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2)

정관정요집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貞觀十三年 太宗謂侍臣曰
朕聞太平後 必有大亂하고 大亂後 必有太平이라하니 大亂之後 卽是太平之運也
能安天下者 惟在用得賢才로되 公等 旣不知賢하고 朕又不可徧識이라 日復一日 無得人之理하니
今欲令人自擧注+ 今欲令人自擧:令, 平聲. 後同.하니 於事 何如
魏徵對曰 이니知人 旣以爲難이요 自知 誠亦不易注+ 易:以豉切.
且愚暗之人 皆矜能伐善이라 恐長澆競之風注+ 長澆競之風:長, 音掌.하니 不可令其自擧니이다
【集論】愚按 太宗急於得天下之賢이라 於是 有令人自擧之議어늘
魏徵 以爲知人旣難이요 自知不易하니 若令自擧 恐長澆競之風이라하니 誠爲知言也
夫三代盛時 比閭族黨州鄕遞遞하여 而考其德行道藝하여 于王하니 此所謂
世道已降하여 此制不復하고 乃曰令人自擧라하니
吾見其自鬻而已矣 非善論也


정관貞觀 13년(639)에 태종太宗이 근신들에게 말하였다.
“짐이 듣건대 태평한 시대 뒤에는 반드시 큰 혼란이 있고, 큰 혼란이 있은 뒤에는 반드시 태평한 시대가 있다고 하니, 큰 혼란의 뒤에는 바로 태평한 운세인 것이다.
천하를 편안히 할 수 있는 것은 오직 훌륭한 인재를 등용하는 데 달려 있지만, 공들이 이미 훌륭한 인재를 몰라보고 짐도 두루 알지 못하기에 하루하루가 지나도 사람을 얻을 수 있는 이치가 없으니,
지금 사람들에게 스스로 천거하도록 하려고 하는데注+(하여금)은 평성平聲이다. 뒤에도 같다. 이 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오.”
위징魏徵이 대답하였다. “남을 아는 것은 이며, 자신을 아는 것은 이니, 남을 아는 것은 이미 어려운 일이고, 자신을 아는 것도 참으로 쉽지 않습니다.注+(쉽다)는 의 반절이다.
게다가 우매한 사람은 모두 재능과 능력을 자랑하기 때문에 얄팍하게 경쟁만 하는 풍토를 조장할까 두려우니注+(조장하다)은 이다., 자신을 천거하게 해서는 안 됩니다.”
내가 살펴보건대 태종太宗이 천하의 훌륭한 인재를 얻는 것을 시급하게 여겨서 사람들에게 스스로 천거하라는 논의를 하였는데,
위징魏徵이 “남을 아는 것이 이미 어렵고 스스로를 아는 것도 쉽지 않으니, 만일 스스로 천거하게 한다면 얄팍하게 경쟁하는 풍토를 조장할까 두렵습니다.” 라고 말하였으니, 참으로 아는 사람의 말이다.
삼대三代의 융성했을 때 마을과 고을에서 번갈아가며 인물의 덕성‧행실‧도의‧재주를 고찰하여 능력자를 빈객賓客으로 예우하여 께 보고하였으니, 이 제도가 바로 향거이선鄕擧里選이다.
세상의 도가 이미 실추하여 이 제도를 다시 회복하지 못하고 “사람들에게 스스로 천거하도록 하겠다.” 라고 하였는데,
나는 그것이 자신을 파는 일임을 잘 알겠으니, 좋은 논의가 아니다.


역주
역주1 知人者智 自知者明 : 《道德經》 〈辯德〉에 보인다.
역주2 賓興 : 周나라 때 인재를 선발하던 방법으로, 鄕大夫가 그 고을의 小學에서 어질고 유능한 인재를 천거하여 國學에 들어가게 하였는데, 이들을 전송할 때에 賓客으로 예우한 데서 유래하였다. 《周禮 地官 司徒》
역주3 鄕擧里選 : 周나라 때에 鄕마다 鄕大夫를 두어 六德, 六行, 六藝를 가르친 다음, 3년마다 훌륭하고 능력이 있는 자를 중앙에 천거하던 제도이다.

정관정요집론(2)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