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3)

정관정요집론(3)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貞觀二年 太宗謂房玄齡曰 爲人大須學問이라 朕往爲注+① 朕往爲:去聲.群兇未定하여 東西征討 躬親戎事하여 不暇讀書
比來注+② 比來:比, 音鼻.四海安靜하여 身處殿堂注+③ 身處殿堂:處, 上聲.이나 不能自執書卷하여 使人讀而聽之하니 君臣父子 政敎之道 共在書內
古人云 不學이면 墻面이라 莅事惟煩注+④ 不學墻面 莅事惟煩:周書周官之辭.이라하니 不徒言也 却思少小時行事注+⑤ 却思少小時行事:少, 去聲.하니 大覺非也라하다
【集論】愚按 夫子於易之益曰 君子以見善則遷하고 有過則改라하니라
而太宗定天下之亂하고 處帝王之尊하여 乃能知讀書之善하여 而能遷之하고 知少時之過하여 而能改之하니 可謂知爲益之道矣 充是心也 爲益之道하니 豈有窮際乎


정관貞觀 2년(628)에 태종太宗방현령房玄齡에게 말하였다. “사람은 크게 학문을 해야 하오. 은 과거에注+(위하다)는〉 거성去聲이다. 흉악한 자들이 평정되지 않아 동서로 토벌하느라고 몸소 전쟁을 하여 독서할 여가가 없었소.
근래에注+(근래)는 이다. 천하가 안정되어서 몸이 궁전에 머물러 있으나注+(처하다)는 상성上聲이다. 스스로 책을 잡을 수 없어 다른 사람에게 읽게 하고 그것을 듣고 있는데 군신 부자와 정치 교화의 도리가 모두 책 속에 들어 있소.
옛사람이 말하기를 ‘배우지 않으면 담장을 마주하고 있는 것과 같아서, 일을 대함에 있어 번거롭기만 하다.’고 하였으니注+서경書經》 〈주서周書 주관周官〉의 말이다., 헛된 말이 아니요. 문득 젊었을 때 행한 일을 생각하니注+(젊다)는 거성去聲이다. 그 잘못을 크게 깨달았소.”
내가 살펴보건대, 공자孔子가 《주역周易익괘益卦상전象傳〉에 말하기를 “군자가 선을 보면 옮겨가고 허물이 있으면 고친다.” 라고 하였다.
해석자解釋者가 말하기를, “선을 보고 옮겨가면 천하의 선을 극진하게 할 수 있고, 허물이 있어 능히 고치면 허물이 없게 되니, 사람에게 유익함이 이보다 큰 것이 없다.” 라고 하였다. 선에 옮겨가고 허물을 고치는 것은 배우는 자가 어려운 것이다.
그러나 태종이 천하의 난리를 평정하고 제왕의 높은 지위에 처하여 글을 읽는 훌륭함을 알아서 옮겨갈 수 있었고 젊을 때의 과실을 알아서 고칠 수 있었으니 익괘의 도를 알았다고 할 만하다. 이 마음을 가득 채우는 것이 익괘의 도이니 어찌 곤궁할 때가 있겠는가.


역주
역주1 見善能遷……無大於是 : 이는 《周易》 益卦 《程傳》에 보인다.

정관정요집론(3)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