煬帝는 豈不以下無忠臣하여 身不聞過하여 惡積禍盈하여 滅亡斯及가
			                         
                        		
                        		
                        		
	                     		
			                       	
			                       	
	                     		
	                     		
		                        
                        	
                        	
                        	
                        	
                        		
                        			
                        			
			                        
			                        	若人主所行不當이로되 臣下又無匡諫하고 苟在阿順하여 事皆稱美하면 則君爲暗主하고 臣爲諛臣하리니 君暗臣諛면 危亡不遠이라
			                         
                        		
                        		
                        		
	                     		
			                       	
			                       	
	                     		
	                     		
		                        
                        	
                        	
                        	
                        	
                        		
                        			
                        			
			                        
			                        	朕은 今志在君臣上下가 各盡至公하여 共相切磋하여 以成理道하니 公等은 各宜務盡忠讜하여 匡救朕惡하라
			                         
                        		
                        		
                        		
	                     		
			                       	
			                       	
	                     		
	                     		
		                        
                        	
                        	
                        	
                        	
                        		
                        			
                        			
			                        
                        		
                        		
                        		
	                     		
			                       	
			                       	
	                     		
	                     		
		                        
                        	
                        	
                        	
                        	
                        		
                        			
                        			
			                        
			                        	【集論】愚按 太宗之問은 歸咎於君하고 如晦之對는 歸罪於臣하니 可謂兩得其道矣라
			                         
                        		
                        		
                        		
	                     		
			                       	
			                       	
	                     		
	                     		
		                        
                        	
                        	
                        	
                        	
                        		
                        			
                        			
			                        
			                        	蓋君知所以歸咎於君이면 則爲君也에 必能盡君之道하고 臣知所以歸咎於臣하면 則爲臣也에 必能盡臣之道矣니 太宗이 君臣辭令之間에 豈非兩得其道哉아
			                         
                        		
                        		
                        		
	                     		
			                       	
			                       	
	                     		
	                     		
		                        
                        	
                        	
                        	
                        	
                        		
                        			
                        			
			                        
			                        	然太宗이 因是而求言於臣하여 謂終不以直言忤意로 輒相責怒라하니 可謂尤賢也已로다
			                         
                        		
                        		
                        		
	                     		
			                       	
			                       	
	                     		
	                     		
		                        
                        	
                        	
                        	
                        	
                        		
                        			
                        			
			                        
			                        	況斯時也에 正年穀豐熟하여 百姓樂生하고 邇安內肅하여 上恬下熙라
			                         
                        		
                        		
                        		
	                     		
			                       	
			                       	
	                     		
	                     		
		                        
                        	
                        	
                        	
                        	
                        		
                        			
                        			
			                        
                        		
                        		
                        		
	                     		
			                       	
			                       	
	                     		
	                     		
		                        
                        	
                        	
                        	
                        	
                        		
                        			
                        			
			                        
			                        	制治于未亂하고 保邦于未危는 此古先哲王處治安之大猷也니 太宗有焉이라
			                         
                        		
                        		
                        		
	                     		
			                       	
			                       	
	                     		
	                     		
		                        
                        	
                        	
                        	
                        	
                   			
                        	
                        	
                        	
                        	
	                       	
	                       	
	                       	
	                       	
							                       	
	                        
	                        
	                        	
	                        
	                        	
	                        		
	                        	
	                        
	                        	
	                        
	                        	
	                        		
	                        	
	                        
	                        	
	                        
	                        	
	                        		
	                        	
	                        
	                        	
	                        
	                        	
	                        		
	                        	
	                        
	                        	
	                        
	                        	
	                        		
	                        	
	                        
	                        	
	                        
	                        	
	                        		
	                        	
	                        
	                        	
	                        
	                        	
	                        		
	                        	
	                        
	                        	
	                        
	                        	
	                        
	                        	
	                        
	                        	
	                        
	                        	
	                        
	                        	
	                        
	                        	
	                        
	                        	
	                        
	                        	
	                        
	                        	
	                        
	                        	
	                        
	                        	
	                        
	                        
	                        
                        	
		                        
		                        
		                        
		                        
                        		
                        	
		                        
		                        
		                        
		                        	
		                        	
		                        
		                        
                        		
                        		
                        			
			                             
                        			
                        		
                        		
	                     		
			                       	
			                       	
	                     		
		                        
                        	
		                        
		                        
		                        
		                        
                        		
                        	
		                        
		                        
		                        
		                        	
		                        	
		                        
		                        
                        		
                        		
                        			
			                             
                        			
                        		
                        		
	                     		
			                       	
			                       	
	                     		
		                        
                        	
		                        
		                        
		                        
		                        
                        		
                        	
		                        
		                        
		                        
		                        	
		                        	
		                        
		                        
                        		
                        		
                        			
			                        
			                        	임금은 반드시 충직하고 현명한 신하의 보필이 있어야만 자신이 편안하고 국가가 편안할 수 있소.
			                              
                        			
                        		
                        		
	                     		
			                       	
			                       	
	                     		
		                        
                        	
		                        
		                        
		                        
		                        
                        		
                        	
		                        
		                        
		                        
		                        	
		                        	
		                        
		                        
                        		
                        		
                        			
			                        
			                        	그런데 수隋 양제煬帝는 어찌 아래에 충신이 없어 자신의 과실을 지적하는 말을 듣지 못하였기 때문에 악이 쌓이고 재앙이 넘쳐 멸망이 바로 닥친 것이 아니겠소.
			                              
                        			
                        		
                        		
	                     		
			                       	
			                       	
	                     		
		                        
                        	
		                        
		                        
		                        
		                        
                        		
                        	
		                        
		                        
		                        
		                        	
		                        	
		                        
		                        
                        		
                        		
                        			
			                        
			                        	만일 임금이 행하는 것이 합당하지 않은데 신하 또한 이를 바로잡지는 않고 구차하게 비위를 맞추고 순종하여 하는 일마다 훌륭하다고만 치켜세우면, 임금은 어두운 임금이 되고 신하는 아첨하는 신하가 될 것이니, 임금은 어둡고 신하는 아첨하면 위기와 멸망이 멀지 않을 것이오.
			                              
                        			
                        		
                        		
	                     		
			                       	
			                       	
	                     		
		                        
                        	
		                        
		                        
		                        
		                        
                        		
                        	
		                        
		                        
		                        
		                        	
		                        	
		                        
		                        
                        		
                        		
                        			
			                        
			                        	지금 짐의 뜻은 임금과 신하, 위와 아래가 각자 지극히 공평한 마음을 힘껏 발휘하여 서로 절차탁마해서 다스리는 도리를 완성하는 데에 있으니, 공들은 각자 최선을 다해 충직한 말로 짐의 잘못을 바로잡도록 하시오.
			                              
                        			
                        		
                        		
	                     		
			                       	
			                       	
	                     		
		                        
                        	
		                        
		                        
		                        
		                        
                        		
                        	
		                        
		                        
		                        
		                        	
		                        	
		                        
		                        
                        		
                        		
                        			
			                        
			                        	나는 결코 올곧은 말이 나의 비위에 거슬린다고 해서 바로 꾸짖거나 노여워하지 않을 것이오.”
			                              
                        			
                        		
                        		
	                     		
			                       	
			                       	
	                     		
		                        
                        	
		                        
		                        
		                        
		                        
                        		
                        	
		                        
		                        
		                        
		                        	
		                        	
		                        		
		                        		
		                        	
		                        
		                        
                        		
                        		
                        			
			                        
			                        	내가 살펴보건대, 태종太宗의 물음은 임금에게 그 책임을 돌렸고 두여회杜如晦의 대답은 신하에게 책임을 돌렸으니, 둘 다 그 도리를 얻었다 할 만하다.
			                              
                        			
                        		
                        		
	                     		
			                       	
			                       	
	                     		
		                        
                        	
		                        
		                        
		                        
		                        
                        		
                        	
		                        
		                        
		                        
		                        	
		                        	
		                        		
		                        		
		                        	
		                        
		                        
                        		
                        		
                        			
			                        
			                        	임금이 임금에게 책임을 돌릴 줄을 안다면 임금 노릇을 할 때 반드시 임금의 도리를 다하게 되고, 신하가 신하에게 책임을 돌릴 줄을 안다면 신하 노릇을 할 때 반드시 신하의 도리를 다하게 되니, 태종은 임금과 신하가 말을 주고받는 즈음에 둘 다 그 도리를 얻은 것이 아니겠는가.
			                              
                        			
                        		
                        		
	                     		
			                       	
			                       	
	                     		
		                        
                        	
		                        
		                        
		                        
		                        
                        		
                        	
		                        
		                        
		                        
		                        	
		                        	
		                        		
		                        		
		                        	
		                        
		                        
                        		
                        		
                        			
			                        
			                        	그런데 태종이 이를 통해 신하에게 간언을 요구하여 ‘끝내 올곧은 말이 나의 비위에 거슬린다고 해서 바로 꾸짖거나 노여워하지 않겠다.’고 했으니, 더욱더 훌륭하다 하겠다.
			                              
                        			
                        		
                        		
	                     		
			                       	
			                       	
	                     		
		                        
                        	
		                        
		                        
		                        
		                        
                        		
                        	
		                        
		                        
		                        
		                        	
		                        	
		                        		
		                        		
		                        	
		                        
		                        
                        		
                        		
                        			
			                        
			                        	더구나 이때에 마침 풍년이 들어 백성이 삶을 즐기고 가까운 지역 사람들이 편안하고 경내가 다스려져 윗사람은 안정되고 아랫사람은 윤택했다.
			                              
                        			
                        		
                        		
	                     		
			                       	
			                       	
	                     		
		                        
                        	
		                        
		                        
		                        
		                        
                        		
                        	
		                        
		                        
		                        
		                        	
		                        	
		                        		
		                        		
		                        	
		                        
		                        
                        		
                        		
                        			
			                        
			                        	태종이 바야흐로 제왕의 도를 시행하여 이미 효험을 봤다는 말을 하였으니 참으로 근신에게 자신의 잘못을 바로잡아주는 유익함을 기대한 것이 마땅하다.
			                              
                        			
                        		
                        		
	                     		
			                       	
			                       	
	                     		
		                        
                        	
		                        
		                        
		                        
		                        
                        		
                        	
		                        
		                        
		                        
		                        	
		                        	
		                        		
		                        		
		                        	
		                        
		                        
                        		
                        		
                        			
			                        
			                        	혼란이 오기 전에 다스림을 정비하고, 위기가 오기 전에 나라를 보전하는 것은 옛 훌륭한 왕들이 국가의 안녕을 정착시키는 큰 계책인데, 태종에게 이러한 점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