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1)

정관정요집론(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貞觀五年 太宗謂侍臣曰
治國 與養病으로 無異也
病人覺愈 彌須將護 若有觸犯이면 必至殞命이라
治國亦然하니 天下稍安이면 尤須兢愼이니
若便驕逸이면 必至喪敗
今天下安危 繫之於朕이라
故日愼一日하여
然耳目股肱 寄於卿輩하여 旣義均一體하니 宜協力同心하여 事有不安이어든 可極言無隱이라
儻君臣相疑하여 不能備盡肝膈이면 注+, 是年康國求内附, 太宗因有是言. 魏徵曰 “内外治安, 臣不以爲喜, 惟喜陛下居安思危耳.”
【集論】呂氏祖謙曰
魏徵之於太宗 救其惡 多矣하고 而未嘗不이라
故其言曰 内外治安 臣不以爲喜하고 惟喜陛下居安思危耳라하니
夫旣將其居安思危之美하여 俾其居安思危之心 永永不忘이면 則其將順正救之道 豈不兩盡乎
愚按 太宗謂治國與養病無異라하니 竊嘗因其言而推之
天下猶一身也 人君爲元首 大臣爲心腹이요 其次爲股肱이요 又其次爲耳目이요 又其次爲爪牙
天下之疲癃殘疾 則癢疴疾痛 擧切吾身者也
唐虞三代 康强無事之時也 春秋戰國 病困危篤之時也 三國南北朝𨂂盭痱辟者也 隋亡唐興 其病愈新起之時乎인저
愼其起居하고 節其飲食하여 兢兢焉保護之可也 一有觸犯하면 不惟病之復作이요 且不可復愈矣
雖然이나 先儒嘗言 仁者 以天地萬物爲一體하니 認得爲己하면 何所不至리오
이라하니 烏乎 使太宗而知此義하면 又豈特貞觀之治而已리오


정관貞觀 5년(631)에 태종太宗이 근신에게 말하였다.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병자를 치료하는 것과 다름이 없소.
병든 사람이 병이 나았다고 느낄 때 반드시 더욱더 조섭調攝을 잘해야 하니, 만약 이를 어기면 반드시 죽게 되오.
나라를 다스리는 것 또한 그러하니, 천하가 조금 편안하면 반드시 더욱더 조심하고 삼가야 하오.
만약 교만하고 안일하게 하면 반드시 패망에 이르게 될 것이오.
지금 천하의 안위가 짐에게 달려 있소.
그러므로 날마다 근신하고 근신하여, 비록 아름답게 여길 일이 있더라도 아름답게 여기지 말아야 할 것이오.
그러나 짐의 귀와 눈, 팔과 다리를 경들에게 맡겨 이미 의리상 균등하게 한 몸이 되었으니, 힘을 합하고 마음을 같이하여 온당하지 않은 일이 있으면 모두 말하고 숨김이 없어야 할 것이오.
만약 임금과 신하 사이에 서로 의심하여 마음속의 생각을 다하지 못하면 실로 나라를 다스리는 데에 큰 해가 될 것이오.”注+살펴보면 《자치통감資治通鑑》에 이해에 강국康國(서역의 나라 이름)이 귀부하기를 요청하자 태종太宗이 이 일 때문에 이 말을 하였다. 이에 위징魏徵이 말하기를 “나라 안과 밖이 다스려져 편안해짐을 신은 기쁘게 생각하지 않고, 오직 폐하께서 편안히 거처할 때에도 위태로움을 생각하시는 것을 기뻐할 뿐입니다.”라고 하였다.
【集論】呂祖謙이 말하였다.
위징魏徵태종太宗에 대해서 잘못을 바로잡아준 것이 많고, 그 미덕을 받들어 따르지 않은 적이 없었다.
그러므로 그 말에 ‘안과 밖이 다스려져 편안해짐을 신은 기쁘게 생각하지 않고 오직 폐하께서 편안하게 거처할 때에도 위태로움을 생각하시는 것을 기뻐할 뿐입니다.’라고 하였다.
이미 편안하게 거처하면서도 위태로움을 생각하는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어 편안히 거처하면서도 위태로움을 생각하는 마음을 영원히 잊지 않으면 〈임금의 아름다운 점을〉 받들어 따르고 〈임금의 잘못된 점을〉 바로잡아 구제하는 두 가지 도를 어찌 다하지 않겠는가.”
내가 살펴보건대, 태종太宗이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병자를 치료하는 것과 다름이 없다.”라고 하였으니, 일찍이 그 말을 따라 미루어 따져보았다.
천하는 한 몸과 같으니, 임금은 머리요, 대신은 가슴과 배요, 그 다음은 팔과 다리요, 또 다음은 귀와 눈이요, 또 그 다음은 손톱과 이이다.
천하의 지치고 병든 자들은 남의 가려움과 아픔을 모두 자기 몸에 절실하게 느낀다.
당우唐虞삼대三代는 건강하여 무사한 때이고, 춘추春秋시대와 전국戰國시대는 병에 시달리고 위독한 때이며, 삼국三國시대와 남북조南北朝시대는 발바닥이 틀어지고 중풍에 걸린 때이고, 나라가 망하고 나라가 흥함은 그 병이 나아서 새롭게 일어날 때일 것이다.
생활을 신중히 하고 음식을 절제하여 조심스럽게 보호하는 것이 옳으니, 조금이라도 이를 어김이 있으면 병이 재발할 뿐만 아니라 또 다시 나을 수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선유先儒가 일찍이 말하기를 “인자仁者는 천지 만물을 한 몸으로 여기니, 자신과 일체가 되는 것을 안다면 어디인들 이르지 못하겠는가.
만약 자신과 일체로 여기지 않으면, 마치 손발이 마비되어 가 이미 관통貫通하지 않는 것과 같다.”라고 하였으니, 아, 만일 태종이 이 의리를 알았다면 또 어찌 다만 정관지치貞觀之治 정도에 그칠 뿐이겠는가.


역주
역주1 雖休勿休 : 《書經》 〈周書 呂刑〉에 “너는 부디 天命을 공경히 맞이해서 나 한 사람을 받들어라. 내가 비록 형벌을 내리라고 하더라도 형벌을 내리지 말고 내가 비록 아름답게 용서하라고 하더라도 용서하지 말라.[爾尙敬逆天命 以奉我一人 雖畏勿畏 雖休勿休]”라고 하였다.
역주2 實爲國之大害也 : 謝保成의 《貞觀政要集校》에는 “實爲治國之大害也”로 되어 있어 ‘治’ 한 자가 더 있다. 이를 따라 번역하였다.
역주3 通鑑 : 《資治通鑑》 권193 唐紀 9 太宗 貞觀 5년에 보인다.
역주4 將順其美 : 《孝經》 〈事君〉에 “군자가 임금을 섬길 적에 나아가서는 충성을 다할 것을 생각하고 물러나서는 과실을 보필할 것을 생각하여, 그 미덕을 받들어 따르고 그 악행을 바로잡아 구제하였으므로 위와 아래가 서로 친할 수 있었다.[君子之事上也 進思盡忠 退思補過 將順其美 匡救其惡 故上下能相親也]”라고 하였다.
역주5 仁者……氣已不貫 : 《二程遺書》 권2 上에 보인다.

정관정요집론(1) 책은 2019.06.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