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3)

정관정요집론(3)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且君子小人 貌同心異하여
君子 掩人之惡하고 揚人之善하며 注+⑨ 臨難無苟免:難, 去聲.하고 이나
小人 不恥不仁하고 不畏不義하며 惟利之所在 危人自安하나니 夫苟在危人이면 則何所不至注+⑩ 夫苟在危人 則何所不至:夫, 音扶, 後同.리잇가
今欲將求致理인댄 必委之於君子어늘 事有得失 或訪之於小人이니이다
其待君子也 則敬而疏하고 遇小人也 必輕而狎하나니 狎則言無不盡하고 疏則情不上通하니
是則毁譽 在於小人注+⑪ 是則毁譽在於小人:譽, 平聲.하고 刑罰 加於君子 實興喪之所在 可不愼哉리잇가
夫中智之人 豈無小惠리잇가
然才非經國이요 慮不及遠하여 雖竭力盡誠이나 猶未免於傾敗어늘 況內懷奸利하고 承顔順旨하면 其爲禍患 不亦深乎잇가
夫立直木而疑影之不直하면 雖竭精神勞思慮 其不得 亦已明矣니이다


또 군자와 소인은 겉모습은 같지만 속마음은 다릅니다.
군자는 다른 사람의 악을 덮어주고 다른 사람의 선을 드러내며 환난 앞에서 구차스럽게 모면하는 일이 없고注+(환난)은 거성去聲이다. 자신을 희생해서 을 완성합니다.
그러나 소인은 불인不仁을 부끄러워하지 않고 불의不義를 두려워하지 않으며 오직 이익이 존재한 곳에서 남을 위태롭게 하고 자신을 편안하게 하니, 정말 남을 위태롭게 하는 데 뜻이 있다면 무슨 짓인들 못 하겠습니까.注+(발어사)는 이다. 뒤에도 같다.
지금 치적을 이룰 방법을 구하려 하신다면 반드시 군자에게 책임을 맡겨야 하는데, 일의 득실에 있어서 간혹 소인에게 물으십니다.
군자를 대할 때에 존경하면서도 소원히 대하고, 소인을 대할 때에 반드시 경시하면서도 격이 없이 친하게 대하는데, 격이 없이 친하게 대하면 하지 못 할 말이 없고 소원히 대하면 실정이 위로 전달되지 못하니,
이는 헐뜯고 칭찬하는 것이 소인에게 달려 있고注+(명예, 칭찬)는 평성平聲이다. 형벌이 군자에게 가해지는 것이어서, 실로 국가가 흥하느냐 망하느냐가 달려 있는 것이니 조심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이것이 바로 손경孫卿(순자荀子)이, ‘지혜로운 자에게 도모하게 하고서 우매한 자와 그를 논평하고, 행실이 정갈한 에게 실행하게 하고서 누추하고 비루한 사람과 그를 의심하면 성공하려고 하나 가능하겠는가.’라고 한 것입니다.
중간 정도의 지혜를 갖춘 사람이 어찌 작은 지혜가 없겠습니까.
하지만 재능이 국가를 경영할 정도가 아니고 사려가 멀리까지 미치지 못하기에, 힘을 다하고 정성을 다해도 실패를 모면하지 못하는데, 더구나 마음속에 간악과 이익을 품고 임금의 비위를 맞추고 임금의 뜻을 받들기만 하면 그 재앙과 환란이 또한 깊지 않겠습니까.
곧은 나무를 세워놓고 그림자가 곧지 않은지를 의심하면 비록 정신을 쏟고 고뇌를 한다 해도 할 수 없는 것이 이미 분명합니다.


역주
역주1 臨難毋苟免 : 《禮記》 〈曲禮 上〉에 보인다.
역주2 殺身以成仁 : 《論語》 〈衛靈公〉에 보인다.
역주3 使智者謀之……可得乎哉 : 《荀子》 〈君道〉에 보인다.

정관정요집론(3)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