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書門下는 機要之司라 擢才而居하여 委任實重하니 詔勅에 如有不穩便이면 皆須執論하라
			                         
                        		
                        		
                        		
	                     		
			                       	
			                       	
	                     		
	                     		
		                        
                        	
                        	
                        	
                        	
                        		
                        			
                        			
			                        
			                        	比來
注+比, 音鼻.에 惟覺阿旨順情
하여 唯唯苟過
注+唯唯, 竝音葦.하고 遂無一言諫諍者
하니 豈是道理
리오 
                        		
                        		
                        		
	                     		
			                       	
			                       	
	                     		
	                     		
		                        
                        	
                        	
                        	
                        	
                        		
                        			
                        			
			                        
                        		
                        		
                        		
	                     		
			                       	
			                       	
	                     		
	                     		
		                        
                        	
                        	
                        	
                        	
                        		
                        			
                        			
			                        
                        		
                        		
                        		
	                     		
			                       	
			                       	
	                     		
	                     		
		                        
                        	
                        	
                        	
                        	
                        		
                        			
                        			
			                        
			                        	自今詔勅
에 疑有不穩便
이어든 必須執言
하여 無得妄有畏懼
하여 知而寢默
注+按, 通鑑 “是年四月, 上始御太極殿, 謂侍臣曰 ‘云云.’ 房玄齡等皆頓首謝. 故事凡軍國大事, 則中書舍人各執所見, 雜署其名, 謂之五花判事. 中書侍郎‧中書令, 省審之, 給事中‧黄門侍郎, 駁正之. 上始申明舊制, 由是鮮有敗事.”하라 
                        		
                        		
                        		
	                     		
			                       	
			                       	
	                     		
	                     		
		                        
                        	
                        	
                        	
                        	
                        		
                        			
                        			
			                        
                        		
                        		
                        		
	                     		
			                       	
			                       	
	                     		
	                     		
		                        
                        	
                        	
                        	
                        	
                        		
                        			
                        			
			                        
			                        	朝廷設官分職은 非徒使上下相從이라 欲交修其所不逮也라
			                         
                        		
                        		
                        		
	                     		
			                       	
			                       	
	                     		
	                     		
		                        
                        	
                        	
                        	
                        	
                        		
                        			
                        			
			                        
			                        	故
이라하니 苟取充位而奉行上令
하면 則是胥史而已
라 
                        		
                        		
                        		
	                     		
			                       	
			                       	
	                     		
	                     		
		                        
                        	
                        	
                        	
                        	
                        		
                        			
                        			
			                        
			                        	不明之君이 自以無過로惡人之言이라 是以政亂而上不聞이라
			                         
                        		
                        		
                        		
	                     		
			                       	
			                       	
	                     		
	                     		
		                        
                        	
                        	
                        	
                        	
                        		
                        			
                        			
			                        
                        		
                        		
                        		
	                     		
			                       	
			                       	
	                     		
	                     		
		                        
                        	
                        	
                        	
                        	
                        		
                        			
                        			
			                        
                        		
                        		
                        		
	                     		
			                       	
			                       	
	                     		
	                     		
		                        
                        	
                        	
                        	
                        	
                        		
                        			
                        			
			                        
                        		
                        		
                        		
	                     		
			                       	
			                       	
	                     		
	                     		
		                        
                        	
                        	
                        	
                        	
                        		
                        			
                        			
			                        
			                        	蓋朝廷之上
에 하고 論難往來
하여 務求至當
이 此諤諤之風也
니 
                        		
                        		
                        		
	                     		
			                       	
			                       	
	                     		
	                     		
		                        
                        	
                        	
                        	
                        	
                        		
                        			
                        			
			                        
			                        	朝廷以諤諤爲風하면 則正人進而佞人退하니 安得而不昌乎리오
			                         
                        		
                        		
                        		
	                     		
			                       	
			                       	
	                     		
	                     		
		                        
                        	
                        	
                        	
                        	
                        		
                        			
                        			
			                        
			                        	其或君臣上下가 有非不諫하고 務相順從하여 以爲雷同이 此唯唯之風也니
			                         
                        		
                        		
                        		
	                     		
			                       	
			                       	
	                     		
	                     		
		                        
                        	
                        	
                        	
                        	
                        		
                        			
                        			
			                        
			                        	朝廷以唯唯爲風이면 則佞人進而君子退하니 安得而不亡乎아
			                         
                        		
                        		
                        		
	                     		
			                       	
			                       	
	                     		
	                     		
		                        
                        	
                        	
                        	
                        	
                        		
                        			
                        			
			                        
                        		
                        		
                        		
	                     		
			                       	
			                       	
	                     		
	                     		
		                        
                        	
                        	
                        	
                        	
                        		
                        			
                        			
			                        
			                        	秦人은 唯唯而亡하고 漢家는 諤諤而昌하며 隋人은 唯唯而亡하고 唐家는 諤諤而昌하니
			                         
                        		
                        		
                        		
	                     		
			                       	
			                       	
	                     		
	                     		
		                        
                        	
                        	
                        	
                        	
                        		
                        			
                        			
			                        
                        		
                        		
                        		
	                     		
			                       	
			                       	
	                     		
	                     		
		                        
                        	
                        	
                        	
                        	
                        		
                        			
                        			
			                        
			                        	愚按 舜命龍作納言曰 
하라하거늘 說者謂後世中書門下之職
이 卽納言也
라하니 
                        		
                        		
                        		
	                     		
			                       	
			                       	
	                     		
	                     		
		                        
                        	
                        	
                        	
                        	
                        		
                        			
                        			
			                        
			                        	夫出者는 受上言하여 以宣於下요 納者는 聽下言하여 以聞於上이며 而允者는 當於理之謂也라
			                         
                        		
                        		
                        		
	                     		
			                       	
			                       	
	                     		
	                     		
		                        
                        	
                        	
                        	
                        	
                        		
                        			
                        			
			                        
			                        	下情上達하고 上情下孚하여 一切以帝命之公으로 而無讒說之私하니 此非擇才면 不能也라
			                         
                        		
                        		
                        		
	                     		
			                       	
			                       	
	                     		
	                     		
		                        
                        	
                        	
                        	
                        	
                        		
                        			
                        			
			                        
                        		
                        		
                        		
	                     		
			                       	
			                       	
	                     		
	                     		
		                        
                        	
                        	
                        	
                        	
                   			
                        	
                        	
                        	
                        	
	                       	
	                       	
	                       	
	                       	
							                       	
	                        
	                        
	                        	
	                        
	                        	
	                        		
	                        	
	                        
	                        	
	                        
	                        	
	                        		
	                        	
	                        
	                        	
	                        
	                        	
	                        		
	                        	
	                        
	                        	
	                        
	                        	
	                        		
	                        	
	                        
	                        	
	                        
	                        	
	                        		
	                        	
	                        
	                        	
	                        
	                        	
	                        		
	                        	
	                        
	                        	
	                        
	                        	
	                        
	                        	
	                        
	                        	
	                        
	                        	
	                        
	                        	
	                        
	                        	
	                        
	                        	
	                        
	                        	
	                        
	                        	
	                        
	                        	
	                        
	                        	
	                        
	                        	
	                        
	                        	
	                        
	                        	
	                        
	                        	
	                        
	                        	
	                        
	                        	
	                        
	                        	
	                        
	                        	
	                        
	                        	
	                        
	                        	
	                        
	                        	
	                        
	                        	
	                        
	                        	
	                        
	                        	
	                        
	                        	
	                        
	                        	
	                        
	                        	
	                        
	                        	
	                        
	                        	
	                        
	                        	
	                        
	                        	
	                        
	                        	
	                        
	                        	
	                        
	                        	
	                        
	                        
	                        
                        	
		                        
		                        
		                        
		                        
                        		
                        	
		                        
		                        
		                        
		                        	
		                        	
		                        
		                        
                        		
                        		
                        			
			                        
			                        	정관 3년(629)에 태종太宗이 근신에게 말하였다.
			                              
                        			
                        		
                        		
	                     		
			                       	
			                       	
	                     		
		                        
                        	
		                        
		                        
		                        
		                        
                        		
                        	
		                        
		                        
		                        
		                        	
		                        	
		                        
		                        
                        		
                        		
                        			
			                        
			                        	“중서성中書省과 문하성門下省은 중요한 기밀을 담당하는 관청이라, 인재를 발탁하여 자리에 두어 임무를 맡긴 것이 실로 중요하니, 조칙에 만일 온당하지 않은 것이 있으면 모두 반드시 논의해야 하오.
			                              
                        			
                        		
                        		
	                     		
			                       	
			                       	
	                     		
		                        
                        	
		                        
		                        
		                        
		                        
                        		
                        	
		                        
		                        
		                        
		                        	
		                        	
		                        
		                        
                        		
                        		
                        			
			                        
			                        	근래에
注+비比(근래)는 음이 비鼻이다. 오직 나의 뜻에 아첨하며 나의 뜻만 따라서, ‘예예’라고만 하여 구차하게 넘어갈 줄만 알아
注+유유唯唯는 모두 음이 위葦이다. 마침내 한마디도 간쟁하는 이가 없으니, 어찌 이것이 도리이겠소.
      
                        			
                        		
                        		
	                     		
			                       	
			                       	
	                     		
		                        
                        	
		                        
		                        
		                        
		                        
                        		
                        	
		                        
		                        
		                        
		                        	
		                        	
		                        
		                        
                        		
                        		
                        			
			                        
			                        	만약 조칙에 서명하고 문서를 돌리는 일뿐이라면 어느 사람인들 감당하지 못하겠소.
			                              
                        			
                        		
                        		
	                     		
			                       	
			                       	
	                     		
		                        
                        	
		                        
		                        
		                        
		                        
                        		
                        	
		                        
		                        
		                        
		                        	
		                        	
		                        
		                        
                        		
                        		
                        			
			                        
			                        	어찌 번거롭게 인재를 선발하여 맡길 것이 있겠소.
			                              
                        			
                        		
                        		
	                     		
			                       	
			                       	
	                     		
		                        
                        	
		                        
		                        
		                        
		                        
                        		
                        	
		                        
		                        
		                        
		                        	
		                        	
		                        
		                        
                        		
                        		
                        			
			                        
			                        	지금부터 조칙에 온당하지 않은 부분이 있다고 의심이 되면 반드시 지적해 말하고, 망령되이 두려워하여 알면서도 침묵하지 않도록 하시오.”
注+살펴보건대 《자치통감資治通鑑》에 “이해 4월에 태종太宗이 처음으로 태극전太極殿에 행차하여 근신에게 ‘……’라고 하니, 방현령房玄齡 등이 모두 머리를 조아리고 사례하였다. 고사故事에 무릇 군국軍國의 큰일은 중서사인中書舍人이 〈각각 의견이 다를 경우 문서에 찌를 붙여〉 각각 의견을 제시하고 그 이름을 함께 서명하는 것을 오화판사五花判事라고 하였다. 중서시랑中書侍郎과 중서령中書令이 이것을 심리하고 급사중給事中과 황문시랑黄門侍郎이 논박하여 바로잡았다. 태종이 처음으로 옛날 제도를 거듭 밝히니 이로 말미암아 그르치는 일이 적게 되었다.”      
                        			
                        		
                        		
	                     		
			                       	
			                       	
	                     		
		                        
                        	
		                        
		                        
		                        
		                        
                        		
                        	
		                        
		                        
		                        
		                        	
		                        	
		                        		
		                        		
		                        	
		                        
		                        
                        		
                        		
                        			
			                             
                        			
                        		
                        		
	                     		
			                       	
			                       	
	                     		
		                        
                        	
		                        
		                        
		                        
		                        
                        		
                        	
		                        
		                        
		                        
		                        	
		                        	
		                        		
		                        		
		                        	
		                        
		                        
                        		
                        		
                        			
			                        
			                        	“조정에 관원을 두고 직책을 나눈 것은 상하가 서로 따르게 할 뿐만 아니라 부족한 것을 번갈아 보충하려고 한 것이다.
			                              
                        			
                        		
                        		
	                     		
			                       	
			                       	
	                     		
		                        
                        	
		                        
		                        
		                        
		                        
                        		
                        	
		                        
		                        
		                        
		                        	
		                        	
		                        		
		                        		
		                        	
		                        
		                        
                        		
                        		
                        			
			                        
			                        	그러므로 《서경書經》 〈하서夏書 윤정胤征〉에 ‘모든 관원이 각기 직책을 닦아 군주를 보필한다.’라고 하였으니 구차히 자리만 차지하고 임금의 명령을 받들어 행하기만 하면 이는 서사胥史(胥吏)일 뿐이다.
			                              
                        			
                        		
                        		
	                     		
			                       	
			                       	
	                     		
		                        
                        	
		                        
		                        
		                        
		                        
                        		
                        	
		                        
		                        
		                        
		                        	
		                        	
		                        		
		                        		
		                        	
		                        
		                        
                        		
                        		
                        			
			                        
			                        	명철하지 못한 임금은 스스로 과실이 없다고 하고 남의 말을 싫어하기 때문에 정사가 어지러워져도 임금이 듣지 못한다.
			                              
                        			
                        		
                        		
	                     		
			                       	
			                       	
	                     		
		                        
                        	
		                        
		                        
		                        
		                        
                        		
                        	
		                        
		                        
		                        
		                        	
		                        	
		                        		
		                        		
		                        	
		                        
		                        
                        		
                        		
                        			
			                        
			                        	태종太宗이 조칙으로 요구하여 근신들에게 말을 하도록 하였으니, 비록 다스려지지 않기를 원해도 다스려지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무왕武王은 신하들이 직언으로 간쟁하여 창성하였고, 상商나라 주왕紂王은 신하들이 예예 하고 따르기만 해서 망하였다.
			                              
                        			
                        		
                        		
	                     		
			                       	
			                       	
	                     		
		                        
                        	
		                        
		                        
		                        
		                        
                        		
                        	
		                        
		                        
		                        
		                        	
		                        	
		                        		
		                        		
		                        	
		                        
		                        
                        		
                        		
                        			
			                        
			                        	조정에서는 화합하되 부화뇌동하지 않고 의견을 주고 받아 지극히 당연한 것을 구하는 것이 직언으로 간쟁하는 기풍이다.
			                              
                        			
                        		
                        		
	                     		
			                       	
			                       	
	                     		
		                        
                        	
		                        
		                        
		                        
		                        
                        		
                        	
		                        
		                        
		                        
		                        	
		                        	
		                        		
		                        		
		                        	
		                        
		                        
                        		
                        		
                        			
			                        
			                        	조정에서 직언으로 간쟁하는 것을 기풍으로 삼으면 바른 사람이 나오고 아첨하는 사람은 물러가니, 어찌 창성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혹은 임금과 신하, 윗사람과 아랫사람 사이에 잘못이 있어도 간쟁하지 않고 힘써 서로 순종하여 부화뇌동하는 것이 예예 하는 기풍이다.
			                              
                        			
                        		
                        		
	                     		
			                       	
			                       	
	                     		
		                        
                        	
		                        
		                        
		                        
		                        
                        		
                        	
		                        
		                        
		                        
		                        	
		                        	
		                        		
		                        		
		                        	
		                        
		                        
                        		
                        		
                        			
			                        
			                        	조정에서 예예 하는 것으로 기풍을 삼으면 아첨하는 사람은 나오고 군자는 물러가니, 어찌 망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이러한 도리는 어찌 무왕武王과 주왕紂王만 그러하였겠는가?
			                              
                        			
                        		
                        		
	                     		
			                       	
			                       	
	                     		
		                        
                        	
		                        
		                        
		                        
		                        
                        		
                        	
		                        
		                        
		                        
		                        	
		                        	
		                        		
		                        		
		                        	
		                        
		                        
                        		
                        		
                        			
			                        
			                        	진秦나라 사람은 예예 하여 망하였고 한漢나라는 직언으로 간쟁하여 창성하였으며, 수隋나라 사람은 예예 하여 망하였고 당唐나라는 직언으로 간쟁하여 창성하였다.
			                              
                        			
                        		
                        		
	                     		
			                       	
			                       	
	                     		
		                        
                        	
		                        
		                        
		                        
		                        
                        		
                        	
		                        
		                        
		                        
		                        	
		                        	
		                        		
		                        		
		                        	
		                        
		                        
                        		
                        		
                        			
			                        
			                        	예예 하여 망하지 않은 자는 없고 직언으로 간쟁하여 창성하지 않은 자도 없다.”
			                              
                        			
                        		
                        		
	                     		
			                       	
			                       	
	                     		
		                        
                        	
		                        
		                        
		                        
		                        
                        		
                        	
		                        
		                        
		                        
		                        	
		                        	
		                        		
		                        		
		                        	
		                        
		                        
                        		
                        		
                        			
			                        
			                        	내가 살펴보건대, 순舜임금이 용龍을 납언納言에 임명하고 말하기를 “밤낮으로 나의 명령을 출납出納할 때 진실하게 하라.[允]”고 하였는데, 해석하는 자가 “후세의 중서성中書省과 문하성門下省의 직책이 곧 납언이다.”라고 하였다.
			                              
                        			
                        		
                        		
	                     		
			                       	
			                       	
	                     		
		                        
                        	
		                        
		                        
		                        
		                        
                        		
                        	
		                        
		                        
		                        
		                        	
		                        	
		                        		
		                        		
		                        	
		                        
		                        
                        		
                        		
                        			
			                        
			                        	출出은 임금의 말을 받아서 아래에 전달하는 것이고, 납納은 아랫사람들의 말을 듣고서 임금에게 보고하는 것이며, 윤允은 이치에 부합하는 것을 말한다.
			                              
                        			
                        		
                        		
	                     		
			                       	
			                       	
	                     		
		                        
                        	
		                        
		                        
		                        
		                        
                        		
                        	
		                        
		                        
		                        
		                        	
		                        	
		                        		
		                        		
		                        	
		                        
		                        
                        		
                        		
                        			
			                        
			                        	아랫사람들의 뜻이 임금에게 전달되고 임금의 뜻이 아랫사람들에게 믿음을 받아 일체 임금의 명령이 공평하였기 때문에 참소하는 사사로움이 없으니, 이는 인재를 발탁하지 않으면 불가능하다.
			                              
                        			
                        		
                        		
	                     		
			                       	
			                       	
	                     		
		                        
                        	
		                        
		                        
		                        
		                        
                        		
                        	
		                        
		                        
		                        
		                        	
		                        	
		                        		
		                        		
		                        	
		                        
		                        
                        		
                        		
                        			
			                        
			                        	저 임금의 비위를 맞추며 임금의 뜻을 따르고 예예 하며 구차하게 모면하는 것이 어찌 〈왕명王命을 출납할 때〉 ‘진실하게 하라.’는 참된 뜻이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