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3)

정관정요집론(3)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老子稱이라하며 莊生稱이라하니 此皆不欲煩也
是以齊侯讀書 輪扁竊議注+③ 輪扁竊議:桓公讀書於堂上, 輪扁斲輪於堂下, 釋椎鑿而上曰 “君之所讀者, 古人之糟魄已夫. 以臣之事觀之, 斲輪徐則甘而不固, 疾則苦而不入, 不徐不疾, 得之於手, 應之於心, 口不能言, 有數存焉. 古之人與不可傳也.” 出莊子.하고 漢皇慕古 張孺陳譏注+④ 張孺陳譏:漢張良嘗匿下邳, 見老父. 授之以書曰 “孺子可敎.” 故稱良曰 “張孺.” 項羽圍漢王於滎陽, 王與酈食其謀撓楚, 食其曰 “昔湯武伐桀紂, 皆封其後, 請立六國後.” 王曰 “善.” 具以告張良, 良曰 “誰爲陛下畫此計. 陛下事去矣.” 爲陳八不可之說. 見史.하니 此亦不欲勞也 且多記則損心하고 多語則損氣하나니
心氣內損하면 形神外勞하되 初雖不覺이나 後必爲累注+⑤ 後必爲累:音類, 後同.하나니 須爲社稷自愛注+⑥ 須爲社稷自愛:爲, 去聲, 後同.하소서
豈爲性好自傷乎注+⑦ 豈爲性好自傷乎:好, 去聲.이리잇고 竊以今日升平 皆陛下力行所至
欲其長久인댄 匪由辯博이라 但當忘彼愛憎하여 愼玆取舍하고 每事敦朴하여 無非至公 若貞觀之初 則可矣니이다
至如强辯이나 失人心於自矜하고 魏文宏材 虧衆望於虛說하니 此才辯之累 皎然可知注+⑧ 此才辯之累 皎然可知:累, 音類.
伏願略玆雄辯하시고 浩然養氣注+⑨ 浩然養氣:孟子曰 “我善養吾浩然之氣.”하시며 簡彼緗圖注+⑩ 簡彼緗圖:緗, 淺黃色. 圖, 書也.하시고 澹焉怡悅하사 固萬壽於南岳注+⑪ 固萬壽於南岳:詩曰 “不騫不崩, 如南山之壽.”하시며 齊百姓於하시면 則天下幸甚하여 皇恩斯畢이리이다


신이 듣기에 하늘은 말 없는 것을 귀하게 여기고, 성인聖人은 말하지 않는 것을 덕으로 삼는다고 하였습니다.
노자老子는 ‘훌륭한 변설은 어눌한 것처럼 보인다.’고 말하였으며, 장자莊子는 ‘지극한 도는 문채가 없다.’고 말하였으니, 이는 모두 번다하게 하려고 하지 않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제 환공齊 桓公이 책을 읽고 있을 때, 윤편輪扁(수레바퀴 제작자)이 가만히 의론을 올렸으며注+나라 환공桓公이 대청 위에서 책을 읽고 있었다. 윤편輪扁이 대청 아래에서 수레바퀴를 깎고 있다가 망치와 끌을 놓고 대청 위의 환공에게 말하였다. “임금께서 읽고 계신 책은 옛사람의 찌꺼기일 뿐입니다. 제가 하는 일을 가지고 본다면 수레바퀴를 깎을 때 느리게 하면 굴대가 헐거워서 튼튼하지 못하고, 빨리 깎으면 빡빡해서 굴대가 들어가지 않습니다. 느리지도 않고 빠르지도 않는 것은 손짐작으로 터득하고 마음으로 느낄 수 있을 뿐이지, 입으로 말할 수는 없습니다. 그 도수는 그 사이에 있습니다. 옛날 사람이 전수할 수 없는 것을 함께 가지고 〈죽었을 것입니다.〉” 《장자莊子》 〈천도天道〉에 나온다., 한 고조漢 高祖가 옛날을 선망하여 〈육국六國 후예를 봉해주려 할 때〉 장유張孺(장량張良)가 비난하였으니注+나라 장량張良하비下邳에 숨은 적이 있었는데 노인을 만나게 되었다. 장량에게 책을 주면서 말하기를 “젊은이를 가르칠 만하다.” 하였다. 그래서 장량을 “장유張孺(장씨 젊은이)”라고 부른다. 항우項羽한왕漢王(유방劉邦)을 형양滎陽에서 포위하자 한왕이 역이기酈食其와 함께 나라를 약화시키고자 도모하였는데 역이기가 말하기를 “옛날에 탕왕湯王무왕武王걸왕桀王주왕紂王을 정벌할 때 그의 후예를 모두 봉해주었으니 육국六國의 후예를 세울 것을 청합니다.” 하였다. 한왕이 말하기를 “좋다.” 하였는데, 이를 자세히 장량에게 고하자 장량이 말하기를 “누가 폐하를 위하여 이 계책을 세웠습니까. 폐하의 일은 잘못될 것입니다.”라고 하고, 여덟 가지 불가하다는 말을 진술하였다. 《사기史記》 〈유후세가留侯世家〉에 보인다., 이 역시 수고롭게 하려고 하지 않은 것입니다. 또 기억을 많이 하면 마음이 손상되고, 말을 많이 하면 기운이 손상됩니다.
심기心氣가 안에서 손상되면 육체와 정신이 밖에서 피로하되 처음에는 깨닫지 못하더라도 나중에는 반드시 누가 될 것이니注+(누가 되다)는〉 이다. 뒤에도 같다. 모름지기 사직을 위하여 스스로를 아끼십시오.注+(때문에)는 거성去聲이다. 뒤에도 같다.
어찌 본성이 좋아하는 것 때문에 스스로 손상하게 할 수 있습니까.注+(좋아하다)는 거성去聲이다. 삼가 생각해보니 오늘의 태평은 모두 폐하께서 힘써 행하여 이루어놓은 것입니다.
장구하기를 바라신다면 〈폐하 자신의〉 말재주와 많이 아는 것에 의지해서는 안 됩니다. 단지 애정과 증오를 잊으시어 취함과 버림을 신중히 하고 매사를 돈독하고 질박하게 하여 지극히 공평하지 않음이 없음을 마치 정관貞觀 초기와 같이 한다면 좋을 것입니다.
진 시황秦 始皇은 변설에 뛰어났으나 스스로 자랑하는 데서 인심을 잃었고, 나라 문제文帝는 재능이 굉장하였으나 허황된 말을 하는 것에서 백성의 바람을 잃었으니, 여기에서 재치 있게 말을 잘하는 피해를 분명히 알 수가 있습니다.注+(누가 되다)는 이다.
엎드려 원하건대 폐하의 웅변을 줄이고 호연지기浩然之氣를 기르며注+《孟子》 〈공손추公孫丑 〉에 말하기를 “나는 내 호연지기를 잘 기른다.” 하였다. 서책을 보시고注+은 옅은 황색이고, 는 책이다. 담담히 기뻐하시어 남악南岳과 같이 만수萬壽를 굳건히 누리시며注+시경詩經》 〈소아小雅 천보天保〉에 말하기를 “쓰러지지 않고 무너지지 않아 남산이 무궁함과 같아라.” 하였다. 백성百姓동호東戶의 세상과 같게 다스리소서. 그렇게 하신다면 천하가 매우 다행으로 여겨서 천자의 은혜가 모든 사람에게 미칠 것입니다.”


역주
역주1 皇天以無言爲貴 聖人以不言爲德 : 《論語》 〈陽貨〉에 “孔子가 ‘나는 말이 없고자 하노라.[予欲無言]’라고 하니, 子貢이 ‘스승님께서 말씀하지 않으시면 저희들이 어떻게 도를 전해 받겠습니까.[子如不言 則小子何述焉]’라고 하였다. 이에 공자가 “하늘이 무슨 말을 하던가. 四時가 운행하고 만물이 생장하니, 하늘이 무슨 말을 하던가.[天何言哉 四時行焉 百物生焉 天何言哉]”라고 하였다.
역주2 大辯若訥 : 《老子道德經》 45장에 보인다.
역주3 至道無文 : 《莊子》 〈在宥〉에 “至道의 정채는 흐리고 至道의 극치는 어둡다.[至道之精 窈窈冥冥 至道之極 昏昏默默]”라고 하였다.
역주4 秦政 : 政은 秦 始皇의 이름이다.
역주5 東戶 : 고대의 임금으로 《淮南子》 〈繆稱訓〉에 보인다.

정관정요집론(3)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