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2)

정관정요집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陛下 聰明神武하시고 天姿英睿하시며 志存泛愛하여 引納多途하사
好善而不甚擇人注+ 好善而不甚擇人:好, 去聲. 後同.하고 疾惡而未能遠佞하시며
又出言無隱하고 疾惡太深하사 聞人之善 或未全信하고 聞人之惡 以爲必然하시니
雖有獨見之明이라도 猶恐理或未盡이니 何則
君子 揚人之善하고 小人 訐人之惡하나니
聞惡必信이면 則小人之道長矣注+ 則小人之道長矣:長, 音掌. 後同. 聞善或疑 則君子之道消矣
爲國家者 急於進君子하고 而退小人이어늘
乃使君子道消하고 小人道長하면 則君臣失序하고 上下否隔注+ 上下否隔:否, 音粃.하여 亂亡不卹이니 將何以理乎리잇가
且世俗常人 心無遠慮하고 情在告訐하여 好言朋黨이니이다
夫以善相成注+ 夫以善相成:夫, 音扶. 後同. 謂之同德이요 以惡相濟 謂之朋黨이어늘
今則淸濁共流하고 善惡無別注+ 善惡無別:別, 彼列切.하여 以告訐爲誠直하고 以同德爲朋黨하니
以之爲朋黨이면 則謂事無可信이요 以之爲誠直이면 則謂言皆可取
此君恩所以不結於下 臣忠所以不達於上이니이다
大臣 不能辯正하고 小臣 莫之敢論하여 遠近承風하여 混然成俗하니
非國家之福이요 非爲理之道 適足以長姦邪하고 亂視聽하여
使人君不知所信하고 臣下不得相安이니 若不遠慮하여 深絶其源이면 則後患 未之息也리이다
今之幸而未敗者 由乎君有遠慮하여 雖失之於始 必得之於終故也니이다
若時逢少隳하여 往而不返이면 雖欲悔之 必無所及이니
旣不可以傳諸後嗣어든 復何以垂法將來리잇가
且夫進善黜惡 施於人者也注+ 施於人者也:施, 平聲. 後同. 以古作鑑 施於己者也니이다
하고 鑑己 在乎哲人하니
能以古之哲王으로 鑑於己之行事하면 則貌之姸醜 宛然在目하고 事之善惡 自得於心하여
無勞하고 不假하여 巍巍之功 日著하고 赫赫之名 彌遠하리니
爲人君者 不可務乎잇가


폐하께서는 총명함과 신묘한 무예를 갖추셨고 타고난 바탕이 영매하시며 뭇사람들을 널리 사랑하는 데 뜻을 두시고 다양한 길을 통해 인재들을 받아들이십니다.
하지만 선을 좋아하면서도 그다지 인재를 잘 선발하지 못하고注+(좋아하다)는 거성去聲이다. 뒤에도 같다. 악을 미워하면서도 아양 떠는 자들을 멀리하지는 못하시며,
또 말을 하실 때 서슴없이 하고 악을 미워하기를 너무 깊이 하셔서, 다른 사람의 선행을 듣고는 온전히 믿지 않기도 하고 다른 사람의 악행을 듣고는 반드시 그럴 것이라고 여기십니다.
비록 홀로 간파하시는 밝은 눈을 가지셨지만 사리에 혹시라도 미진한 바가 있지 않을까 싶으니, 그것은 어째서입니까.
군자君子는 다른 사람의 선행을 드날리고 소인小人은 다른 사람의 악행을 까발립니다.
악행을 듣고 반드시 믿게 되면 소인의 도가 자라나고注+(자라다)은 이다. 뒤에도 같다., 선행을 듣고 의심하게 되면 군자의 도가 수그러듭니다.
국가를 다스리는 이는 군자를 진출시키고 소인을 퇴출시키는 데 급급해야 하는데,
군자의 도가 수그러들고 소인의 도가 자라게 하면 임금과 신하가 질서를 잃고 위와 아래가 가로막혀注+(막히다)는 이다., 혼란과 멸망이 돌아볼 겨를 없이 올 터인데 장차 무엇으로 다스릴 수 있겠습니까.
그 뿐만 아니라 세속의 보통 사람들은 마음에 깊은 고려가 없이 마음먹고 잘못을 까발려서 붕당朋黨을 이야기하기를 좋아합니다.
선으로 서로 완성시켜주는 것을注+(발어사)는 이다. 뒤에도 같다. 동덕同德이라 하고, 악으로 서로 구제하는 것을 붕당朋黨이라 합니다.
그런데 지금은 청류淸流탁류濁流가 함께 흐르고 선과 악의 구별이 없어注+(구별)은 의 반절이다. 까발리는 것을 진실하고 정직한 것이라 하고 동덕同德을 붕당이라 합니다.
그것을 붕당이라고 하면 믿을 만한 일이 없다고 할 수 있으며, 그것을 진실하고 정직한 것이라 하면 그 말이 모두 취할 만하다 할 것입니다.
이는 임금의 은혜가 아랫사람에게 연결되지 못하고 신하의 충성이 윗사람에게 전달되지 못하는 이유이며,
대신大臣이 변론해 바로잡을 수 없고 소신小臣이 감히 논할 수 없어서, 원근 사람들이 그 기풍을 이어받아 온통 풍습을 이룹니다.
이는 국가를 위한 복이 아니고 다스리는 도가 아니어서, 다만 간악하고 사악함을 자라게 하고 임금의 눈과 귀를 혼란시켜서,
임금에게는 믿어야 할 것을 모르고 신하에게는 편안함을 얻을 수 없게 하니, 만일 깊이 고려해서 그 근원을 확실하게 도려내지 않으면 후환이 사라지지 않을 것입니다.
오늘날 다행히 패망하지 않은 것은 임금이 깊은 고려를 하여 비록 시작에서 실수가 있었지만 뒤에서 반드시 방법을 터득했기 때문입니다.
만일 조금 쇠락한 때를 만나 앞으로만 내달려서 되돌아오지 못한다면 후회한다고 해도 반드시 미처 수습하지 못할 것이니,
이것은 후계자에게도 전할 수 없는데 다시 어찌 미래에 모범을 보일 수 있겠습니까.
선을 진출시키고 악을 퇴출시키는 것은 남에게 시행하는 일이고注+(베풀다)는 평성平聲이다. 뒤에도 같다., 옛것으로 거울을 삼는 것은 자신에게 시행하는 일입니다.
모습을 비춰보는 것은 멈춰 있는 물에게 있고, 자신을 비춰보는 것은 철인哲人에게 있습니다.
철왕哲王으로 자신이 행한 일을 비춰보면 모습의 좋고 나쁨이 눈앞에 완연하게 나타나고 일의 선과 악이 저절로 마음속에서 이해될 것입니다.
애써 과오를 맡아 기록하는 사관의 손을 빌릴 필요도 없고 꼴꾼과 나무꾼의 이야기를 빌리지 않아도 드높은 공로가 나날이 드러나고 혁혁한 명성이 갈수록 커질 것이니,
임금 되는 이가 힘쓰지 않아서야 되겠습니까.


역주
역주1 鑑貌 在乎止水 : 괴어 있는 물로 자신의 모습을 비춰 살필 수 있음을 말한다. 《莊子》 〈德充符〉의 仲尼의 말에 “흐르는 물에는 자신의 모습을 비춰볼 수 없고, 잔잔하게 고여 있는 물이라야 비춰볼 수 있다.[人莫鑑於流水 而鑑於止水]”라고 하였다.
역주2 司過之史 : 과실을 맡아 기록하는 관리이다. 《新書》 〈保傅〉에 “司過의 史가 있다.[有司過之史]”라고 하였다.
역주3 芻蕘之議 : 미천한 사람의 의견도 겸허히 들어야 함을 말한다. 《詩經》 〈大雅 板〉에 “先賢들이 말하기를 나무꾼에게도 물으라 하였다.[先民有言 詢于芻蕘]”라고 하였다.

정관정요집론(2)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