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2)

정관정요집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貞觀元年 太宗 嘗從容注+ 嘗從容:從, 卽容切.言及隋亡之事하고 慨然歎曰
不懼兵刃하여 以明大節하니 求諸古人이라도 亦何以加也리오
思廉 時在洛陽이러니 因寄物三百段하고 竝遺其書曰注+ 竝遺其書曰:遺, 去聲.想卿忠節之風이라 故有斯贈이라하다
大業末 思廉 爲隋代王侑侍讀注+ 爲隋代王侑侍讀:代王侑, 隋元德太子之子. 煬帝十三年, 南巡以侑留守長安, 高祖克長安, 立侑爲帝.이러니 及義旗剋京城時 代王府僚多駭散이로되
惟思廉 侍王하여 不離其側注+ 不離其側:離, 去聲.이라
兵士將升殿이어늘 思廉 厲聲謂曰 唐公注+ 厲聲謂曰 唐公:高祖, 初封唐公. 擧義兵 本匡王室이어든 卿等 不宜無禮於王이라한대
擧服其言하여 於是稍卻하여 布列階下
須臾 高祖至하여 聞而義之하고 許其扶代王侑至順陽閤下하니 思廉 泣拜而去러라
見者咸歎曰 忠烈之士 此之謂乎인저하다
【集論】張氏九成曰 君子以仁存誠하고 以義爲勇하여 白刃在前不能懼하고 凶暴之氣不能懾
盖不在力之武하고 由忠義之壯也
觀隋之亡컨대 亂兵入京 侍臣駭潰로되
思廉 以微軀奮不顧하고 以全君親之生으로 卽甲兵之衆하니 顧輕於一言哉
誠以仁在其中也
易曰 能止健하니 大正也라하니 惜乎 懍懍風義 激懦夫之志爾로다
唐氏仲友曰 姚思廉 節義學問之士
孟子論라하니 思廉之謂歟인저
學問 惟寡欲能精이요 節義 惟寡欲能立이라
愚按 說見第四章.


정관貞觀 원년(627)에 태종太宗이 일찍이注+(조용히)은 의 반절이다. 나라가 멸망한 일에 대해 담담하게 이야기한 뒤 탄식하며 말하였다.
요사렴姚思廉이 칼날을 두려워하지 않고 큰 절의를 밝혔으니 옛사람에게서 그 예를 찾아본다 해도 어찌 이보다 더하겠는가.”
당시 요사렴이 낙양洛陽에 있었는데 300단의 비단을 하사하고 함께 보낸 글에서注+(보내다)는 거성去聲이다.충절忠節의 기풍이 떠올라 이를 주는 것이다.” 라고 했다.
일찍이 대업大業(수 양제隋 煬帝 연호) 말엽에 요사렴이 나라 대왕代王 양유楊侑시독侍讀으로 있었는데注+대왕代王 양유楊侑 원덕태자元德太子의 아들이다. 수 양제隋 煬帝대업大業 13년(617)에 남쪽을 순행할 때 대왕代王 양유에게 장안長安을 지키게 했는데, 당 고조唐 高祖가 장안을 함락시킨 뒤 양유를 황제로 옹립했다. 의기義旗(당 고조唐 高祖 이연李淵의 의병)가 경성京城을 무너뜨릴 때 대왕부代王府의 관료들이 대부분 놀라 흩어졌지만
요사렴만이 대왕을 시봉하여 그 곁을 떠나지 않았다.注+(자리를 뜨다)는 거성去聲이다.
병사들이 전각殿閣 위로 올라오려 하자 요사렴이 매섭게 소리치며 말하기를 “당공唐公注+당 고조唐 高祖는 애초에 당공唐公에 책봉되었다. 의병義兵을 일으킨 것이 본디 왕실王室을 바로잡으려는 것이었다면 들은 대왕에게 무례해선 안 된다.” 라고 하니,
모두 그 말에 승복하여 뒤로 물러서 계단 아래에 나열했다.
잠시 뒤 도착한 고조高祖가 이 이야기를 듣고 그를 의롭게 여겨, 대왕 양유를 부축하여 순양합문順陽閤門으로 가는 것을 허락하니, 요사렴이 울며 절을 하고 떠났다.
이를 목격한 이들이 모두 감탄하며 말하기를 “충렬忠烈의 인물이니, 인자仁者가 용기 있다는 것은 이를 두고 말한 것일 것이다.” 라고 했다.
장구성張九成이 말하였다. “군자는 인으로 진실[]을 보존하고 의리로 용기를 삼아서 시퍼런 칼날이 눈앞에 닥쳐도 겁주지 못하고 흉포한 기운으로도 벌벌 떨게 하지 못하니
이는 세찬 완력에 의하지 않고 충성과 의리의 장엄함에 연유하기 때문이다.
나라가 망한 것을 살펴보면, 난병亂兵이 서울로 쳐들어와 시봉하는 신하들이 깜짝 놀라 뿔뿔이 흩어졌음에도
요사렴姚思廉은 미약한 몸을 떨쳐서 무엇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임금의 생존을 온전히 함으로 많은 병사들 앞에 나아갔는데, 한마디 말이라도 가벼이 할 수 있겠는가.
이는 진정 이 마음속에 있었기 때문이다.
주역周易대축괘大畜卦에 이르기를, ‘굳건함을 능히 머물게 하니 크게 바른 것이다.’라고 했으니, 애석하다, 큰 집이 무너질 때 나무 하나로 지탱하진 못하였지만, 늠름한 의기는 나약한 자의 의지를 격려시킨다.”
당중우唐仲友가 말하였다. “요사렴姚思廉은 절의와 학문을 갖춘 인물이니,
맹자孟子가 ‘사람됨이 욕심이 적으면 비록 본심을 갖고 있지 못한 경우가 있다고 해도 그런 경우는 적다.’라고 했는데, 요사렴을 말할 것이다.
학문은 욕심이 적어야 정밀할 수 있고 절의는 욕심이 적어야 확립할 수 있다.”
내가 살펴보건대 “이와 관련된 내용은 제4장에 보인다.”


역주
역주1 姚思廉 : 字는 簡之이고 吳興 사람이다. 隋 煬帝 大業 13년(617)에 李淵이 의병을 일으켜 長安을 공격할 때 당시 長安을 지키던 수 양제의 손자 代王 楊侑의 휘하에서 代王의 侍讀으로 있던 요사렴이 끝까지 代王을 모셔 李淵 등으로부터 충신이라는 말을 들었다. 《舊唐書 姚思廉傳》
역주2 仁者有勇 : 《論語》 〈憲問〉의 “仁者必有勇”에 의거한 것이다.
역주3 大厦傾而一木不支矣 : 《中說》 권3 〈事君篇〉에 “큰 집이 쓰러지려 할 때에 나무 하나로는 버티지 못한다.[大厦將顚 非一木所支也]”라고 하였다.
역주4 爲人寡欲……寡矣 : 《孟子》 〈盡心 下〉에 보인다.

정관정요집론(2)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