이 이다. 섭호葉護돌궐突厥 대신大臣의 호칭인데 원래는 섭호통葉護統이라 한다. 섭호葉護가 그의 형 사궤가한射匱可汗을 계승하여 섭호가한葉護可汗이라 불렀다. 이해에 섭호葉護가 몇 차례에 사신을 보내 공물을 보냈다. 가을 7월에 좌영군장군左領軍將軍 장대사張大師가 부절을 가지고 가서 그의 호칭을 그대로 사용하여 가한可汗으로 책립한 뒤 을 하사했다. 또다시 사람을 보내 황금과 비단을 많이 준비하여注+(하여금)은 평성平聲이다. 뒤에도 같다. 각국을 다니며 말을 사오게 하자, 위징魏徵이 간언하였다.
“지금 사신을 보낸 것은 가한을 책립하는 것으로 명분을 삼았는데 가한이 확정되기도 전에 바로 서역 각국에 사람을 보내 말을 사오도록 하시니, 저들은 반드시 서역에 사신을 보낸 목적이 말을 사려는 데 있고 가한을 책립하는 데에 있지 않다고 생각할 것입니다注+불위不爲(위하다)는 거성去聲이다..
이런 상황에서 가한이 책립된다고 하더라도 그다지 은혜로 여기지 않을 것이고, 책립되지 않으면 큰 원망을 자아낼 것이며, 여러 이민족異民族 나라들이 이 소문을 듣게 되면 장차 중국中國을 중시하지 않을 것입니다.
단지 저들 나라를 안정시키기만 한다면注+使(하여금)는 본래 음의音義대로 독해한다. 저들 각국의 말은 구하려 하지 않아도 저절로 오게 될 것입니다.
옛날 문제文帝 때에 천리마千里馬를 헌상한 자가 있자, 한 문제가 이르기를 ‘나는 길행吉行일 때는 하루에 30리를 가고注+길행吉行순행巡幸하며 제사 지내는 것을 말한다.흉행凶行일 때는 하루에 50리를 간다注+은 《한서漢書》 〈가연지열전賈捐之列傳〉에 로 되어 있다. 흉행凶行은 싸우기 위해 출병出兵하는 것을 말한다..
난여鸞輿(천자 수레)가 앞에 있고注+輿는 《한서漢書》 〈가연지열전賈捐之列傳〉에 로 되어 있다.촉거屬車(뒤따르는 수레)가 뒤에 있으니注+(잇다)은 음이 이다. 나라가 나라의 제도를 계승하여 대거大車 81을 뒤따르게 하였다. 내가 홀로 천리마를 타고 어디를 간단 말인가.’注+(타다)은 평성平聲이다. (가다)는 과 같다. 하고, 오는 길에 든 비용을 배상하여 돌려보냈습니다.
그리고 광무제光武帝注+광무光武는 이름이 이니, 나라 중흥中興의 군주이다. 때에 천리마와 보검寶劍을 헌상한 자가 있자 말은 고거鼓車를 끌게 하고 검은 기사騎士에게 하사했습니다.
지금 폐하께서 은혜를 베푸시는 일은注+(은혜를 베풀다)는 평성平聲이다. 모두 삼왕三王 위에 저 멀리 앞서 있거늘注+(아득하다)은 음이 이다., 어찌하여 이 점에 있어서는 효문제孝文帝광무제光武帝의 아래가 되려 하십니까.
그리고 문제文帝注+ 문제文帝는〉 이고 이름이 이니, 조조曹操의 아들이다. 나라로부터 제위를 물려받아 국호國號라 하였다.서역西域대주大珠를 사오려 하자 소칙蘇則注+, 은 이름이고, 문사文師이니, 부풍扶風 사람이다. 나라에 벼슬하여 시중侍中을 역임했다. 말하기를 ‘만일 폐하께서 은혜가 천하에 미치면 구하지 않아도 저절로 오겠지만 일부러 구해서 얻게 되면 귀한 것이 되지 못할 것입니다.’라고 하였으니,
폐하께서 비록 한 문제의 숭고한 덕행을 우러러보지 못한다 해도注+(행실)은〉 거성去聲이다. 소칙의 바른말을 두려워하지 않아서야 되겠습니까.”
태종이 바로 멈추게 하였다.注+구본舊本에는 이 장의 첫머리에 ‘정관중貞觀中’이라고 했으나, 지금 《자치통감資治通鑑》에 의거하여 연도를 표기했다.
【集論】唐仲友가 말하였다.
위징魏徵의 간언은 만이蠻夷가 중국을 엿보지 못하도록 하려는 것이다.
선왕先王중하中夏(中華)를 가깝게 여기고 사이四夷를 소원하게 여겨 그들을 대하는 것에 본디 원칙이 있었으나, 후세에 와서 사이四夷가 중국을 어지럽히지 않으면 사이四夷가 중국을 넘본 것은 모두 공을 세우기를 좋아하고 이익을 탐한 데에 기인한 것이다.
태종太宗은 성스럽고 현명한 임금임에도 여전히 이를 면치 못하였고 위징이 말한 것은 그 병폐를 정확히 지적한 것임에도 나라가 끝날 때까지 그들로부터 중화를 혼란에 빠뜨리는 곤란을 겪었으니 경계하지 않아서야 되겠는가.”
내가 살펴보건대, 《서경書經》 〈하서夏書 우공禹貢〉에서, “모직과 가죽은 곤륜산崑崙山, 석지析支, 거수渠捜에서 공물로 바쳤으니, 이들 서융西戎임금의 공효가 미쳐갔다.”라고 하였는데, 모직과 가죽을 공물로 바침으로 인해 멀리 공효가 미쳐 나아갔으니 이것은 위대한 임금이 사이四夷를 감싸 안은 방법이다.
무제武帝명마名馬를 이용하여 대완大宛과 통하였으나 해마다 군사를 동원하는 일을 야기했고, 광무제光武帝는 명마를 물리치고 옥문관玉門關을 걸어 잠궈 서역西域의 사신을 끊었으니 두 임금의 잘잘못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당연히 위징魏徵이 간언을 올렸어야 하는 것인데 다행히 태종太宗이 잘 받아들인 것이다.


역주
역주1 可汗 : 可罕으로도 쓴다. 鮮卑‧柔然‧突厥‧回紇‧蒙古 등에서 최고 통치자의 칭호로 쓰였다.
역주2 鼓車 : 북을 실은 수레이다. 제왕이 외부에 나갈 때에 가지고 가는 儀仗의 하나이다.
역주3 又光武有獻千里馬及寶劍者……劍以賜騎士 : 《後漢書》 권106 〈循吏列傳〉에 관련 내용이 보인다.
역주4 又魏文帝求市西域大珠……不足貴也 : 《三國志》 〈魏志〉 권16 〈蘇則列傳〉에 보인다.
역주5 鼓纛(독) : 북과 기이다. 중국 황제가 少數民族의 우두머리를 책봉할 때 주는 증표이다.
역주6 通鑑 : 《資治通鑑》 권196 唐紀 12 太宗에 보인다.
역주7 漢武因名馬……而致連年之師 : 漢 武帝 때 大宛國과 외교하면서 말을 얻었으나 李廣利가 大宛國을 정벌하여 大宛王의 머리를 베고 汗血馬를 바치자 西極天馬歌를 지은 일이 있었다. 《漢書 권6 武帝紀》
역주8 光武卻名馬……而絶西域之使 : ‘光武卻名馬’의 관련 내용은 《後漢書》 권106 〈循吏列傳〉에, ‘光武絶西域之國’의 관련 내용은 《後漢書》 권78 〈楊終列傳〉에 보인다.

정관정요집론(1) 책은 2019.06.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