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4)

정관정요집론(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谷那律注+① 谷那律:魏州昌樂人. 貞觀中累遷國子博士, 後遷諫議大夫. 淹識群書, 褚遂良稱爲九經庫.爲諫議大夫하여 嘗從太宗出獵이러니 在途遇雨
太宗問曰 油衣若爲 得不漏오하니
對曰 能以瓦爲之 必不漏矣리이다하니 意欲太宗弗數遊獵注+② 意欲太宗弗數遊獵:數, 音朔.이라
大被嘉納하여 賜帛五十段하고 加以金帶注+③ 加以金帶:按通鑑此事係在高宗永徽元年九月癸亥, 與此異, 而新‧舊唐書則同.하다
【集論】唐氏仲友曰 谷那律淹識群書하여 褚遂良嘗稱爲九經庫
油衣瓦爲不漏之對 可見質直이라
蓋淹識之士 難乎質直이라
得一已善이어늘 而況兼之者乎
愚按 家語記孔子之言曰 이라하고
其五曰 諷諫이라 惟度主以行之 吾從其諷諫乎인저
夫所以諷諫者 假他事引援而諫者也
谷那律 以儒學之臣으로 居諫議之職하여 以瓦爲衣之對하니 雖過於質直이나 其諷諫之謂乎인저
太宗悅其直而賞賚之하니 是亦從諫之美也


곡나율谷那律注+곡나율谷那律은〉 위주魏州 창락昌樂 사람이다. 정관貞觀 연간에 여러 번 승진하여 국자박사國子博士가 되었고 뒤에 승진하여 간의대부諫議大夫가 되었다. 여러 서적에 박식하여 저수량이 구경고九經庫(9경의 창고)라고 칭하였다. 간의대부諫議大夫가 되어 일찍이 태종太宗을 따라 사냥을 간 적이 있는데 가는 길에 비를 만나자
태종이 “유의油衣(기름 먹인 우의雨衣)를 어찌 만들면 비가 새지 않게 할 수 있는가.”라고 물었다.
대답하기를 “기와로 만들 수 있다면 반드시 비가 새지 않을 것입니다.” 라고 하니, 그 의도는 태종이 자주 사냥하지 않기를 바란 것이었다.注+(자주)은 이다.
크게 가납嘉納하여 비단 50단을 하사하고 금대金帶까지 더하였다.注+살펴보면 《자치통감資治通鑑》에는 이 일이 고종高宗 영휘永徽 원년元年(650) 9월 계해일癸亥日에 기록되어 있는데 여기와 다르다. 그러나 《구당서舊唐書》와 《신당서新唐書》는 같다.
당중우唐仲友가 말하였다. “곡나율谷那律은 여러 서적에 박식하여 저수량이 구경고九經庫라 칭하였다.
유의油衣를 기와로 만들면 물이 새지 않을 것이라고 한 대답에서 질박하고 솔직함을 볼 수 있다.
박식한 선비는 진실하고 솔직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세 가지 유익한 벗에서 하나만 얻어도 이미 훌륭하거늘, 더구나 그것을 겸비한 자야 말할 것이 있으랴.”
내가 살펴보건대 《공자가어孔子家語》 〈변정辯政〉에 공자孔子의 말을 기록하기를 “충신忠臣이 임금에게 간하는 것이 다섯 가지 뜻이 있다.”라고 하고,
“그 다섯 번째가 풍간諷諫이다. 군주를 헤아려 간쟁을 행하는 것이니, 나는 풍간을 따르겠다.”라고 하였다.
풍간을 하는 방법은 다른 일을 빌려 인용하여 간언을 하는 것이다.
곡나율谷那律은 유학의 신하로서 간언하는 직책에 있으면서 기와로 옷을 만들면 된다고 대답하였으니 비록 질박함과 솔직함에 지나침이 있었으나 풍간을 하였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태종太宗이 그의 솔직함을 기뻐하여 상을 내려주었으니 이 또한 간언을 따른 아름다움이다.


역주
역주1 三益之友 : 세 사람의 유익한 벗이라는 뜻이다. 《論語》 〈季氏〉에 “유익한 세 가지 벗이 있고 해로운 세 가지 벗이 있는데, 정직한 벗을 사귀고 진실한 벗을 사귀고 식견이 많은 벗을 사귀면 유익할 것이다.[益者三友 損者三友 友直 友諒 友多聞 益矣]”라고 하였다.
역주2 忠臣之諫君 有五義焉 : 《孔子家語》 〈辯政〉에 보이는 5가지 간언은 첫째가 ‘譎諫(휼간)’으로 말을 돌려 넌지시 간하는 것이고, 둘째가 ‘戇諫(당간)’으로 노골적으로 간하는 것이고, 셋째가 ‘降諫(강간)’으로 안색을 부드럽게 하여 침착하게 간하는 것이고, 넷째가 ‘直諫’으로 곧은 말로 간하는 것이고, 다섯째가 ‘諷諫’으로 다른 것에 비유하며 완곡하게 간하는 것이다.

정관정요집론(4)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