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4)

정관정요집론(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貞觀十三年 太宗謂魏徵等曰
隋煬帝承文帝餘業하여 海內殷阜하니 若能常處關中注+① 若能常處關中:處, 上聲.이면 豈有傾敗리오
遂不顧百姓하고 行幸無期하며 徑往江都하고
不納注+② 不納董純崔象:皆隋之臣.等諫諍하여 身戮國滅하여 爲天下笑하니
雖復帝祚長短 委以玄天이나 亦由人事
朕每思之 若欲君臣長久하고 國無危敗인댄 君有違失 臣須極言이니
朕聞卿等規諫하면 縱不能當時卽從이나 再三思審하여 必擇善而用之니라


정관貞觀 13년(739)에 태종太宗위징魏徵 등에게 말하였다.
수 양제隋 煬帝문제文帝의 남은 왕업을 이어받아 천하가 매우 부유하였으니, 만일 항상 관중關中에 거처하였다면注+(살다)는 상성上聲이다. 어찌 멸망하였겠소.
마침내 백성을 돌아보지 않고 기한 없이 유람을 하였으며,
동순董純최상崔象注+동순董純최상崔象은〉 모두 나라의 신하이다.
수隋 양제煬帝가 용선龍船을 타고 강도江都로 유람하다(《제감도설帝鑑圖說》)수隋 양제煬帝가 용선龍船을 타고 강도江都로 유람하다(《제감도설帝鑑圖說》)
등의 간언을 받아들이지 않고 곧장 강도江都로 행차하여, 자신은 죽임을 당하고 나라는 멸망되어 천하의 웃음거리가 되었소.
비록 또 제위帝位의 길고 짧음을 하늘에 맡긴다고 할지라도 선행에 복을 주고 악행에 재앙을 내리는 것은 또한 인사人事에 말미암는 것이오.
은 매번 그것을 생각할 적에 만약 군신 간의 관계가 오래 유지되고 나라에 위험이 없게 하려고 한다면 군주가 잘못이 있을 때 신하는 지극히 간언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였소.
그러니 이 경들의 간언을 들으면 비록 당시에 곧바로 따르지 않더라도 두 번 세 번 생각하고 살펴서 반드시 좋은 의견을 택하여 받아들일 것이오.”


역주
역주1 董純崔象 : 崔象은 隋나라 奉信郞 崔民象이다. 唐나라 때에는 李世民의 ‘民’을 피하여 崔象으로 썼다. 이 두 신하는 煬帝에게 江都로 순행을 하지 말도록 간하였다가 참수되었다. 《隋書 煬帝本紀 下》
역주2 福善禍淫 : 《書經》 〈商書 湯誥〉에 보인다.

정관정요집론(4)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