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3)

정관정요집론(3)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禮部尙書王珪子敬直 尙太宗女南平公主할새 珪曰 禮有婦見舅姑之儀어늘 自近代風俗弊薄하여 公主出降 此禮皆廢
主上欽明하사 動循法制하시니 吾受公主謁見 豈爲身榮이리오 所以成國家之美耳라하고
遂與其妻就位而坐하여 令公主親執巾하여 行盥饋之道注+① 令公主親執巾 行盥饋之道:令, 平聲. 盥, 音管. 饋, 音匱. 盥, 以盤水沃手也. 左傳 “奉匜沃盥.” 饋, 以食爲餉也. 易家人主中饋. 言婦人職乎中饋, 巽順而已.하고 禮成而退러니
太宗 聞而稱善하다 是後 公主下降 有舅姑者 皆遣備行此禮하다
【集論】唐氏仲友曰 有父子則有舅姑어늘 漢以來尙主者 以貴降其父하니 可謂逆人倫滅天理矣
唐興 猶不行婦禮어늘 王珪正之하니 不亦宜乎
夫人主 以一身爲人倫之主하여 居億兆之上하니 斯則尊無二上也 帝女下降 則婦道也 豈宜以天子之女 而壞五常之大倫乎리오
太宗 能善王珪言하여 使公主行婦禮하니 可謂庶幾乎人倫之主也


예부상서禮部尙書 왕규王珪의 아들 왕경직王敬直태종太宗의 딸 남평공주南平公主에게 장가들 때, 왕규가 말하였다. “에 며느리가 시부모를 뵙는 의식이 있는데, 근대에 들어 풍속이 피폐해져 공주가 시집올 때 이 예절이 모두 폐지됐다.
주상께서 공경하시고 명철하시어 법과 제도를 곧잘 따르고 계시니, 내가 공주의 알현謁見을 받는 것이 어찌 자신의 영광을 위한 것이겠는가. 국가의 미덕을 완성하려 함이다.”
마침내 그의 아내와 함께 자리에 나아가 앉고서 공주로 하여금 친히 수건을 들고, 손을 씻고 음식을 올리는 의례를 행하게 하고注+(하여금)은 평성平聲이다. (씻다)은 이다. (음식을 대접하다)는 이다. 은 대야의 물로 손을 씻는 것이니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희공僖公 23년 조에 “대야를 받들어 손을 씻는다.”라고 했다. 는 음식을 대접하는 것이다. 《주역周易가인괘家人卦가인家人이 집안의 음식을 주관한다고 했으니, 이는 부인婦人이 집안 음식 일을 도맡아, 순응할 뿐이라는 말이다. 의례를 마친 뒤 물러났다.
태종이 이야기를 듣고 훌륭하다고 했다. 그 후로 공주가 시부모가 있는 집안에 시집을 간 경우에는 모두 이 의례를 갖추어 시행하도록 했다.
당중우唐仲友가 말하였다. “아버지와 자식이 있으면 시아버지와 시어머니가 있기 마련인데 나라 이후로 공주에게 장가든 자가 공주의 귀한 신분으로 자신의 아버지를 아래로 낮추었으니, 인륜을 거역하고 천리天理를 소멸시켰다고 할 만하다.
나라가 들어서서도 여전히 며느리의 의례를 행하지 못하였거늘, 왕규王珪가 이를 바로잡았으니 또한 마땅하지 않는가.”
내가 살펴보건대, 옛날엔 왕희王姬(나라 공주)가 제후諸侯에게 시집갈 때 수레와 의복이 그 남편에게 연계되어 왕후王后보다 한 등급이 낮추지 않았지만 여전히 며느리의 의례를 행하여 의젓하고 온화한 을 완성했는데, 후세에 와서 이 의례가 상실됐다.
임금은 하나의 몸으로 인륜의 주인이 되어 만백성의 위에 자리하고 있으니 이는 지존至尊에 둘이 없는 것이다. 하지만 임금의 딸이 아랫사람에게 시집가는 것은 며느리의 도리이니, 어떻게 천자天子의 딸이 되어 오상五常의 큰 윤리를 망가뜨릴 수 있겠는가.
태종太宗왕규王珪의 말을 훌륭하게 여겨 공주로 하여금 며느리의 의례를 행하게 하였으니, 인륜의 주인에 가깝다고 말할 만하다.


역주
역주1 王姬下嫁於諸侯……以成肅雝之德 : 《詩經》 〈召南 何彼穠矣〉의 小序에 보인다. 肅雝은 경건하고 온화한 덕으로, 시집가는 공주의 아름다운 덕을 말한다.

정관정요집론(3)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