貞觀十二年
에 太宗
이 幸蒲州
注+ 太宗 幸蒲州:蒲州, 今爲解州, 隷河東.하여 因詔曰
 
                        		
                        		
                        		
	                     		
			                       	
			                       	
	                     		
	                     		
		                        
                        	
                        	
                        	
                        	
                        		
                        			
                        			
			                        
			                        	隋故鷹擊郎將
注+ 隋故鷹擊郎將:將, 去聲. 隋制, 親侍置鷹揚府, 有鷹揚郎將, 後改副郎將爲鷹擊郎將.堯君素
注+ 堯君素:堯君素, 魏郡人. 煬帝爲晉王時, 君素以左右從, 及嗣位, 累遷鷹擊郎將. 及天下大亂, 君素所部獨全. 後從屈突通, 守河東, 通敗, 通誘之降, 君素責通不義, 卒無降心. 其妻誘之降, 乃引弓射殺之. 嘗曰 “大義不得不死.” 後爲左右所害.가 往在大業
에 受任河東
하여 固守忠義
하여 克終臣節
하니 
                        		
                        		
                        		
	                     		
			                       	
			                       	
	                     		
	                     		
		                        
                        	
                        	
                        	
                        	
                        		
                        			
                        			
			                        
			                        	雖桀犬吠堯
注+ 雖桀犬吠堯:하여 有乖倒戈之志
注+ 有乖倒戈之志:周書曰 “前徒倒戈.” 言衆服周仁政, 無有戰心, 前徒倒戈, 自攻于後也.나 疾風勁草
가 實表歲寒之心
이라 
                        		
                        		
                        		
	                     		
			                       	
			                       	
	                     		
	                     		
		                        
                        	
                        	
                        	
                        	
                        		
                        			
                        			
			                        
			                        	爰踐玆境하여 追懷往事하노니 宜錫寵命하여 以申勸獎이니
			                         
                        		
                        		
                        		
	                     		
			                       	
			                       	
	                     		
	                     		
		                        
                        	
                        	
                        	
                        	
                        		
                        			
                        			
			                        
                        		
                        		
                        		
	                     		
			                       	
			                       	
	                     		
	                     		
		                        
                        	
                        	
                        	
                        	
                        		
                        		
                        		
                        			
                        			
		                       		
		                       		
		                       		
		                       			
		                       			
		                       			
		                       				注
		                       		
		                        
		                        	
		                        		
		                            	【集論】愚按 
하고 唐太宗
이 褒堯君素
는 皆帝王盛德事也
라 
									
                        			
                        			
                        		
	                     		
			                       	
			                       	
	                     		
	                     		
		                        
                        	
                        	
                        	
                        	
                        		
                        		
                        		
                        			
                        			
		                       		
		                       		
		                       		
		                        
		                        	
		                        		
									
                        			
                        			
                        		
	                     		
			                       	
			                       	
	                     		
	                     		
		                        
                        	
                        	
                        	
                        	
                        		
                        		
                        		
                        			
                        			
		                       		
		                       		
		                       		
		                        
		                        	
		                        		
		                            	季布는 身爲楚將하여 數窘沛公하니 此人臣之常事요
		                            	 
									
                        			
                        			
                        		
	                     		
			                       	
			                       	
	                     		
	                     		
		                        
                        	
                        	
                        	
                        	
                        		
                        		
                        		
                        			
                        			
		                       		
		                       		
		                       		
		                        
		                        	
		                        		
									
                        			
                        			
                        		
	                     		
			                       	
			                       	
	                     		
	                     		
		                        
                        	
                        	
                        	
                        	
                        		
                        		
                        		
                        			
                        			
		                       		
		                       		
		                       		
		                        
		                        	
		                        		
		                            	唐室方興에 兵精將勇하여 戰無不勝하고 攻無不破어늘
		                            	 
									
                        			
                        			
                        		
	                     		
			                       	
			                       	
	                     		
	                     		
		                        
                        	
                        	
                        	
                        	
                        		
                        		
                        		
                        			
                        			
		                       		
		                       		
		                       		
		                        
		                        	
		                        		
		                            	君素가 以區區一城之衆으로 外無彊援이로대 徒以忠義로 激勵士卒하여
		                            	 
									
                        			
                        			
                        		
	                     		
			                       	
			                       	
	                     		
	                     		
		                        
                        	
                        	
                        	
                        	
                        		
                        		
                        		
                        			
                        			
		                       		
		                       		
		                       		
		                        
		                        	
		                        		
		                            	自義寧元年으로 至武德三年히 始終四載를 唐朝凡易數將하여 僅能克之하니
		                            	 
									
                        			
                        			
                        		
	                     		
			                       	
			                       	
	                     		
	                     		
		                        
                        	
                        	
                        	
                        	
                        		
                        		
                        		
                        			
                        			
		                       		
		                       		
		                       		
		                        
		                        	
		                        		
		                            	此不唯忠義可嘉라 其知勇才能도 亦古今所罕有也니 嗚呼難哉로다
		                            	 
									
                        			
                        			
                        		
	                     		
			                       	
			                       	
	                     		
	                     		
		                        
                        	
                        	
                        	
                        	
                        		
                        		
                        		
                        			
                        			
		                       		
		                       		
		                       		
		                        
		                        	
		                        		
		                            	太宗이 不惟褒贈이라 又訪錄其子孫하니 忠義之士가 其有不興起者乎아
		                            	 
									
                        			
                        			
                        		
	                     		
			                       	
			                       	
	                     		
	                     		
		                        
                        	
                        	
                        	
                        	
                   			
                    			
                    				
                    				 
                    			
                   			
                        	
                        	
                        	
                        	
	                       	
	                       	
	                       	
	                       	
							                       	
	                        
	                        
	                        	
	                        
	                        	
	                        		
	                        	
	                        
	                        	
	                        
	                        	
	                        		
	                        	
	                        
	                        	
	                        
	                        	
	                        		
	                        	
	                        
	                        	
	                        
	                        	
	                        		
	                        	
	                        
	                        	
	                        
	                        	
	                        		
	                        	
	                        
	                        	
	                        
	                        	
	                        
	                        	
	                        
	                        	
	                        
	                        	
	                        
	                        	
	                        
	                        	
	                        
	                        	
	                        
	                        	
	                        
	                        	
	                        
	                        	
	                        
	                        	
	                        
	                        	
	                        
	                        	
	                        
	                        	
	                        
	                        	
	                        
	                        	
	                        
	                        	
	                        
	                        
	                        
                        	
		                        
		                        
		                        
		                        
                        		
                        	
		                        
		                        
		                        
		                        	
		                        	
		                        
		                        
                        		
                        		
                        			
			                        
			                        	정관貞觀 12년(638)에 
태종太宗이 
포주蒲州에 
순행巡幸하여
注+포주蒲州는 지금의 해주解州이며 하동河東에 속한다. 다음과 같이 조칙을 내렸다.
 
			                              
                        			
                        		
                        		
	                     		
			                       	
			                       	
	                     		
		                        
                        	
		                        
		                        
		                        
		                        
                        		
                        	
		                        
		                        
		                        
		                        	
		                        	
		                        
		                        
                        		
                        		
                        			
			                        
			                        	“
수隋나라 
고故 응격낭장鷹擊郎將注+장將(장수)은 거성去聲이다. 수隋나라 제도에 의하면 친위親衛 시종侍從 안에 응양부鷹揚府를 개설하고 응양랑장鷹揚郎將을 두었는데 뒤에 부랑장副郎將을 응격낭장鷹擊郎將으로 바꿨다. 요군소堯君素가
注+요군소堯君素은 위군魏郡 사람이다. 양제煬帝가 진왕晉王이었을 때 요군소가 좌우左右에서 모셨는데 양제煬帝가 재위에 오르고 나서는 여러 번 승진하여 응격낭장鷹擊郎將이 되었다. 천하天下가 크게 혼란에 빠졌을 때도 요군소가 거느리는 곳만은 홀로 온전했다. 뒤에 굴돌통屈突通을 따라가 하동河東을 지켰는데 굴돌통이 패하고 굴돌통이 항복하라고 달래었지만 요군소는 굴돌통에게 의롭지 못하다고 꾸짖고 끝내 항복할 마음이 없었다. 그의 아내가 항복하라고 달래자 활을 당겨 쏘아 죽였다. 일찍이 말하기를 “대의를 위해선 죽지 않을 수 없다.”라고 했다. 뒤에 측근에게 살해되었다. 지난 
대업大業(605~616) 때 
하동河東에서 임무를 맡으며 충성과 의리를 굳건히 지켜 신하의 절의를 끝까지 다했다.
      
                        			
                        		
                        		
	                     		
			                       	
			                       	
	                     		
		                        
                        	
		                        
		                        
		                        
		                        
                        		
                        	
		                        
		                        
		                        
		                        	
		                        	
		                        
		                        
                        		
                        		
                        			
			                        
			                        	비록 
걸왕桀王의 개가 
요堯임금에게 짖어
注+《한서漢書》에 “걸왕桀王의 개가 요堯임금을 보고 짖는 것은 요堯임금이 어질지 못해서가 아니라 그 주인이 아닌 사람을 보고 짖은 것일 뿐이다.”라고 했다. 창을 거꾸로 잡아드는 뜻을 어겼지만
注+《상서尙書》 〈주서周書 무성武成〉에서 “앞에 가는 무리들이 창을 거꾸로 겨누었다.”라고 했는데, 뭇사람들이 주周나라의 인정仁政에 탄복한 나머지 싸울 마음이 없어, 앞에 있는 무리가 창을 거꾸로 들고 후방에 있는 군사들을 직접 공격했다는 말이다., 세찬 바람 앞의 굳센 풀이 실로 추위에도 시들지 않는 마음을 표출했다.
      
                        			
                        		
                        		
	                     		
			                       	
			                       	
	                     		
		                        
                        	
		                        
		                        
		                        
		                        
                        		
                        	
		                        
		                        
		                        
		                        	
		                        	
		                        
		                        
                        		
                        		
                        			
			                        
			                        	이곳에 와서 지난날을 떠올릴 때 의당 영예로운 명命을 내려 권면과 장려의 뜻을 밝혀야 할 것이니,
			                              
                        			
                        		
                        		
	                     		
			                       	
			                       	
	                     		
		                        
                        	
		                        
		                        
		                        
		                        
                        		
                        	
		                        
		                        
		                        
		                        	
		                        	
		                        
		                        
                        		
                        		
                        			
			                        
			                        	포주자사蒲州刺史에 추증追贈하고 아울러 그의 자손들을 찾아 보고토록 하라.”
			                              
                        			
                        		
                        		
	                     		
			                       	
			                       	
	                     		
		                        
                        	
		                        
		                        
		                        
		                        
                        		
                        	
		                        
		                        
		                        
		                        
                        		
                        		
                        		
                        			
                        			
		                       		
		                       		
		                       		
		                       			
		                       			
		                       			
		                       				注
		                       		
		                       		
		                        		
			                            	내가 살펴보건대, 한 고조漢 高祖가 계포季布를 사면하고 당 태종唐 太宗이 요군소堯君素를 표창한 것은 모두 제왕의 성대한 덕과 관련된 일이다.
			                             
									
                        			
                        			
                        		
	                     		
			                       	
			                       	
	                     		
		                        
                        	
		                        
		                        
		                        
		                        
                        		
                        	
		                        
		                        
		                        
		                        
                        		
                        		
                        		
                        			
                        			
		                       		
		                       		
		                       		
		                       		
		                        		
			                            	하지만 두 사람을 아울러서 논한다면 요군소가 더 훌륭하니, 어째서인가.
			                             
									
                        			
                        			
                        		
	                     		
			                       	
			                       	
	                     		
		                        
                        	
		                        
		                        
		                        
		                        
                        		
                        	
		                        
		                        
		                        
		                        
                        		
                        		
                        		
                        			
                        			
		                       		
		                       		
		                       		
		                       		
		                        		
			                            	계포는 초楚나라 장수로 있을 때 패공沛公(유방劉邦)을 여러 차례 궁지에 몰아넣었으니 이는 신하의 일상적인 행동이다.
			                             
									
                        			
                        			
                        		
	                     		
			                       	
			                       	
	                     		
		                        
                        	
		                        
		                        
		                        
		                        
                        		
                        	
		                        
		                        
		                        
		                        
                        		
                        		
                        		
                        			
                        			
		                       		
		                       		
		                       		
		                       		
		                        		
			                            	하지만 국가가 망했는데도 죽지 않고 도망갔으니 어찌 크게 취할 만한 것이 있겠는가.
			                             
									
                        			
                        			
                        		
	                     		
			                       	
			                       	
	                     		
		                        
                        	
		                        
		                        
		                        
		                        
                        		
                        	
		                        
		                        
		                        
		                        
                        		
                        		
                        		
                        			
                        			
		                       		
		                       		
		                       		
		                       		
		                        		
			                            	당唐나라 황실이 막 흥기하여 병사들이 정예롭고 장수들이 용맹스러워서 전쟁에 이기지 못한 것이 없고 공격해서 격파하지 못한 것이 없었다.
			                             
									
                        			
                        			
                        		
	                     		
			                       	
			                       	
	                     		
		                        
                        	
		                        
		                        
		                        
		                        
                        		
                        	
		                        
		                        
		                        
		                        
                        		
                        		
                        		
                        			
                        			
		                       		
		                       		
		                       		
		                       		
		                        		
			                            	그런데 요군소는 단지 일개 작은 성곽의 무리만으로, 밖으로는 강한 응원도 없는 상태에서 한낱 충성과 의리로 병사들을 격려했다.
			                             
									
                        			
                        			
                        		
	                     		
			                       	
			                       	
	                     		
		                        
                        	
		                        
		                        
		                        
		                        
                        		
                        	
		                        
		                        
		                        
		                        
                        		
                        		
                        		
                        			
                        			
		                       		
		                       		
		                       		
		                       		
		                        		
			                            	의녕義寧 원년(617)에서부터 무덕武德 3년(620)에 이르는 4년 동안 당나라에서 여러 사람의 장수를 바꾸고 나서야 겨우 정복할 수 있었으니
			                             
									
                        			
                        			
                        		
	                     		
			                       	
			                       	
	                     		
		                        
                        	
		                        
		                        
		                        
		                        
                        		
                        	
		                        
		                        
		                        
		                        
                        		
                        		
                        		
                        			
                        			
		                       		
		                       		
		                       		
		                       		
		                        		
			                            	이는 그 충의忠義만 가상할 뿐만 아니라 그 지혜와 용기와 재능 또한 고금에 드문 것이니 아, 어려운 일이다.
			                             
									
                        			
                        			
                        		
	                     		
			                       	
			                       	
	                     		
		                        
                        	
		                        
		                        
		                        
		                        
                        		
                        	
		                        
		                        
		                        
		                        
                        		
                        		
                        		
                        			
                        			
		                       		
		                       		
		                       		
		                       		
		                        		
			                            	태종이 포상하여 증직을 내렸을 뿐만 아니라 그 자손까지 찾아 녹용錄用하게 했으니 충성과 의로운 인물들이 흥기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