貞觀十年
에 治書侍御史權萬紀上言
호대 宣饒二州
注+① 宣饒二州:宣州, 今爲寧國路. 饒州, 今仍舊, 竝隷江東.諸山大有銀坑
하니 采之極是利益
이라 每歲可得錢數百萬貫
이라하여늘 
                        		
                        		
                        		
	                     		
			                       	
			                       	
	                     		
	                     		
		                        
                        	
                        	
                        	
                        	
                        		
                        			
                        			
			                        
			                        	太宗曰 朕貴爲天子하니 是事無所少乏이요 惟須納嘉言하고 進善事하여 有益於百姓者하노라
			                         
                        		
                        		
                        		
	                     		
			                       	
			                       	
	                     		
	                     		
		                        
                        	
                        	
                        	
                        	
                        		
                        			
                        			
			                        
			                        	且國家賸得數百萬貫錢
이나 何如得一有才行人
注+② 何如得一有才行人:行, 去聲.이리오 不見卿推賢進善之事
하고 又不能按擧不法
하여 震肅權豪
하고 
                        		
                        		
                        		
	                     		
			                       	
			                       	
	                     		
	                     		
		                        
                        	
                        	
                        	
                        	
                        		
                        			
                        			
			                        
			                        	惟道稅鬻銀坑以爲利益이온여 昔堯舜抵璧於山林하고 投珠於淵谷하니 由是崇名美號가 見稱千載하고
			                         
                        		
                        		
                        		
	                     		
			                       	
			                       	
	                     		
	                     		
		                        
                        	
                        	
                        	
                        	
                        		
                        			
                        			
			                        
			                        	後漢桓靈二帝
注+③ 桓靈二帝:後漢桓帝, 名志. 靈帝, 名宏.는 好利賤義
注+④ 好利賤義:好, 去聲. 漢靈帝時, 開西邸, 賣官自關內侯‧虎賁羽林, 入錢各有差. 私令左右賣公卿, 公千萬, 卿五百萬. 又賣關內侯, 假金印紫綬傳世, 入五百萬.하여 爲近代庸暗之主
하니 卿遂欲將我比桓靈耶
아하고 是日勅放令萬紀還第
注+⑤ 是日勅放令萬紀還第:令, 平聲.하다 
                        		
                        		
                        		
	                     		
			                       	
			                       	
	                     		
	                     		
		                        
                        	
                        	
                        	
                        	
                        		
                        		
                        		
                        			
                        			
		                       		
		                       		
		                       		
		                       			
		                       			
		                       			
		                       				注
		                       		
		                        
		                        	
		                        		
		                            	【集論】孫氏甫曰 太宗所以能斥言利之臣者는 無他라 內能節用하고 外謹制度하고 絶權倖하고 抑恩寵하고 無妄費耳라
		                            	 
									
                        			
                        			
                        		
	                     		
			                       	
			                       	
	                     		
	                     		
		                        
                        	
                        	
                        	
                        	
                        		
                        		
                        		
                        			
                        			
		                       		
		                       		
		                       		
		                        
		                        	
		                        		
		                            	宮中欲修一殿할새 則想秦皇之過하고 公卿請營一閣할새 則念文帝之儉하고
		                            	 
									
                        			
                        			
                        		
	                     		
			                       	
			                       	
	                     		
	                     		
		                        
                        	
                        	
                        	
                        	
                        		
                        		
                        		
                        			
                        			
		                       		
		                       		
		                       		
		                        
		                        	
		                        		
		                            	將修洛陽殿할새 則聽張玄素之言而遂止하고 嫁送長樂할새 則納魏徵之諫而從薄하고 宮人罷遣而出者三千이라
		                            	 
									
                        			
                        			
                        		
	                     		
			                       	
			                       	
	                     		
	                     		
		                        
                        	
                        	
                        	
                        	
                        		
                        		
                        		
                        			
                        			
		                       		
		                       		
		                       		
		                        
		                        	
		                        		
		                            	此其謹身節用하여 天下已陰受其賜矣라 而文武官止六百四十三員하고 府兵止六十萬하고 又皆散之農畝以自給하니라
		                            	 
									
                        			
                        			
                        		
	                     		
			                       	
			                       	
	                     		
	                     		
		                        
                        	
                        	
                        	
                        	
                        		
                        		
                        		
                        			
                        			
		                       		
		                       		
		                       		
		                        
		                        	
		                        		
		                            	天子惟務德義하고 以致治平薄賦斂하여 以厚風俗而已니 此言利之臣이 所以不能合也라
		                            	 
									
                        			
                        			
                        		
	                     		
			                       	
			                       	
	                     		
	                     		
		                        
                        	
                        	
                        	
                        	
                        		
                        		
                        		
                        			
                        			
		                       		
		                       		
		                       		
		                       			
		                        			
		                        				
		                        				 
		                        			
		                       			
		                       			
		                       			
		                       				注
		                       		
		                        
		                        	
		                        		
									
                        			
                        			
                        		
	                     		
			                       	
			                       	
	                     		
	                     		
		                        
                        	
                        	
                        	
                        	
                        		
                        		
                        		
                        			
                        			
		                       		
		                       		
		                       		
		                        
		                        	
		                        		
		                            	故治國
은 不以利爲利
요 以義爲利也
라하니라 自事言之
컨댄 國家歲得數百萬緡
이로되 非因
하고 而取之山澤
하니 似亦未有害者
라 
									
                        			
                        			
                        		
	                     		
			                       	
			                       	
	                     		
	                     		
		                        
                        	
                        	
                        	
                        	
                        		
                        		
                        		
                        			
                        			
		                       		
		                       		
		                       		
		                        
		                        	
		                        		
		                            	太宗不惟置其利라 又且黜其人하고 而專以進賢利民爲急이라
		                            	 
									
                        			
                        			
                        		
	                     		
			                       	
			                       	
	                     		
	                     		
		                        
                        	
                        	
                        	
                        	
                        		
                        		
                        		
                        			
                        			
		                       		
		                       		
		                       		
		                        
		                        	
		                        		
		                            	以桓靈私藏爲戒하고 審所取舍하며 明示好惡하니 可爲人君法矣라하다
		                            	 
									
                        			
                        			
                        		
	                     		
			                       	
			                       	
	                     		
	                     		
		                        
                        	
                        	
                        	
                        	
                        		
                        		
                        		
                        			
                        			
		                       		
		                       		
		                       		
		                       			
		                        			
		                        				
		                        				 
		                        			
		                       			
		                       			
		                       			
		                       				注
		                       		
		                        
		                        	
		                        		
		                            	愚按 大學曰 治國은 不以利爲利요 以義爲利也라하니라
		                            	 
									
                        			
                        			
                        		
	                     		
			                       	
			                       	
	                     		
	                     		
		                        
                        	
                        	
                        	
                        	
                        		
                        		
                        		
                        			
                        			
		                       		
		                       		
		                       		
		                        
		                        	
		                        		
		                            	觀太宗却權萬紀銀坑之奏컨대 眞能不以利爲利者라 蓋當是時하여 宮室服用을 每能愼乃儉德하니 是宜諄諄訓下에 無愧辭也라
		                            	 
									
                        			
                        			
                        		
	                     		
			                       	
			                       	
	                     		
	                     		
		                        
                        	
                        	
                        	
                        	
                        		
                        		
                        		
                        			
                        			
		                       		
		                       		
		                       		
		                        
		                        	
		                        		
		                            	夫
하고 하니 表未正而求正於景
하고 源未淸而求淸於流
는 無是理也
라 
									
                        			
                        			
                        		
	                     		
			                       	
			                       	
	                     		
	                     		
		                        
                        	
                        	
                        	
                        	
                        		
                        		
                        		
                        			
                        			
		                       		
		                       		
		                       		
		                        
		                        	
		                        		
									
                        			
                        			
                        		
	                     		
			                       	
			                       	
	                     		
	                     		
		                        
                        	
                        	
                        	
                        	
                   			
                    			
                    				
                    				 
                    			
                   			
                        	
                        	
                        	
                        	
	                       	
	                       	
	                       	
	                       	
							                       	
	                        
	                        
	                        	
	                        
	                        	
	                        		
	                        	
	                        
	                        	
	                        
	                        	
	                        		
	                        	
	                        
	                        	
	                        
	                        	
	                        		
	                        	
	                        
	                        	
	                        
	                        	
	                        		
	                        	
	                        
	                        	
	                        
	                        	
	                        		
	                        	
	                        
	                        	
	                        
	                        	
	                        
	                        	
	                        
	                        	
	                        
	                        	
	                        
	                        	
	                        
	                        	
	                        
	                        	
	                        
	                        	
	                        
	                        	
	                        
	                        	
	                        
	                        	
	                        
	                        	
	                        
	                        	
	                        
	                        	
	                        
	                        	
	                        
	                        	
	                        
	                        	
	                        
	                        	
	                        
	                        	
	                        
	                        	
	                        
	                        	
	                        
	                        	
	                        
	                        	
	                        
	                        	
	                        
	                        	
	                        
	                        
	                        
                        	
		                        
		                        
		                        
		                        
                        		
                        	
		                        
		                        
		                        
		                        	
		                        	
		                        
		                        
                        		
                        		
                        			
			                        
			                        	정관貞觀 10년(636)에 
치서시어사治書侍御史 권만기權萬紀가 글을 올려 말하였다. “
선주宣州‧
요주饒州의
注+선주宣州는 지금 영국로寧國路이다. 요주饒州는 지금 옛날 그대로 강동江東에 속한다. 여러 산에 큰 은 광산이 있는데, 은의 채굴을 극도로 하면 이익이 있을 것이니, 해마다 돈 수백만 
관貫을 얻을 수 있습니다.”
 
			                              
                        			
                        		
                        		
	                     		
			                       	
			                       	
	                     		
		                        
                        	
		                        
		                        
		                        
		                        
                        		
                        	
		                        
		                        
		                        
		                        	
		                        	
		                        
		                        
                        		
                        		
                        			
			                        
			                        	태종太宗이 말하였다. “짐朕은 존귀한 천자가 되었으니, 천자의 일에 조금도 흠결이 없고자 하고, 오직 훌륭한 말을 받아들이고 훌륭한 일을 진언하게 해서 백성에게 이익이 있게 하려고 하오.
			                              
                        			
                        		
                        		
	                     		
			                       	
			                       	
	                     		
		                        
                        	
		                        
		                        
		                        
		                        
                        		
                        	
		                        
		                        
		                        
		                        	
		                        	
		                        
		                        
                        		
                        		
                        			
			                        
			                        	또 국가가 수백만 
관전貫錢을 얻을 수 있으나 어찌 뛰어난 재주와 훌륭한 행실이 있는 사람을 얻는 것만 하겠소.
注+행行(행실)은 거성去聲이다. 경이 어진 이를 추천하고 훌륭한 말을 올리는 일을 보지 못하였고, 또 불법을 저지르는 것을 살펴서 권세가를 
숙정肅正하지 못하였소.
      
                        			
                        		
                        		
	                     		
			                       	
			                       	
	                     		
		                        
                        	
		                        
		                        
		                        
		                        
                        		
                        	
		                        
		                        
		                        
		                        	
		                        	
		                        
		                        
                        		
                        		
                        			
			                        
			                        	오직 은 광산의 채굴권을 빌려주고 세금을 거두어 이익으로 삼자고 말하는구려. 옛날에 요堯임금‧순舜임금이 산림山林에 벽璧을 던지고, 진주를 깊은 골짜기에 던지니, 이로 말미암아 훌륭한 명성이 천 년 동안 일컬어졌소.
			                              
                        			
                        		
                        		
	                     		
			                       	
			                       	
	                     		
		                        
                        	
		                        
		                        
		                        
		                        
                        		
                        	
		                        
		                        
		                        
		                        	
		                        	
		                        
		                        
                        		
                        		
                        			
			                        
			                        	후한後漢 환제桓帝‧
영제靈帝는
注+후한後漢 환제桓帝는 이름이 지志이고 영제靈帝는 이름이 굉宏이다. 이익을 좋아하고 
의義를 천하게 여겨서
注+호好(좋아하다)는 거성去聲이다. 한 영제漢 靈帝 때에 서저西邸를 열고 관내후關內侯‧호분우림虎賁羽林에서부터 관직을 팔았는데 돈을 바치는 것에 따라 각기 차등을 두었다. 사사로이 측근들에게 공경公卿을 팔았는데 공公은 1천만이고 경卿은 5백만이었다. 또 관내후關內侯를 팔 때 황금黃金 인장印章과 자주색 인끈을 주어 대대로 전하게 하는 데는 5백만을 바치게 하였다. 근대에 어리석고 우매한 군주가 되었는데, 
경卿은 끝내 나를 환제‧영제에 견주려고 하시오.” 이날 칙서를 내려 권만기를 집으로 돌아가게 하였다.
注+영令(하여금)은 평성平聲이다. 
			                              
                        			
                        		
                        		
	                     		
			                       	
			                       	
	                     		
		                        
                        	
		                        
		                        
		                        
		                        
                        		
                        	
		                        
		                        
		                        
		                        
                        		
                        		
                        		
                        			
                        			
		                       		
		                       		
		                       		
		                       			
		                       			
		                       			
		                       				注
		                       		
		                       		
		                        		
			                            	손보孫甫가 말하였다. “태종太宗이 이익을 말하는 신하를 물리칠 수 있었던 이유는 다른 것이 없다. 안으로 비용을 절감하고 밖으로 제도를 삼가고 권행權倖을 단절하고 은총恩寵을 억제하고 낭비를 없애는 것이었다.
			                             
									
                        			
                        			
                        		
	                     		
			                       	
			                       	
	                     		
		                        
                        	
		                        
		                        
		                        
		                        
                        		
                        	
		                        
		                        
		                        
		                        
                        		
                        		
                        		
                        			
                        			
		                       		
		                       		
		                       		
		                       		
		                        		
			                            	궁중에 하나의 궁전을 수리하려고 할 때 진 시황秦 始皇의 과실을 생각하였고, 공경公卿이 하나의 전각을 만들기를 청할 때 한 문제漢 文帝의 검소함을 생각하였고,
			                             
									
                        			
                        			
                        		
	                     		
			                       	
			                       	
	                     		
		                        
                        	
		                        
		                        
		                        
		                        
                        		
                        	
		                        
		                        
		                        
		                        
                        		
                        		
                        		
                        			
                        			
		                       		
		                       		
		                       		
		                       		
		                        		
			                            	장차 낙양전洛陽殿을 수리하려고 할 때 장현소張玄素의 말을 들어 마침내 그치게 했고, 장악공주長樂公主를 시집보낼 때 위징魏徵의 간언을 받아들여 소박함을 따랐고, 궁인宮人들을 가정으로 돌려보낸 자가 3천 명이었다.
			                             
									
                        			
                        			
                        		
	                     		
			                       	
			                       	
	                     		
		                        
                        	
		                        
		                        
		                        
		                        
                        		
                        	
		                        
		                        
		                        
		                        
                        		
                        		
                        		
                        			
                        			
		                       		
		                       		
		                       		
		                       		
		                        		
			                            	이는 몸을 삼가고 비용을 절감하여 천하 사람들이 이미 그의 내려줌을 은연중에 받은 것이다. 문무 관원의 인원을 643원員에 그쳤고 부병府兵의 인원을 60만萬에 그쳤고, 또 이들 모두에게 농지農地를 나누어서 자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천자天子는 오직 덕德과 의義에 힘쓰고 태평을 이루고 세금을 적게 걷어 풍속風俗을 후하게 할 뿐이다. 이것은 이익을 말하는 신하가 부합할 수 없는 이유이다.”
			                             
									
                        			
                        			
                        		
	                     		
			                       	
			                       	
	                     		
		                        
                        	
		                        
		                        
		                        
		                        
                        		
                        	
		                        
		                        
		                        
		                        
                        		
                        		
                        		
                        			
                        			
		                       		
		                       		
		                       		
		                       			
		                        			
		                        				
		                        				 
		                        			
		                       			
		                       			
		                       			
		                       				注
		                       		
		                       		
		                        		
			                            	호인胡寅이 말하였다. “《대학大學》의 가르침에 ‘국가에 어른이 되어 재용財用에 힘쓰는 자는 반드시 소인小人으로부터 시작되니, 걷어 모으는 신하를 두기보다는 차라리 도둑질하는 신하를 두는 것이 낫다.
			                             
									
                        			
                        			
                        		
	                     		
			                       	
			                       	
	                     		
		                        
                        	
		                        
		                        
		                        
		                        
                        		
                        	
		                        
		                        
		                        
		                        
                        		
                        		
                        		
                        			
                        			
		                       		
		                       		
		                       		
		                       		
		                        		
			                            	그러므로 나라를 다스림에는 이利를 이익으로 여기지 않고, 의義를 이로움으로 여긴다.’고 하였다. 일로 말을 하면 국가가 해마다 수백만 민緡을 얻을 수 있는데, 가혹한 세금에 의하지 않고 산택山澤에서 취하니 또한 해로움도 없는 듯하였다.
			                             
									
                        			
                        			
                        		
	                     		
			                       	
			                       	
	                     		
		                        
                        	
		                        
		                        
		                        
		                        
                        		
                        	
		                        
		                        
		                        
		                        
                        		
                        		
                        		
                        			
                        			
		                       		
		                       		
		                       		
		                       		
		                        		
			                            	그러나 태종太宗은 그 이로움을 내버려두었을 뿐만 아니라 또 그 사람을 쫓아내고, 오로지 어진 사람을 등용하여 백성을 이롭게 하는 것을 급선무로 여겼다.
			                             
									
                        			
                        			
                        		
	                     		
			                       	
			                       	
	                     		
		                        
                        	
		                        
		                        
		                        
		                        
                        		
                        	
		                        
		                        
		                        
		                        
                        		
                        		
                        		
                        			
                        			
		                       		
		                       		
		                       		
		                       		
		                        		
			                            	환제桓帝‧영제靈帝가 사사로이 재물을 모으는 것으로 경계를 삼고 취사선택할 것을 살피며 좋아함과 싫어함을 분명히 하였으니, 군주의 법이 될 만하다.”
			                             
									
                        			
                        			
                        		
	                     		
			                       	
			                       	
	                     		
		                        
                        	
		                        
		                        
		                        
		                        
                        		
                        	
		                        
		                        
		                        
		                        
                        		
                        		
                        		
                        			
                        			
		                       		
		                       		
		                       		
		                       			
		                        			
		                        				
		                        				 
		                        			
		                       			
		                       			
		                       			
		                       				注
		                       		
		                       		
		                        		
			                            	내가 살펴보건대, 《대학大學》에 “나라를 다스림에는 이利를 이로움으로 여기지 않고, 의義를 이로움으로 여긴다.” 라고 하였다.
			                             
									
                        			
                        			
                        		
	                     		
			                       	
			                       	
	                     		
		                        
                        	
		                        
		                        
		                        
		                        
                        		
                        	
		                        
		                        
		                        
		                        
                        		
                        		
                        		
                        			
                        			
		                       		
		                       		
		                       		
		                       		
		                        		
			                            	태종太宗이 권만기權萬紀의 은광 채굴에 관한 상소를 물리친 것을 보면 진실로 이利를 이로움으로 여기지 않은 것에 능한 것이다. 당시에 궁실과 의복을 늘 삼가서 검소한 덕으로 하였으니, 이는 마땅히 간곡하게 아랫사람을 훈계하는 데에 부끄러울 말이 없는 것이다.
			                             
									
                        			
                        			
                        		
	                     		
			                       	
			                       	
	                     		
		                        
                        	
		                        
		                        
		                        
		                        
                        		
                        	
		                        
		                        
		                        
		                        
                        		
                        		
                        		
                        			
                        			
		                       		
		                       		
		                       		
		                       		
		                        		
			                            	형체가 바르면 그림자가 따르고 샘이 맑으면 흐르는 물이 맑다. 형체가 바르지 않는데 그림자가 바르기를 구하고, 샘이 맑지 않은데 흐르는 물이 맑기를 구하는 것은 이런 이치가 없다.
			                             
									
                        			
                        			
                        		
	                     		
			                       	
			                       	
	                     		
		                        
                        	
		                        
		                        
		                        
		                        
                        		
                        	
		                        
		                        
		                        
		                        
                        		
                        		
                        		
                        			
                        			
		                       		
		                       		
		                       		
		                       		
		                        		
			                            	이 때문에 신하에게 청렴한 명예를 닦게 하려면 마땅히 군주가 검소한 덕을 높이는 것으로부터 시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