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3)

정관정요집론(3)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勿內荒於色하고 勿外荒於禽注+㉑ 勿內荒於色 勿外荒於禽:夏書五子之歌, 其二曰 “訓有之, 內作色荒, 外作禽荒, 有一于此, 未或不亡.” 色荒, 寵嬖女也, 禽荒, 耽遊畋也. 荒者, 迷荒之謂.하며 勿貴難得之貨注+㉒ 勿貴難得之貨:老子曰 하고 勿聴亡國之音注+㉓ 勿聴亡國之音:詩序曰 “, 哀以思, 其民困.”하소서 하고 하며 難得之物하고 亡國之聲이니이다
勿謂我尊而傲賢侮士하고 勿謂我智而拒諫矜己하소서
聞之夏后據饋頻起注+㉔ 據饋頻起:史記 하고 亦有魏帝牽裾不止注+㉕ 牽裾不止:魏文帝欲徙冀州十萬戶實河南, 辛毗諫, 帝不答, 起入內, 毗隨而引其裾. 帝怒, 良久曰 “卿持我何太急耶.” 於是徙其半.니이다
安彼反側 如春陽秋露하고 巍巍蕩蕩 推漢高大度注+㉖ 推漢高大度:漢紀 “高祖寬仁有大度.”하소서 撫玆庶事 如履薄臨深하고 戰戰慄慄하여 用周文小心注+㉗ 用周文小心:詩小旻篇曰 “戰戰兢兢, 如臨深淵, 如履薄氷.” 大明篇曰 “維此文王, 小心翼翼.”하소서


안으로는 여색에 빠지지 말고, 밖으로는 수렵에 빠지지 말며注+서경書經》 〈하서夏書 오자지가五子之歌〉의 제2에 “가르침이 있으니 안으로 색황色荒을 하고 밖으로 금황禽荒을 하는 일 가운데 하나라도 있으면 멸망하지 않는 경우가 없다.”라고 했는데, 색황色荒은 여인을 총애하는 것이고 금황禽荒은 사냥을 탐닉하는 것이다. 은 미혹에 빠진 상태를 말한다., 얻기 어려운 보물을 중히 여기지 말고注+노자老子가 말하기를, “얻기 어려운 재화를 귀하게 여기지 않으면 백성으로 하여금 도둑질을 하지 않게 할 수 있다.”라고 했다., 나라를 망치는 음악을 듣지 마소서.注+시서詩序에서 이르기를, “망국의 음악이 애달프고 슬픈 것은 망국의 백성이 곤궁하기 때문이다.”라고 했다. 안으로 여색에 빠지면 본성을 해치고, 밖으로 수렵에 빠지면 마음을 방탕하게 하며, 얻기 어려운 보물은 사치스럽게 하고, 나라를 망치는 음악은 음탕하게 합니다.
내가 존귀하다고 여겨서 현자들에게 오만하거나 학자들에게 거만하지 말아야 하고, 내가 지혜롭다고 여겨서 간언을 거부하며 자신을 내세우지 마소서.
듣자 하니 임금은 밥을 먹다가 〈선비들을 맞이하고자〉 자주 일어났고注+사기史記》에서 “하우夏禹는 한 끼 밥을 먹을 때 열 번 일어나며 천하의 백성을 위로했다.”라고 했다., 또 위 문제魏 文帝는 〈신비辛毗가〉 소맷자락을 붙들고 간언하는 것을 제지하지 않았다고 합니다.注+위 문제魏 文帝기주冀州의 10만 를 옮겨 하남河南을 충실하게 하려는 데 대해 신비辛毗가 간언을 올리자 위 문제가 대답하지 않고 일어나 안으로 들어가려 하니 신비가 뒤따라가 그 소매를 붙잡았다. 화를 낸 위 문제가 잠시 시간이 흐르고 나서 이르기를, “경이 날 어찌 이리도 다급하게 붙잡는가.”라고 하였고, 이에 절반만 옮겼다.
불안해하는 사람을 어루만지기를 봄볕과 가을 이슬같이 하고, 드높고 광대하기를 한 고조漢 高祖의 큰 도량을 추구하소서.注+한서漢書》 〈고조본기高祖本紀〉에 “고조高祖는 관대하고 인자하면서 큰 도량을 갖췄다.”라고 했다. 뭇 일들을 살피기를 살얼음을 밟듯 하고 깊은 연못에 임하듯 하고 두려워하며 삼가서, 주 문왕周 文王처럼 조심하소서.注+시경詩經》 〈소아小雅 소민小旻〉에 “두려워하고 조심하여 깊은 연못에 임한 듯이 하며 얇은 얼음을 밟은 듯이 하라.”라고 했고, 《시경詩經》 〈대아大雅 대명大明〉에 “이 문왕文王은 조심조심 행동했다.”라고 했다.


역주
역주1 內荒伐人性 : 《呂氏春秋》 〈孟春〉에 “화려하고 흰 치아의 미인과 鄭나라와 衛나라의 음악을 힘써 스스로 즐김은 본성을 치는 도끼라고 하였다.[靡曼皓齒 鄭衛之音 務以自樂 命之曰伐性之斧]”라고 하였다.
역주2 外荒蕩人心 : 《書經》 〈夏書 五子之歌〉 ‘內作色荒 外作禽荒’의 孔穎達의 疏에 “老子가 이르기를 ‘말을 달려 사냥하면 사람의 마음을 미치광이로 만든다.’고 하였으니, 여색을 좋아하며 사냥을 좋아하면 정신이 혼란하게 된다.[老子云 馳騁田獵 令人心發狂 好色好田 則精神迷亂]”라고 하였다.
역주3 不貴難得之貨 使民不爲盜 : 《老子道德經》 〈安民〉에 보인다.
역주4 亡國之音 : 이 종류를 《禮記》 〈樂記〉에 “桑間, 濮上의 음악은 亡國의 음악이다.[桑間濮上之音 亡國之音也]”라고 하였다.
역주5 夏禹一饋而十起 以勞天下之民 : 《史記》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淮南子》 〈氾論訓〉에 “이러한 때에 한 끼 밥을 먹을 때 열 번 일어나고 한 번 머리를 감을 때 세 번 머리채를 감싸고 일어나는 정성으로 천하의 백성을 위로했다.[當此之時 一饋而十起 一沐而三捉髮 以勞天下之民]”는 내용이 있는 것으로 보아, 출전을 잘못 표기한 것으로 보인다.

정관정요집론(3)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