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2)

정관정요집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貞觀二年 太宗 謂房玄齡等曰
朕比見注+ 朕比見:比, 音鼻.隋代遺老하니 咸稱善爲相者注+ 咸稱高熲善爲相者:相, 去聲. 後同. 高熲, 字昭玄, 隋之賢相, 煬帝以其忠諫爲謗訕, 誅之.
遂觀其本傳注+ 遂觀其本傳:傳, 去聲.하니 可謂公平正直이요 尤識治體하니 隋室安危 系其存沒이라
煬帝 無道하여 枉見誅夷하니 何嘗不想見此人하여 廢書欽歎이리오
又漢魏已來 諸葛亮 爲丞相 亦甚平直하니
嘗表廢廖立注+ 嘗表廢廖立:廖立, 字公淵, 武陵人, 仕蜀爲長水使者.李嚴注+ 李嚴:李嚴, 字正方, 南陽人, 仕蜀爲中都護.於南中이러니 立聞亮卒하고 泣曰 라하고
故陳壽注+ 陳壽:陳壽, 晉人, 撰三國志.호대 亮之爲政 이라하니
卿等 豈可不企慕及之리오
今每慕前代帝王之善者하노니 卿等 亦可慕宰相之賢者하라
若如是하면 則榮名高位 可以長守하리라
玄齡 對曰 臣聞理國要道 在於公平正直이라
故尙書云注+ 故尙書云:尙, 如字.無偏無黨하면 王道蕩蕩하며 無黨無偏하면 王道平平注+ 王道平平:周書洪範篇之辭.이라하고
又孔子稱호대 注+ 擧直錯諸枉 則民服:錯, 讀曰措. 孔子對魯哀公之辭.이라하니이다
今聖慮所尙 誠足以極政敎之源하고 盡至公之要하여 囊括區宇하여 化成天下니이다
太宗 曰 此直朕之所懷 豈有與卿等言之而不行也리오
【集論】愚按 昔 傅說商宗曰 이라하니
太宗 謂朕每慕前代帝王之善者하노니 卿等 可慕宰相之賢者 其有合於師古者乎인저
前代帝王之善者 若堯舜禹湯文武成康이요 降是是已
前代宰相之賢者 若皐夔稷契伊傅周召 降是 則蕭曹丙魏是已
高熲之公平正直 亦可謂賢相矣 惜昧于之義
諸葛亮 王佐才也 誠有古良相之遺風이요 三代而下 所不常見이라
太宗 令相臣企慕之하니 亦知人哉인저
嗚呼 二帝三王之相 不得而見之矣인댄 得見如武侯者 斯可矣


정관貞觀 2년(628)에 태종太宗방현령房玄齡 등에게 말하였다.
이 근래注+(근래)는 이다. 나라의 유신들을 살펴보니 모두가 고경高熲이 훌륭한 재상이었다고 칭찬했소.注+(재상)은 거성去聲이다. 뒤에도 같다. 고경高熲소현昭玄이며 나라의 훌륭한 재상이다. 양제煬帝가 그의 충직한 간언을 헐뜯는 것이라 여겨 처형하였다.
본전本傳을 살펴보니注+(전기)은 거성去聲이다. 공평하고 정직하다고 말할 수 있으며, 더욱이 정치의 본질을 잘 알고 있었으니 나라 황실의 안위가 그의 생사에 달려 있었던 것이오.
양제煬帝가 무도하여 억울하게 죽임을 당했으니 어찌 그를 떠올리며 책을 덮고 안타까워하지 않을 수 있었겠소!
이후로 제갈량諸葛亮이 승상을 역임할 때도 매우 공평하고 정직했소.
일찍이 표문表文을 올려 요립廖立注+요립廖立공연公淵이고 무릉武陵 사람이며, 나라에 벼슬하여 장수사자長水使者가 되었다. 이엄李嚴注+이엄李嚴정방正方이고 남양南陽 사람이며, 나라에 벼슬하여 중도호中都護가 되었다. 남중南中으로 폐출시켰는데, 요립은 제갈량이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듣고 울며, ‘우리는 이제 옷깃을 왼쪽으로 여미는 오랑캐가 되겠다.’라고 하고,
이엄은 제갈량이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듣고 병이 나서 죽었소.
그래서 진수陳壽注+진수陳壽나라 사람이며 《삼국지三國志》를 지었다. 제갈량의 정치를 일컫기를, ‘진실한 마음을 열고 공평한 도리를 펼쳐, 충성을 다하고 시대에 이익을 준 자는 원수라도 해도 반드시 상을 내리고 법을 범하고 태만한 사람은 가까운 사람이라도 반드시 벌을 주었다.’라고 했으니,
경들은 어찌 그를 추모하고 따라가지 않아서야 되겠소!
짐이 이제 지난 시대의 훌륭한 제왕들을 흠모하려 하니 경들도 훌륭한 재상들을 흠모해야 할 것이오.
이렇게 한다면 영예로운 이름과 높은 지위를 오랫동안 지킬 수 있을 것이오.”
방현령이 대답하였다. “신이 들으니, 국가를 다스리는 중요한 방법은 공평과 정직에 있다 했습니다.
그래서 《상서尙書》 〈홍범洪範〉에 이르기를注+(숭상)은 본래 음의音義대로 독해한다., ‘치우침이 없고 당파적인 것이 없으면 왕도王道가 넓게 되며, 당파적인 것이 없고 치우침이 없으면 왕도王道가 공평하다.’라고 했으며注+서경書經》 〈주서周書 홍범洪範〉에 나오는 내용이다.,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시기를 ‘정직한 사람을 들어 쓰고 부정한 사람을 놓아버리면 백성이 복종한다.’라고 했습니다.注+(버려두다)는 로 읽는다. 공자孔子노 애공魯 哀公에게 답한 내용이다.
지금 성상께서 숭상하시는 것은 참으로 정치와 교육의 근원을 다 드러내고 지극히 공정한 요체를 극진히 밝혀, 우주를 포괄하여 천하를 완전히 교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태종이 말하였다. “이는 바로 짐이 마음먹고 있는 바이니, 어떻게 경들과 말을 하고 나서 실행에 옮기지 않을 리가 있겠소.”
내가 살펴보건대, 옛날에 부열傅說은 고종殷 高宗에게 아뢰기를 “일을 할 때 옛 것을 스승 삼지 않은 채 능히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예를 제가 듣지 못했습니다.” 라고 했는데,
태종太宗이 “짐이 매번 지난 시대의 훌륭한 제왕들을 사모하노니 경들도 훌륭한 재상들을 사모해야 하오.” 라고 한 것은, 옛것을 스승 삼는 것에 부합한 일일 것이다.
지난 시대의 훌륭한 제왕이란 과 같은 이이며, 이보다 한 등급 아래로는 나라 칠제七制의 군주들이 해당된다.
지난 시대 훌륭한 재상들은 고요皐陶후직后稷이윤伊尹부열傅說주공周公소공召公 등이며, 이보다 한 단계 아래로는 소하蕭何조참曹參병길丙吉위상魏相이 이에 해당한다.
고경高熲공평公平하고 정직正直함도 훌륭한 재상이라 할 만하지만 애석하게도 불가능하면 멈춰야 하는 의리에 어두웠다.
제갈량諸葛亮을 보좌할 인재로 참으로 옛날 훌륭한 재상의 유풍遺風을 가져서 삼대三代 이후에 쉽게 볼 수 없는 인물이다.
태종이 정승들에게 그를 추모하고 따라가도록 했으니 또한 인물을 안다고 할 것이다.
아, 이제二帝삼왕三王의 재상들을 볼 수가 없는 상황에서 제갈무후諸葛武侯 같은 사람이나마 보게 된다면 좋을 것이다.


역주
역주1 高熲 : 隋나라 사람으로, 자는 昭元이다. 陳나라 武帝 때 齊나라를 평정한 공이 있어 開府知事가 되었고, 隋 文帝가 즉위하자 尙書左僕射가 되었고, 煬帝 때에는 太常에 임명되었다. 20년 동안 요직을 편력하면서 조야의 추앙을 받았다. 논자들은 모두 眞宰相이라 일컬었다. 《隋書 권41》 《北史 권72》
역주2 吾其左衽矣 : 《三國志 蜀志》 권10 〈廖立傳〉에 “吾終爲左衽矣”라고 하였는데, 《論語》 〈憲問〉의 “微管仲 吾其被髮左衽矣(관중이 없었다면 나는 머리를 풀고 옷깃을 왼쪽으로 하는 오랑캐가 되었을 것이다.)”에서 유래한 것이다. ‘左衽’은 오랑캐의 미개한 풍속이 됨을 말한다.
역주3 聞亮卒 發病而死 : 《三國志》 〈蜀志〉 권10 〈廖立傳〉에 보인다.
역주4 開誠心……雖親必罰 : 《三國志》 〈蜀志〉 권5 〈諸葛亮傳〉에 보인다.
역주5 擧直錯諸枉 則民服 : 《論語》 〈爲政〉에 보인다.
역주6 事不師古……匪說攸聞 : 《書經》 〈商書 說命 中〉에 보인다.
역주7 漢七制之主 : 漢나라를 대표하는 일곱 군주로, 高祖‧惠帝‧文帝‧景帝‧武帝‧昭帝‧宣帝이다.
역주8 不可則止 : 《論語》 〈顔淵〉에 “충심으로 말해주고 잘 인도하되 불가능하면 멈춘다.[忠告而善道之 不可則止]”라는 구절이 보인다.

정관정요집론(2)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