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4)

정관정요집론(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貞觀十四年冬十月 太宗將幸櫟陽注+① 太宗將幸櫟陽:櫟, 音藥. 櫟陽, 今爲咸寧縣, 屬奉元路.遊畋이러니
縣丞劉仁軌注+② 縣丞劉仁軌:字正則, 汴州人. 累遷給事中, 武后時拜僕射. 以收獲未畢하여 非人君順動之時라하여 詣行所하여 上表切諫한대
太宗 遂罷獵하고 擢拜仁軌新安令注+③ 擢拜仁軌新安令:新安, 縣名, 今仍舊, 隷河南府路.하다注+④ 貞觀十四年……新安令:按史傳 “太宗校獵同州, 仁軌諫曰 ‘今玆澍澤霑足, 百穀熾茂, 收纔十二. 常日贅調, 已有所妨, 又供獵事, 繕橋治道, 役雖簡省, 猶不損數萬. 少延一旬, 使場圃畢勞, 陛下六飛徐驅, 公私交泰.’ 上璽書褒納, 拜新安令.”
【集論】愚按 劉仁軌 一縣丞耳어늘 而能效一言之忠하여 動萬乘之聽하니
其忠君愛民之心 有侍從之臣 所未能者하니 可不謂難乎哉
蓋仁軌 嘗爲陳倉尉어늘 太宗以其剛直으로 擢咸陽丞하니 則其受知於太宗 有由來矣
然非太宗有從諫之美 樂善之誠이면 則仁軌雖有剛直之操라도 將安所施哉
適足以獲罪而已矣
仁軌 官由州縣而致宰相이니 善致聲譽하고 得吏民懽心하고 爲史傳所稱美하니
出宰百里者 可不知所效法邪


정관貞觀 14년(640) 겨울 10월에 태종太宗역양櫟陽에 행차하여注+이다. 역양櫟陽은 지금 함녕현咸寧縣이니, 봉원로奉元路에 속한다. 사냥을 하려고 하였다.
현승縣丞 유인궤劉仁軌注+유인궤劉仁軌는〉 정칙正則이며 변주汴州 사람이다. 과거에 진창위陳倉尉가 되었는데, 부하部下 노녕魯寧절충도위折衝都尉가 되어서 멋대로 법을 범하는데도 에서 감히 굴복시키지 못하자, 유인궤가 그를 매질하여 죽였다. 태종이 유인궤를 불러 힐책하자 말하기를 “노녕은 치욕스러운 신하이니, 신이 이 때문에 그를 죽였습니다.”라고 하였다. 태종이 강직하다고 여기고 발탁하여 함양승咸陽丞으로 삼았다. 여러 번 승진하여 급사중給事中이 되었고, 측천무후則天武后 때에 복야僕射에 임명되었다. 농사 수확이 끝나지 않아서 군주가 순리에 따라 거동할 때가 아니라고 하여 행재소行在所로 가서 를 올려 간절히 간언하였다.
태종은 드디어 사냥을 정지하고 유인궤를 발탁하여 신안현령新安縣令으로注+신안新安 이름이니, 지금 옛날 그대로 하남부로河南府路에 속한다. 삼았다.注+살펴보건대 《신당서新唐書》 〈유인궤열전劉仁軌列傳〉에 “태종太宗동주同州에서 짐승을 포위하여 사냥하였는데 유인궤劉仁軌가 간하기를 ‘올해 빗물이 충분히 스며들어 모든 곡식이 매우 무성하였으나 수확한 것은 겨우 10분의 2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평일에 장정壯丁을 징발하는 것이 이미 농사에 방해되고, 또 사냥하는 일을 받들고자 다리를 수리하고 길을 고치니, 부역이 비록 간략하다고 해도 〈소요되는 인원이〉 여전히 수만을 밑돌지 않습니다. 일정을 조금 늦추어서 타작장의 고된 일을 마치게 하고 나서 폐하께서 육비六飛(천자 수레의 말)를 타고 천천히 오신다면 공적으로나 사적으로나 편할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태종이 칙서를 내려 포상하여 받아들이고 신안현령新安縣令에 임명하였다.” 하였다.
내가 살펴보건대 유인궤劉仁軌는 일개 현승縣丞일 뿐인데 충성스러운 한마디 말을 바쳐서 천자의 청문聽聞을 감동시켰다.
임금에게 충성하고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은 시종侍從하는 신하도 잘해내지 못하는 것이니 어렵다고 하지 않겠는가.
유인궤는 일찍이 진창위陳倉尉가 된 적이 있었는데 태종太宗은 그가 강직하다고 하여 함양승咸陽丞으로 발탁하였으니, 그가 태종에게 지우知遇를 받은 것은 유래가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태종이 간언을 따르는 아름다움과 선을 즐기는 진실함이 있지 않았다면 유인궤가 비록 강직한 지조가 있더라도 어디에다 베풀 것인가.
다만 죄를 얻기에 충분할 따름이다.
유인궤는 관직이 주현州縣에서 시작하여 재상宰相에 이르렀으니 명예를 잘 이루었고, 관리와 백성들의 환심을 얻어서 역사 사전史傳에 칭송을 받았으니,
지방관으로 나가는 자가 본받을 줄 몰라서야 되겠는가.


역주
역주1 初爲陳倉尉……擢咸陽丞 : 이 내용은 《新唐書》 〈劉仁軌列傳〉에 보인다.

정관정요집론(4)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