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3)

정관정요집론(3)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貞觀二年 太宗 謂侍臣曰 比有注+① 比有:比, 音鼻.奴告主謀逆하니 此極弊法이니 特須禁斷하라
假令注+② 令:平聲, 後同.有謀反者어든 必不獨成하고 終將與人計之하고 衆計之事 必有他人論之 豈藉奴告也리오
自今奴告主者 不須受하고 盡令斬决하라
【集論】愚按 人臣謀逆 此以下而叛上也 奴告其主 是亦以下而叛上也
己惡人之叛上이어늘 迺使叛上者 得逞其志하면 是以亂易亂이니 相去幾何리오
太宗 詔自今告主者 勿受하고 盡令斬决하라하니 斯言一出 固足以感格天下하여 使無叛上之事矣


정관貞觀 2년(628)에 태종太宗근신近臣에게 말하였다. “근래注+(근래, 요즘)는 이다. 종이 주인이 반역을 꾀한다고 고발한 경우가 있는데 이는 대단히 큰 폐단으로 특별히 엄단해야 할 것이오.
만일注+(하여금)은〉 평성平聲이다. 뒤에도 같다. 반란을 꾀한 자가 있으면 반드시 혼자 일을 꾸미지 못해 결국 다른 사람들과 함께 계획하게 되어 있고 뭇사람들이 계획한 일은 반드시 누군가가 거론하게 되어 있으니, 어찌 종의 고발을 의지할 필요가 있겠소.
지금부터 종이 주인에 대해 고발한 사건은 받아들이지 말고 모조리 참형에 처하도록 하시오.”
내가 살펴보건대, 신하가 역모를 꾀하는 것은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배반하는 것이고, 종이 그 주인을 고발하는 것 역시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배반한 것이다.
자신은 다른 사람이 윗사람을 배반한 것을 싫어하는데, 윗사람을 배반한 자에게 그 뜻을 펼치도록 놓아둔다면 이는 반란으로 반란을 바꾸는 것이니 그 차이가 얼마나 되겠는가.
태종太宗이, “지금부터 주인을 고발한 사건은 받아들이지 말고 모두 참형에 처하도록 하라.” 고 조칙을 내렸으니, 이 말이 한 번 나오자, 진실로 천하 사람들을 감격시켜서 윗사람을 배반하는 일이 없게 하였다.



정관정요집론(3)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