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1)

정관정요집론(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凡百元首注+虞書曰 “元首明哉.” 所以喻君也. 承天景命하여 莫不殷憂而道著注+殷憂, 憂之盛也.하고 功成而德衰니이다
有善始者實繁이나 能克終者蓋寡하니取之易而守之難乎
昔取之而有餘 今守之而不足 何也
夫在殷憂하여는 必竭誠以待下 旣得志하여는 則縱情以傲物하니
竭誠則胡越爲一體注+胡越者, 極南北之間, 言至異可同也.하고 傲物則骨肉爲行路注+言至親反疏也.하니 雖董之以嚴刑注+董, 督也. 虞書曰 “董之用威.”하고 震之以威怒라도 終苟免而不懷仁하고 貌恭而不心服하니이다
하니 可畏惟人이요
載舟覆舟하니 所宜深愼注+家語曰 “君者, 舟也, 庶人者, 水也, 水所以載舟, 亦所以覆舟也.”이요
車朽索 其可忽乎注+朽, 許九切. 索, 蘇各切. 夏書曰 “予臨兆民, 凜乎若朽索之御六馬.” 喻危懼可畏之甚. 奔車朽索, 亦此意也.


무릇 모든 제왕들은注+서경書經》 〈우서虞書 익직益稷〉에 “원수元首(머리)가 명철하다.”라고 하였으니, 임금을 비유한 것이다. 하늘의 큰 명을 계승하여 크게 우려한 뒤에는 도가 드러나지만注+은우殷憂는 매우 근심하는 것이다. 공이 이루어지고 난 뒤에는 덕이 쇠하지 않은 이가 없었습니다.
시작을 잘한 이는 실로 많았으나 끝맺기를 잘한 이는 적었으니, 어찌 취하기는 쉬워도 지키기는 어려운 것이 아니겠습니까.
옛날 천하를 취할 적에는 여유가 있었으나 지금 천하를 지키는 데에는 부족한 것은 무엇 때문입니까.
크게 우려할 적에는 반드시 정성을 다하여 아랫사람을 대하였으나 뜻을 얻고 나서는 마음대로 행동하여 사람들에게 오만해서입니다.
정성을 다하면 도 일체가 되고注+은 남과 북의 간격이 극도로 먼 것인데, 〈이 일체가 된다는 것은〉 매우 달라도 함께할 수 있음을 말한다. 사람들에게 오만하면 골육骨肉(형제)도 길 가는 사람처럼 멀어지니,注+골육骨肉이 길 가는 사람처럼 된다는 것은〉 지극히 가까운 친족이 도리어 서먹서먹해짐을 말한다. 비록 엄한 형벌로 독촉하고 기세등등한 노여움으로 떨게 하더라도注+은 독촉함이니, 《서경書經》 〈우서虞書 대우모大禹謨〉에 “독촉하여 두렵게 한다.”라고 하였다. 끝내 구차히 재난을 벗어날 뿐 을 생각하지 않고, 모습으로만 공손히 할 뿐 마음으로 승복하지 않습니다.
원망함은 큰 데에 있지 않으니 두려워할 만한 것은 사람입니다.
물은 배를 띄우기도 하고 엎기도 하니 매우 신중히 해야 합니다.注+공자가어孔子家語》 〈오의해五儀解〉에 “임금은 배이고 서인庶人은 물이니, 물은 배를 띄우기도 하고 배를 엎기도 한다.”라고 하였다.
엎어지려는 수레를 썩은 고삐로 모는데 어찌 경솔히 할 수 있겠습니까.注+(썩다)는 의 반절이고, (새끼줄)은 의 반절이다. 《서경書經》 〈하서夏書 오자지가五子之歌〉에 “내가 백성들을 대할 적에 무섭기가 썩은 고삐로 여섯 마리 말을 모는 것과 같다.”라고 하였다. 이는 위태로워 매우 두려워할 만함을 비유한 것이니, 엎어지려는 수레를 썩은 고삐로 모는 것도 이러한 뜻이다.


역주
역주1 [不] : 저본에는 없으나, 《增注唐策》 권5 〈魏徴十思九德疏〉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2 怨不在大 : 백성들의 원망은 이치를 따르지 않고 힘쓰지 않는 데에 있음을 말한다. 《書經》 〈周書 康誥〉에 “원망은 큰 데 있지 않으며 또한 작은 데 있지 않다. 이치를 순히 하고 순히 하지 않으며, 힘쓰고 힘쓰지 않음에 달려 있다.[怨不在大 亦不在小 惠不惠 懋不懋]”라고 하였다.
역주3 : 賁과 통하여, 엎다[覆]라는 뜻이다.

정관정요집론(1) 책은 2019.06.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