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1)

정관정요집론(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貞觀政要集論題辭
夏有天下四百五十餘年이요 商有天下六百三十餘年이요 周有天下八百六十餘年이라
三代以後 享國之久 唯漢與唐이라
唐之可稱者 而已로되 太宗文皇帝 身兼創業守成之事하여 納諫求治하여 勵精不倦하니 其效至于
故貞觀之盛 有非之所可及하여 而太宗卓然爲唐三宗之冠이라
史臣吳兢 類輯朝廷之設施 君臣之問對 忠賢之諍議하여 萃成十卷하니 曰貞觀政要
事覈辭質하여 讀者易曉일새 唐之子孫 奉爲祖訓하고 聖世亦重其書
澄備位經筵時 嘗以是進講焉하니
夫過唐者 可鏡也 超漢者 夏大禹之 可規也 繼夏者 商成湯之 可師法也
이라 文武之德 旦奭之猷 具載周頌之詩 召誥立政無逸之書하여 義理昭融하며 教戒深切하니 率而由之인댄 其不上躋太和景運之隆乎
然譬之行遠 必自邇 譬之登高 必自卑하니 則貞觀政要之書 何可無也리오
庶士戈直 考訂音釋하고 附以諸儒論說하니 又足開廣將來進講此書者之視聽이라
其所裨益 豈少哉
前翰林學士 資善大夫 知制誥 同修國史 題辭


貞觀政要集論題辭
나라가 천하를 소유한 것은 450여 년이고, 나라가 천하를 소유한 것은 630여 년이고, 나라가 천하를 소유한 것은 860여 년이다.
삼대三代 이후에 나라를 오래 소유한 것은 나라와 나라뿐이다.
나라에서 칭송할 만한 임금은 세 분뿐이었는데, 태종太宗 문황제文皇帝는 자신이 창업創業수성守成의 일을 겸하여 간언을 받아들이고 치적을 구하여 정신을 가다듬어 게을리 하지 않았으니 그 효과가 쌀 1말의 값이 3이고 바깥문을 닫지 않는 데에 이르렀다.
그러므로 정관貞觀 시대의 성대함은 개원開元(713~741) 시대와 원화元和(806~820) 시대가 따라가지 못하여 나라 태종太宗현종玄宗헌종憲宗 중에 태종太宗이 월등히 으뜸이 된다.
사신史臣 오긍吳兢이 조정의 시행, 임금과 신하의 문답, 충신과 현신의 간언을 부류별로 편집하여 모아 10권으로 만들었으니, 이것이 《정관정요貞觀政要》이다.
사실이 확실하고 말이 실질적이어서 읽는 이들이 쉽게 이해하기 때문에 나라 자손들이 받들어 조상의 훈계로 삼았고, 성세聖世에도 그 책을 중시하였다.
내가 경연經筵의 자리에 있을 때 일찍이 이 책을 진강進講하였다.
나라보다 나은 것으로는 나라 효문제孝文帝의 공손과 검소,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을 거울로 삼을 만하고, 나라보다 나은 것으로는 나라 대우大禹가 훌륭한 말을 좋아한 것과 맛있는 술을 싫어한 일을 법으로 삼을 만하고, 나라를 계승한 것으로는 나라 성탕成湯이 음악과 여색을 가까이하지 않은 것과 재물‧이익을 늘리지 않은 것을 본받을 만하다.
나라는 두 시대를 살펴서 빛나는 문화를 이루었으므로, 문왕文王무왕武王의 덕과 주공周公 , 소공召公 의 계책이 《시경詩經》의 이남二南, 이아二雅와 〈주송周頌〉의 , 《서경書經》 〈주서周書〉의 〈소고召誥〉, 〈입정立政〉, 〈무일無逸〉의 글에 모두 기재되어 의리義理가 밝게 발양되어 교계教戒가 매우 절실하니, 이를 따라 행하면 태평스런 길운의 융성함에 올라가지 않겠는가.
그러나 비유하자면 먼 데 갈 적에는 반드시 가까운 곳에서 출발하고 높은 데에 오를 적에는 반드시 낮은 곳에서 오르는 것과 같으니, 《정관정요》가 어찌 없어서야 되겠는가.
서사庶士(낮은 관원) 과직戈直음석音釋을 살펴 바로잡고 여러 유학자들의 논설을 첨부하였으니 또 장래 이 책을 진강하는 사람의 견문을 크게 열어줄 것이다.
그 도움이 어찌 적겠는가.
한림학사翰林學士 자선대부資善大夫 지제고知制誥 동수국사同修國史 오징吳澄제사題辭를 쓴다.


역주
역주1 三君 : 唐나라 太宗, 玄宗, 憲宗을 말한다.
역주2 米㪷三錢 外户不閉 : 《新唐書》 권97 〈魏徴列傳〉의 “쌀 1말 값이 3錢이고……문을 닫지 않았다.[米斗三錢……戸闔不閉]”에 의거한 것으로, 곡식 값이 저렴하고 도적이 없는 훌륭한 정치를 말한다. 㪷는 斗의 俗字이다.
역주3 開元元和 : 開元은 唐 玄宗의 연호이고, 元和는 唐 憲宗의 연호이다.
역주4 漢孝文之恭儉愛民 : 文帝는 千里馬를 바쳐오자 소금 나르는 마차를 끌게 하고, 親耕을 하였으며, 농지세를 반으로 감면하였다가 잠시 완전히 면제하는 등 백성을 위한 정치를 널리 행하였다. 《漢書 권4 文帝紀》
역주5 好善言 惡旨酒 : 《孟子》 〈離婁 下〉에 “禹王은 맛있는 술을 싫어하고, 善言을 좋아하였다.[禹惡旨酒而好善言]”라고 하였다.
역주6 不邇聲色 不殖貨利 : 《書經》 〈商書 仲虺之誥〉에 “王은 음악과 女色을 가까이 하지 않고 財貨와 이익을 늘리지 않았다.[惟王不邇聲色 不殖貨利]”라고 하였다.
역주7 周監二代 郁郁乎文 : 周나라가 夏‧殷 두 시대를 계승하여 찬란한 문화를 이루었다는 뜻으로, 《論語》 〈八佾〉에 “周나라는 夏‧殷 두 시대를 살폈으니, 찬란하다. 그 文이여! 나는 周나라를 따르겠다.[周監於二代 郁郁乎文哉 吾從周]”라고 하였다.
역주8 二南二雅 : 二南은 《詩經》의 〈周南〉과 〈召南〉, 二雅는 〈大雅〉와 〈小雅〉를 가리킨다.
역주9 吳澄 : 36쪽 역주8) 참조.

정관정요집론(1) 책은 2019.06.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