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3)

정관정요집론(3)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貞觀十六年 太宗每與公卿言及古道할새 必詰難往復注+① 必詰難往復:難, 去聲.하니 散騎常侍劉洎上書諫曰
帝王之與凡庶 聖哲之與庸愚 上下相懸하여 擬倫斯絶하니 是知以至愚而對至聖이요 以極卑而對極尊하여 徒思自强이라도 不可得也니이다
陛下降恩旨하고 假慈顔하사 以聽其言하시고 虛襟以納其說이라도 猶恐群下未敢對揚이어늘
況動神機하고 縱天辯하사 飾辭以折其理하시고 援古以排其議하시니 欲令凡蔽注+② 欲令凡蔽:令, 平聲.何階應答이리잇고


정관貞觀 16년(645)에 태종太宗공경公卿들과 함께 옛날 도리를 말할 때마다 반드시 힐난하기를 반복하니注+(논박하다)은 거성去聲이다. 산기상시散騎常侍 유계劉洎가 글을 올려 간하였다.
“제왕과 범인, 성현과 우매한 자는 상하가 서로 현격하여 비교하지 못할 지경이니, 이는 지극히 우매한 자가 지극한 성인을 대하고 지극히 낮은 자가 지극히 존귀한 사람을 대하여 스스로 노력하기를 생각하더라도 할 수 없는 것을 압니다.
폐하께서 은혜를 베풀고 자애로운 안색을 하시어 가만히 않은 채로 신하의 말을 들어주시고, 마음을 비워 그 의견을 받아들이시더라도 많은 신하들이 감히 폐하께 의견을 펴지 못할까 염려됩니다.
하물며 폐하께서 신묘한 지혜를 내시고, 타고난 언변을 거침없이 구사하시면서 말을 꾸며 신하의 논리를 꺾고, 옛일을 근거하여 신하의 의론을 물리치시니 평범하고 구태의연한 자들이注+(하여금)은 평성平聲이다. 무슨 방법으로 응답하게 하려 하십니까.


역주
역주1 凝旒 : 면류관 구슬줄이 정지하여 움직이지 않는다는 뜻으로, 제왕이 조용히 자리 잡고 있음을 말한다.

정관정요집론(3)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