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3)

정관정요집론(3)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臣心識昏憒하니 豈足論聖功之深遠하고 談天德之高大哉리오 陛下兼衆美而有之하여 靡不備具하시니 微臣深爲陛下惜之重之愛之寶之하노이다
周易曰 知進而不知退하고 知存而不知亡하며 知得而不知喪이라하고 又曰 知進退存亡而不失其正者 惟聖人乎注+㉒ 知進退存亡而不失其正者 其惟聖人乎:易文言傳釋乾卦之辭.인저하니
由此言之컨대 進有退之義하며 存有亡之機하며 得有喪之理하니 老臣所以爲陛下惜之者 蓋謂此也니이다
老子曰 知足不辱이요不殆라하니 臣謂陛下威名功德 亦可足矣 拓地開疆 亦可止矣
彼高麗者 邊夷賤類 不足待以仁義 不可責以常理
古來以魚鱉畜之하니 宜從闊略이어늘 必欲絶其種類 深恐이니이다
且陛下每決死囚 必令注+㉓ 令:平聲.三覆五奏하고 進素食停音樂者 蓋以人命所重이니 感動聖慈也
況今兵士之徒 無一罪戾어늘 無故驅之於戰陣之間하고 委之於鋒刃之下하여 使肝腦塗地하여 魂魄無歸하고 令其老父孤兒寡妻慈母 望轊車而掩泣하고 抱枯骨而摧心하면
足變動陰陽하고 感傷和氣하니 實天下之寃痛也니이다


신은 마음과 식견이 어두우니, 어찌 폐하의 심원한 공을 논하고 고원한 덕을 말할 수 있겠습니까. 폐하께서는 여러 아름다움을 겸비하여 갖추지 않음이 없으시니, 미천한 신은 깊이 폐하를 애석해하고 중시하며 사랑하고 보배로 여깁니다.
주역周易건괘乾卦문언전文言傳〉에 이르기를 ‘나아갈 줄만 알고 물러날 줄은 모르며, 생존만 알고 죽음은 모르며, 얻는 것만 알고 잃는 것은 모른다.’라고 하였고, 또 이르기를 ‘진퇴와 존망을 알고 정도를 잃지 않는 사람은 아마도 성인일 것이다.’라고 하였습니다.注+주역周易》 〈문언전文言傳〉에서 건괘乾卦를 풀이한 말이다.
이로 말미암아 말해보자면 나아감에는 물러남의 뜻이 포함되어 있고, 생존에는 멸망의 기미가 포함되어 있으며, 얻음에는 잃음의 이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제가 폐하를 위해 애석해하는 것은 이를 말합니다.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에 이르기를 ‘만족할 줄을 알면 치욕을 당하지 않고, 그칠 줄을 알면 위태롭지 않게 된다.’라고 하였으니, 신은 폐하의 위명威名공덕功德 역시 만족할 만하고, 영토를 광대하게 개척한 것 역시 그칠 만하다고 생각합니다.
고구려高句麗는 변경 오랑캐 지역의 천한 족속이니, 인의仁義로 대우하기에는 부족하고 일상적인 이치로 질책할 수가 없습니다.
옛날부터 물고기와 자라처럼 간주하였으니, 마땅히 관대하게 대해야 하는데, 반드시 그 종족을 없애려고 한다면 궁지에 몰린 짐승이 달려들듯이 덤벼들까 매우 우려됩니다.
게다가 폐하께서 늘 사형수들을 판결할 때에 반드시注+(하여금)은〉 평성平聲이다. 세 번 조사하고 다섯 번을 아뢰게 하고, 거친 음식을 올리도록 하며 음악을 멈추게 한 것은 인명을 소중히 여겼기 때문이니, 폐하의 인자함에 감동하였습니다.
하물며 지금 병사들이 아무런 죄가 없는데, 이유 없이 그들을 전쟁터로 내몰아 창칼 아래에 목숨을 내맡기게 하여 길에서 참혹한 죽음을 맞아 원혼이 돌아갈 곳이 없도록 하고, 그들의 노부모老父母, 고아孤兒, 과부寡婦, 자모慈母들이 시신을 실은 수레를 보고 눈물을 훔치고 마른 유골을 끌어안고 가슴 아프게 한다면,
이는 음양陰陽을 변동시키고 조화로운 기운을 손상시키기에 충분하니, 실로 천하 사람들의 원망과 고통이 됩니다.


역주
역주1 (恥)[止] : 저본에는 ‘恥’로 되어 있으나, 《老子道德經》에 의거하여 ‘止’로 바로잡았다.
역주2 獸窮則搏 : 《韓詩外傳》 권2의 “짐승이 궁지에 몰리면 물고, 새가 궁지에 몰리면 쪼아대고, 사람이 궁지에 몰리면 거짓말을 한다.[獸窮則齧 鳥窮則啄 人窮則詐]”에서 유래한 것이다.

정관정요집론(3)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