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2)

정관정요집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惟聖上之慈愛하사 訓義方於至道하시고 同論政於하시며 修致戒於京注+ 修致戒於京鄗:鄗, 音鎬, 地名.니이다
鄙韓子之所賜注+ 鄙韓子之所賜:晉元帝好任刑法, 以韓非子賜太子.하시고 重經術以爲寶하시며 咨政理之美惡하시고 亦文身之黼藻하시며
庶有擇於愚夫하시고 慙乞言於遺老하시며 致庶績於咸寧하시고 先得人而爲盛이니이다
帝堯 以則哲垂謨注+ 帝堯以則哲垂謨:虞書曰 “知人則哲, 能官人.”하시고 文王 以多士興詠注+ 文王以多士興詠:詩曰 “濟濟多士, 文王以寧.”하사
取之於正人하시고 鑑之於靈鏡하시며 量其器能注+ 量其器能:量, 平聲.하고 審其檢行注+ 審其檢行:行, 去聲.하사
必宜度機而分職注+ 必宜度機而分職:度, 待洛切.하고 不可違方以從政이니이다
若其惑於聽受하고 暗於知人하면 則有道者咸屈하고 無用者必伸하며
讒諛競進以求媚하고 翫好不召而自臻注+ 翫好不召而自臻:好, 去聲.이니이다
直言正諫 以忠信而獲罪하고 賣官鬻獄 以貨賄而見親注+ 賣官鬻獄 以貨賄而見親:鬻, 音育.하여
於是虧我王度하고 斁我彝倫注+ 斁我彝倫:斁, 音妬, 亂也.이니이다
遇姦回而遠逝注+ 九鼎 遇姦回而遠逝:九鼎, 周之寶器. 周沈泗水中, 始皇求之, 不能出.하고 萬姓 望撫我而歸仁注+ 惟聖上之慈愛……望撫我而歸仁:此一節, 述任用之戒.이니이다


오직 지금 성상께서 자애로우시어 지극한 도리에서 정의의 방법을 가르치시고, 한악漢幄에서 함께 정책을 논하시고, 경호京鄗에서 경계를 보이셨습니다.注+이며 지명地名이다.
한비자韓非子》를 하사한 것을 추하게 여기시고注+진 원제晉 元帝형법刑法에 맡기는 것을 좋아해서, 《한비자韓非子》를 태자太子에게 하사했다., 유학의 경세술을 보물로 중시하시며, 정치의 선악을 자문하시고, 훌륭한 문장으로 몸을 빛나게 하시며,
낮은 백성에게서도 의견을 채택하시고, 원로들에게 훌륭한 말씀을 수줍게 청하시며, 모두 편안한 데에서 공적을 이룩하시고, 사람 얻는 것을 우선함에서 성대하십니다.
임금은 명철해야 할 것을 〈고요모皐陶謨〉에 남기시고注+상서尙書》 〈우서虞書 고요모皐陶謨〉에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사람을 알면 명철해져서 사람들을 제대로 관직에 임명할 수 있다.” 문왕文王은 많은 인물로 찬송을 일으키시어注+시경詩經》 〈대아大雅 문왕文王〉에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훌륭한 많은 인물들로 문왕文王이 편안하셨네.”,
바른 사람에게서 취택하고 영험한 감식력으로 비추어보시며, 그 기국과 능력을 헤아리고注+(헤아리다)은 평성平聲이다. 그 몸가짐을 살펴서注+(행실)은 거성去聲이다.,
반드시 기능을 헤아려 직책을 나누어주고注+(헤아리다)은 의 반절이다., 원칙을 위배하여 정사를 하지 않으셨습니다.
만약 듣는 것에 현혹되고 사람을 아는 데에 어둡게 되면, 도를 가진 자가 모두 굽힘을 당하고, 쓸모없는 자가 반드시 뜻을 펼치게 되며,
참소하고 아첨하는 자가 앞다퉈 나와 아양을 떨고, 완상물들이 부르지 않아도 저절로 이르게 될 것입니다.注+(좋아하다)는 거성去聲이다.
올곧은 말과 바른 간언을 한 사람이 충성과 믿음 탓에 죄를 얻고, 관직을 팔고 소송을 거래하는 이들이 재화와 뇌물로 친애를 얻게 되어注+(판매하다)은 이다.,
이에 우리의 왕법王法을 흐트러뜨리고 우리의 윤리를 망가뜨리게 될 것입니다.注+이며 어지럽히는 것이다.
구정九鼎(국운國運)이 간악한 무리를 만나 멀리 떠나고注+구정九鼎나라의 보기寶器이다. 나라가 사수泗水 안에 넣어두었는데 진시황秦始皇이 찾아 나섰지만 끝내 찾아내지 못했다., 만성萬姓들이 자기를 어루만져준 사람을 바라보고 인의仁義에 귀의하게 될 것입니다.注+이 1임용任用경계警戒를 기술한 것이다.


역주
역주1 漢幄 : 漢나라의 장막이라는 말로, 한나라를 지칭한다. 漢 武帝 때 유학을 존숭하여 經學으로 정치를 논하였다.
역주2 : 後漢 光武帝가 등극한 곳이다.
역주3 九鼎 : 왕조의 상징물로 비유된다.

정관정요집론(2)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