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4)

정관정요집론(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貞觀之初 하여
善人所擧 信而任之하고 取其所長하여 恒恐不及이러니
近歲已來 由心好惡注+⑱ 由心好惡:烏去聲.하여
或衆善擧而用之라가 或一人毁而棄之하며 或積年任而用之라가 或一朝疑而遠之하니
夫行有注+⑲ 夫行有素履:夫, 音扶. 行, 去聲, 後同.하고 事有成跡하니
所毁之人 未必可信於所擧 積年之行 不應頓失於一朝注+⑳ 不應頓失於一朝:應, 平聲. 朝, 音昭.니이다
君子之懷 蹈仁義而弘大德하고 小人之性 好讒佞以爲身謀어늘
陛下不審察其根源하고 而輕爲之臧否注+㉑ 而輕爲之臧否:部鄙切.하시니
是使守道者 日疏하고 干求者 日進이라
所以人思苟免하여 莫能盡力이니
此其漸不克終六也니이다


정관貞觀 초에는 현인을 구하기를 갈증이 나는 것처럼 하여,
훌륭한 인물이 천거한 이는 믿어 임용하였고, 그 장점을 취하면서도 〈그 장점을〉 다 받아들이지 못할까 염려하였습니다.
근년 이래로 마음에 좋고 나쁨에 따라서注+(싫어하다)는〉 거성去聲이다.,
많은 선한 자들의 천거로 임용했다가 한 사람의 비방으로 내쫓기도 하거나, 여러 해 동안 신임을 하여 임용했다가 하루아침에 의심하여 멀리하기도 하셨습니다.
행실은 평소 행하던 것이 있고注+(대저)는 이다. (행실)은 거성去聲이다. 뒤에도 같다. 일은 이루어진 자취가 있으니,
헐뜯는 사람은 반드시 천거를 받은 사람보다 믿을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여러 해 동안 쌓은 행실은 하루아침에 갑자기 잃어서는 안 됩니다.注+(응당)은 평성平聲이다. (아침)는 이다.
군자의 마음은 인의를 실천하여 큰 덕을 넓히고, 소인의 성품은 참언과 아첨을 좋아하여 자신을 위하는 계획을 합니다.
그런데 폐하께서는 그 근원을 자세히 살피지 않고 가볍게 좋고 나쁨을 판단하십니다.注+(나쁘다)는〉 의 반절이다.
이는 를 지키는 사람을 날로 소원하게 하고 지위만을 바라는 자를 날로 승진하게 하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사람들이 구차하게 모면하기를 생각하여 능히 힘을 다하는 사람이 없는 것이니,
이것이 끝을 잘 마무리하지 못하는 여섯 번째 조짐입니다.


역주
역주1 求賢如渴 : 《後漢書》 〈左雄傳〉에 보인다.
역주2 素履 : 본래대로 행함을 말한다. 《周易》 履卦 初九爻辭에 “본분대로 해나가면 허물이 없다.[素履往 無咎]”라고 하였다.

정관정요집론(4)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