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2)

정관정요집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伏願俯推叡範하사 訓及儲君하고 授以良書하여 娛之嘉하며
朝披經史하여 觀成敗於前蹤하고 晩接賓遊하여 訪得失於當代하고
間以書札注+ 間以書札:間, 去聲.하며 繼以篇章하면 則日聞所未聞하고 日見所未見하여 愈光하리니 群生之福也
竊以良娣之選 徧於中國하니
仰惟聖旨컨대 本求典內하여 冀防微하고 愼遠慮 臣下所知로되
暨乎徵簡人物注+ 暨乎徵簡人物:徵, 平聲.하여는 則與聘納相違하고 監撫二周注+ 監撫二周:監, 平聲, 監撫謂監國撫軍也. 未近一士하니
愚謂內旣如彼하니 外亦宜然者
恐招物議하여 謂陛下重內而輕外也일가하노이다
古之太子 問安而退 所以廣敬於君父 異宮而處注+ 異宮而處:處, 上聲. 所以分別於嫌疑注+ 所以分別於嫌疑:別, 彼列切.
今太子一侍天闈 動移旬朔하니 師傅已下 無由接見이라
假令供奉有隟注+ 假令供奉有隟:供, 平聲.하여 暫還東朝라도 拜謁旣疎하고
且事俯仰이라 規諫之道 固所未暇하니 陛下不可以親敎 宮寀無因以進言注+ 宮寀無因以進言:寀, 音采, 寮屬也.이라
雖有具寮 竟將何補리오
伏願俯循前躅注+ 伏願俯循前躅:躅, 音燭, 跡也.하고 稍抑하사 弘遠大之規하시고 展師友之義하시면
克茂하고 帝圖斯廣하리니 凡在黎元 孰不慶賴리오
太子溫良恭儉 聰明叡哲 所悉이니 臣豈不知리오마는
而淺識勤勤하여 思效愚忠者 願滄溟益潤하고 日月增華也니이다
太宗乃令洎與岑文本馬周 遞日往東宮하여 與皇太子談論注+ 散騎常侍劉洎上書曰……與皇太子談論:按通鑑此疏係十七年. 又按高宗諫誅穆裕, 太宗歸功洎等事, 在十八年, 則洎上此疏, 當在十七年.케하다
【集論】唐氏仲友曰 劉洎此疏 足見其爲剛直果敢之士
太宗 歸功諫臣하니 則洎接正人聞正論之說 驗矣
惜太子不足有爲也
又曰 古之制 意甚深矣
하니 還東宮하여 近師傅之諫 當矣
愚按 太子承乾旣廢하고 晉王治初立之後 劉洎此疏 條陳詳悉하니 誠敎世子之至善也
太宗以洎言으로 令洎與岑文本馬周遞日往東宮談論케하니 可謂得人矣
親君子 遠小人之要 未必不見於談論也어늘
하여는 不旋踵而背之하여 卒基於不忍言하니
其氣化人事之相符乎 抑所以輔翼之具未至耶


엎드려 바라건대 폐하의 모범을 미루어 교훈이 태자에게 미치게 하고, 좋은 책을 주어 훌륭한 빈객賓客과 즐기게 하며,
아침에는 경사經史를 보게 하여 이전 시대의 성공과 실패를 살피게 하고, 저녁에는 빈객을 맞이하여 당대의 득실을 묻게 하고,
틈날 때는 서찰을 쓰고注+(빈틈)은 거성去聲이다. 문장을 뒤이어 짓게 하면, 날마다 듣지 못하던 것을 듣게 되고, 날마다 보지 못하던 것을 보게 되어 태자의 덕이 더욱 밝아질 것이니, 이는 백성들의 복입니다.
가만히 생각건대 양제良娣(태자의 비빈妃嬪)를 간택하는 일은 온 나라에서 구해야 하니,
우러러 폐하의 뜻을 생각해보건대 본래 태자궁 안을 담당할 사람을 구하여 작은 조짐에서 예방하기를 바라고 멀리까지 염려하여 삼가신 것이니, 이는 여러 신하들이 이미 알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인재를 불러 선발하는 것은注+(부르다)은 평성平聲이다. 혼례 의식과는 다르고, 태자가 국사를 대행한 지 2년이 되었으나注+(주관하다)은 평성平聲이니, 감무監撫는 나라를 다스리고 군대를 지휘하는 것을 말한다. 아직 한 사람의 선비도 가까이하지 않았습니다.
저는 태자궁 안의 일을 저렇게 신중하게 하였으니, 외부의 인재 선발 또한 마땅히 신중히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물의를 일으켜 폐하께서 태자궁 안의 일은 중히 여기고, 외부의 일은 경시한다는 말을 듣게 될까 두렵습니다.
옛날에 태자가 안부를 묻고서 물러난 것은 군부君父를 널리 존경하기 위함이었고, 황제와 다른 궁에서 거처한 것은注+(처하다)는 상성上聲이다. 혐의를 피하기 위함이었습니다.注+(다르다)은 의 반절이다.
지금 태자가 폐하를 모시는 것을 열흘이나 한 달 만에 한 번 하니, 사부師傅 이하가 태자를 뵐 길이 없습니다.
가령 폐하 곁에서 모시다가 틈이 있어서注+(공급하다)은 평성平聲이다. 잠시 동궁에 돌아오더라도 배알할 기회가 이미 드물고,
또 일에 부응해야 하기 때문에 간언할 방도는 진실로 틈을 내지 못하니, 폐하께서 친히 가르칠 수 없고, 또한 관료들도 나아가 아뢸 기회가 없습니다.注+는 음이 이니, ‘관료’라는 뜻이다.
비록 관료들이 구비되어 있다고 한들 결국 무슨 도움이 되겠습니까.
엎드려 바라건대 이전의 전례를 따라注+은 음이 이니 ‘자취’라는 뜻이다. 태자에 대한 사랑을 조금 억눌러 원대한 규범을 넓히시고 사우師友의 의리를 펴게 하신다면,
태자의 덕성은 무성해지며 왕업은 광대해질 것이니, 백성들이 어느 누가 기뻐하며 의지하지 않겠습니까.
태자가 온화하고 선량하며 공손하고 검소하며 총명하고 명철한 것은 모두가 알고 있는 사실이니, 신이 어찌 알지 못하겠습니까.
그러나 식견이 얕은 제가 부지런히 어리석은 충정이나마 바치려고 생각하는 것은 푸르른 대해에 물방울을 더하고 일월에 한 점의 빛을 더하기를 원해서입니다.”
태종은 곧 유계에게 잠문본岑文本마주馬周와 함께 날을 번갈아가며 동궁을 왕래하여 황태자와 담론하게 하였다.注+자치통감資治通鑑》을 살펴보니, 이 상소는 정관 17년에 속해 있다. 또 살펴보건대 고종高宗목유穆裕를 죽이는 것에 대해 간언한 일과 태종太宗유계劉洎 등에게 공로를 돌린 일은 정관 18년에 있었으니, 유계劉洎가 올린 이 상소는 마땅히 정관 17년에 있어야 한다.
당중우唐仲友가 말하였다. “유계劉洎의 이 상소에서 그가 강직하고 과감한 선비임을 알 수 있다.
태종이 태자가 목유穆裕를 주살하려는 것에 대해 간언한 것을 간신諫臣의 공로로 돌렸으니, 유계가 정인正人들과 교유하고 정론正論을 들었다는 말을 징험할 수 있다.
태자가 큰 일을 해내기에는 부족한 인물이라는 점이 안타깝다.”
또 말하였다. “옛날의 제도에 ‘명사命士 이상은 부자가 다른 집에서 산다.’라고 하였으니, 의미가 아주 깊다.
자식을 바꾸어 가르치고, 잘하기를 요구하면 부자 사이가 벌어지게 되니, 동궁으로 돌아가 가까이에서 사부師傅의 간언을 듣는 것이 마땅하다.”
내가 살펴보건대, 태자 이승건李承乾이 폐위되고 나서 진왕晉王 이치李治가 처음 태자가 된 후에 유계劉洎가 이 상소에서 조목조목 상세하게 진술하였으니, 진실로 세자를 교육하는 데 지극히 훌륭한 일이다.
태종이 유계의 말을 따라 유계‧잠문본‧마주에게 날을 번갈아 동궁으로 가서 담론하게 하였으니, 인물을 얻었다고 할 만하다.
자신의 몸을 수양하고 집안을 바로잡는 방법과 대신을 공경함, 여러 신하의 마음을 체찰함, 군자君子를 가까이하며 소인小人을 멀리하는 요체를 담론할 적에 필시 보았을 것이다.
그런데 제위帝位에 올라서는 얼마 지나지 않아 그와 위배되는 행동을 하여 결국에는 차마 말할 수 없는 나라 재앙의 기틀의 되었으니,
기화氣化인사人事가 서로 부합한 것인가. 아니면 보좌하는 이들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아 그런 것인가.


역주
역주1 : 太子賓客으로, 태자를 侍從하여 보좌하는 관원이다.
역주2 副德 : 儲副(太子)의 德을 말한다.
역주3 下流 : 子孫에 대한 사랑을 말한다.
역주4 離徽 : 밝은 美德을 말한다.
역주5 含靈 : 천하 백성을 말한다.
역주6 太子諫誅穆裕 : 《舊唐書》 권74 〈劉洎列傳〉에 보인다. 穆裕는 태자 李治의 간언으로 주살을 면하였다.
역주7 命士以上父子異宮 : 《禮記》 〈內則〉에 보인다. 命士는 爵命을 받은 士(하급 관원)이다.
역주8 易子而敎 責善則離 : 《孟子》 〈離婁 上〉의 “옛날에는 자식을 바꾸어서 가르쳤다. 부자간에는 잘하라고 요구해서는 안 되니, 잘하기를 요구하면 사이가 벌어지게 된다. 사이가 벌어지면 이보다 더 상서롭지 못한 일은 없다.[古者易子而敎之 父子之間不責善 責善則離 離則不祥莫大焉]”에서 유래한 것이다.
역주9 修身正家之道 敬大臣 體群臣 : 《大學》 3綱領의 “修身齊家”, 《中庸》 20章의 9經의 “敬大臣也 體群臣也”에서 유래한 것이다.
역주10 出震繼明 : 태자가 계승하여 천자로서 다스림을 말한다. 出震은 《周易》 〈說卦傳〉에 “임금이 진에서 나온다.[帝出乎震]”라고 하였는데, 震은 長男, 즉 태자이다. 繼明은 離卦 〈象傳〉에 “밝음이 둘인 것이 이가 되니, 대인이 보고서 밝음을 이어 사방을 비춘다.[明兩作離 大人以 繼明照于四方]”라고 하였는데 君位를 세습하여 이어서 다스리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역주11 唐家之禍 : 則天武后가 황제에 올라 국호를 周로 바꾸는 등 발호한 재앙을 말한다.

정관정요집론(2)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