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3)

정관정요집론(3)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魏徵曰 陛下本憐百姓하여 每節己以順人하니
臣聞注+② 樂己者亡:樂, 音洛.이라하니
隋煬帝志在無厭注+③ 隋煬帝志在無厭:平聲.하여 惟好奢侈注+④ 惟好奢侈:好, 去聲, 後同.하니 所司每有供奉營造注+⑤ 所司每有供奉營造:供, 平聲. 小不稱意注+⑥ 小不稱意:稱, 去聲. 則有峻罰嚴刑이라
하니 競爲無限이라가 遂至滅亡이라
此非書籍所傳이오 亦陛下目所親見이니 爲其無道注+⑦ 爲其無道:爲, 去聲. 故天命陛下代之하시니
陛下若以爲足인댄 今日不啻足矣注+⑧ 今日不啻足矣:啻, 音翅. 若以爲不足인댄 更萬倍過此라도 亦不足이니이다
太宗曰 公所奏對甚善하니 非公이면 朕安得聞此言이리오하더라


위징魏徵이 말하였다. “폐하께서는 본래 백성을 가엾어 하시어 매번 자신의 욕심을 절제하시어 사람들의 뜻을 따랐습니다.
신이 듣기에 ‘자기의 욕심을 버리고 남을 따르는 자는 창성할 것이나, 남에게 제 욕심을 즐겁게 하는 자는 망한다.’고 하였습니다.注+(즐겁다)은 이다.
수 양제隋 煬帝는 만족함이 없는 탐욕에 마음을 두어서注+(만족하다)은〉 평성平聲이다., 오직 사치를 좋아하였는데注+(좋아하다)는 거성去聲이다. 뒤에도 같다., 담당 관청에서 공급하고 만드는 것마다注+(제공하다)은 평성平聲이다. 조금이라도 마음에 들지 않으면注+(걸맞다)은 거성去聲이다. 준엄한 형벌을 주었습니다.
윗사람이 좋아하는 것은 아랫사람이 반드시 더 좋아하게 되는 것인데, 서로 경쟁하기를 끝이 없이 하다가 마침내 멸망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책으로 전해진 것이 아니고, 또한 폐하께서 친히 목도한 것이니, 수 양제가 무도하였기 때문에注+(위하다)는 거성去聲이다. 하늘이 폐하께 명하여 그를 대신하게 하였습니다.
폐하께서 만일 만족스럽게 여기신다면 금일만 만족하지 않을 것이고注+(뿐)는 이다., 만일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여기신다면 이보다 만 배가 된다고 하더라도 또한 만족하지 못하실 것입니다.”
이에 태종이 말하였다. “공의 아뢴 대답이 매우 훌륭하오. 공이 아니면 짐이 어찌 이와 같은 말을 들을 수 있겠소.”


역주
역주1 以欲從人者昌 以人樂己者亡 : 《春秋左氏傳》 僖公 21년에 “자기의 욕심을 버리고 남을 따르면 좋지만, 남에게 제 욕심을 따르게 하면 이룸이 적다.[以欲從人則可 以人從欲鮮濟]”라고 하였다.
역주2 上之所好 下必有甚 : 《孟子》 〈滕文公 上〉에 “윗사람이 무엇을 좋아함이 있으면 아랫사람이 반드시 그보다 더 심하게 한다.[上有好者 下必有甚焉者矣]”라고 하였다.

정관정요집론(3)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