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3)

정관정요집론(3)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貞觀元年 太宗謂侍臣曰 自古帝王 凡有興造 必須貴順物情하나니
昔大禹鑿九山注+① 昔大禹鑿九山:禹貢曰 “九山刊旅.” 蔡氏註 “九州之山也, 如冀州則梁岐之類.”하시고 通九江注+② 通九江:禹貢曰 “九江孔殷.” 蔡氏註 “卽今之洞庭也. 今沅水‧漸水‧元水‧辰水‧敍水‧酉水‧澧水‧資水‧湘水皆合於洞庭, 故曰九江. 漢志所謂九江, 非是.” 用人力極廣하되 而無怨讟者 物情所欲이요 而衆所共有故也 秦始皇營建宮室 而人多謗議者 爲徇其私欲注+③ 爲徇其私欲:爲, 去聲.하고 不與衆共故也
朕今欲造一殿하여 材木已具하되 遠想秦皇之事하여 遂不復作也注+④ 遂不復作也:復, 音缶.하니
古人云 不作無益害有益注+⑤ 不作無益害有益:周書旅獒之辭.이라하고 不見可欲이면 使民心不亂注+⑥ 不見可欲 使民心不亂:.이라하니 固知見可欲이면 其心必亂矣
至如雕鏤注+⑦ 至如雕鏤:鏤, 音陋.器物 珠玉服玩 若恣其驕奢하면 則危亡之期 可立待也 自王公已下 第宅車服婚嫁喪葬注+⑧ 喪葬:喪, 平聲. 準品秩不合服用者 宜一切禁斷하라하다
由是二十年間 風俗簡樸하고 衣無錦繡하며 財帛富饒하여 無飢寒之弊하다


정관貞觀 원년(627)에 태종太宗근신近臣에게 말하였다. “옛날부터 제왕들은 토목공사를 일으킬 때에는 반드시 민심을 따르는 것을 귀하게 여겼소.
옛날 구주九州의 산을 뚫고注+서경書經》 〈하서夏書 우공禹貢〉에 “구주九州의 산을 깎아 여제사旅祭祀를 지내다.”라고 하였는데, 채씨蔡氏에 “구주의 산이니, 예컨대 기주冀州에서는 양산梁山기산岐山의 부류이다.”라고 하였다. 구주의 강을 소통시킬 적에注+서경書經》 〈하서夏書 우공禹貢〉에 말하였다. “구강九江이 매우 바르게 흐른다.”라고 하였는데 채씨蔡氏에 “구강은 곧 지금의 동정호洞庭湖이다. 지금 원수沅水점수漸水원수元水진수辰水서수敍水유수酉水예수澧水자수資水상수湘水가 모두 동정호에서 합류하니, 그러므로 구강九江이라 한다. 《한서漢書》 〈지리지地理志〉에 말한 구강九江은 이것이 아니다.” 지극히 널리 사람의 힘을 사용하였지만 원망과 비방이 없었던 것은 민심이 원하는 바였고, 대중이 공유하는 바였기 때문이었소. 진 시황秦 始皇아방궁阿房宮을 세울 때 백성들이 대부분 비난한 것은 사욕을 따르고注+(위하다)는 거성去聲이다. 대중들과 함께하지 않았기 때문이오.
은 지금 전각 하나를 지으려 하여 이미 재목을 갖추어놓았으나, 멀리 진 시황의 일을 생각하여 결국 다시 짓지 않기로 하였소.注+(다시)는 이다.
옛사람이 말하기를, ‘무익한 일을 하여 유익한 일을 해치지 않는다.’ 하고注+서경書經》 〈주서周書 여오旅獒〉의 말이다., ‘욕심을 드러내지 않으면 민심을 어지럽게 하지 않는다.’고注+노자老子의 말이다. 하였으니, 진실로 욕심을 드러내면, 그 마음이 반드시 어지러워진다는 것을 알 수 있소.
예를 들면 아름답게 조각된注+(새기다)는 이다. 그릇과 주옥과 옷과 노리개에 이르기까지 만일 교만과 사치를 마음대로 한다면 곧 멸망의 시기를 서서 기다리는 것이오. 왕공 이하로 저택‧수레‧의복과 혼례‧장례 등에는注+(초상)은 평성平聲이다. 관품과 봉록에 준하여 쓰임이 합당치 않은 것을 일절 금하도록 하시오.”
이로 인해 20년간 풍속은 간결하고 소박해지고, 옷도 비단‧자수물이 없어졌으며, 재물과 비단이 풍부해져 굶주리거나 추위에 떠는 폐단이 없어졌다.


역주
역주1 老子之辭 : 《老子道德經》 3章에 보이는데, 다만 여기에는 心자가 없다.

정관정요집론(3)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