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3)

정관정요집론(3)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蘊古初以貞觀二年 自幽州注+④ 自幽州:今大興路.總管府記室兼直中書省하여 表上大寶箴注+⑤ 表上大寶箴:易大傳曰 “聖人之大寶曰位.” 蓋取此義箴誡也.하니 文義甚美하여 可爲規誡
其詞 曰 今來古往 俯察仰觀컨대 惟辟作福注+⑥ 惟辟作福:辟, 音璧, 君也. 周書箕子陳洪範之辭.하니 爲君實難注+⑦ 爲君實難:孔子告魯定公曰 이니이다
宅普天之下하고 處王公之上하여 任土貢其所注+⑧ 任土貢其所有:禹貢曰 “任土作貢.”하고 具僚和其所唱注+⑨ 和其所唱:和, 去聲.이라
是故恐懼之心日弛하고 邪僻之情轉放하나니 豈知事起乎所忽하고 禍生乎無妄이리잇가
固以聖人受命하여 拯溺亨屯注+⑩ 拯溺亨屯:拯, 音軫. 屯, 諸倫切. 歸罪於己하고 因心於人하여 大明無偏照하고 至公無私親이라
故以一人治天下하고 不以天下奉一人이니이다
禮以禁其奢하고 樂以防其佚하며 左言而右事注+⑪ 左言而右事:하고 出警而入蹕注+⑫ 出警而入蹕:天子出稱警, 入稱蹕, 警者戒肅, 蹕者止行也.하며 四時調其하고 三光同其得失이라
故身爲之度하고 而聲爲之律注+⑬ 而聲爲之律:史記 “禹聲爲律, 身爲度.” 注 “禹聲音應鍾律, 以身爲法度.”이니이다
勿謂無知하소서 하고
勿謂何害하소서 積小成大이니이다
樂不可極注+⑭ 樂不可極:樂, 音洛, 後同.이니 欲不可縱이니 縱欲成災注+⑮ 縱欲成災:曲禮曰 “欲不可從, 樂不可極.”니이다
壯九重於內注+⑯ 壯九重於內:重, 平聲. 楚辭曰 “君門九重.” 이어늘 彼昏不知하여 瑤其臺而瓊其室注+⑰ 瑤其臺而瓊其室:桀作瑤臺, 紂作瓊室.하고 羅八珍於前注+⑱ 羅八珍於前:周禮膳夫 “珍用八物, 謂淳熬(순오)‧淳母‧炮豚‧炮䍧(포장)‧擣珍(도진)‧漬‧熬肝‧膋(요).”이나 所食不過適口어늘
惟狂罔念注+⑲ 惟狂罔念:周書曰 “惟聖罔念作狂.”하여 丘其糟而池其酒注+⑳ 丘其糟而池其酒:니이다


장온고張蘊古가 일찍이 정관貞觀 2년(628)에 유주幽州注+유주幽州는〉 지금의 대흥로大興路이다.총관부總管府 기실記室로서 중서성中書省의 직무를 겸했을 때에 〈대보잠大寶箴〉을 지어 올렸는데注+역대전易大傳》(〈계사전繫辭傳〉)에 “성인聖人의 큰 보배[대보大寶]를 라 한다.”라고 했는데, 이 의의를 취하여 경계의 뜻을 담은 것이다. 문장과 내용이 매우 훌륭하여 경계로 삼을 만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지금에서 옛날까지, 굽어 바라보고 우러러 살펴볼 때, 오직 임금만이 복을 지으니注+이며 임금이다. 《서경書經》 〈주서周書〉에서 기자箕子가 〈홍범洪範〉에 대해 진술한 내용 가운데 한 구절이다., 임금 노릇 하기란 실로 어렵습니다.注+공자孔子노 정공魯 定公에게 고하기를, “임금 노릇 하기가 어렵다.”라고 했다.
넓은 하늘 아래에 머물고, 들과 들의 위에 서서, 일정한 영토를 맡은 자에게 임금이 구하는 것을 공물로 바치게 하고注+서경書經》 〈하서夏書 우공禹貢〉에 “토지를 맡겨 공물을 바치도록 했다.”라고 했다., 백관들에게 임금이 부르는 대로 화답케 합니다.注+(화답하다)는 거성去聲이다.
그리하여 두려워하는 마음이 갈수록 해이해지고, 사악하고 편벽된 감정이 점차 늘어납니다. 그러니 문제가 소홀히 하는 곳에서 생기고, 재앙이 뜻하지 않은 데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어찌 알겠습니까.
진실로 성인聖人이 천명을 받아서, 물에 빠진 자를 구하고 막혀 있는 자를 통하게 할 때에注+(구제하다)는 이다. (곤궁하다)은 의 반절이다. 모든 죄를 자신에게 돌리고, 백성에게 마음을 둡니다. 그리하여 큰 밝음은 특정한 것만을 비추는 일이 없고, 지극한 공평은 사사롭게 가까운 것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한 사람의 천자로 천하를 다스리는 것이고, 온 백성들로 한 사람을 받드는 것이 아닙니다.
예의로 사치를 금하고, 음악으로 방종을 방지하며, 좌사左史는 말을 기록하며 우사右史는 사건을 기록하고注+논문사論文史〉편에 보인다., 나갈 땐 주위를 경계하며 들어올 땐 길을 통제(벽제辟除)하여注+천자天子가 밖에 나갈 때에 을 칭하고 들어올 때에는 을 칭하니, 은 경계하고 엄숙히 하는 것이고 은 행인을 멈추는 것이다., 사시四時음양陰陽의 성쇠를 조절하고, 삼광三光(해, 달, 별)이 정치의 득실을 함께합니다.
그러므로 몸이 법도가 되고, 말이 음률이 됩니다.注+사기史記》 〈하본기夏本纪〉에 “임금은 소리가 이 되고, 몸이 법도가 된다.”라고 했는데, 그 주석에 “우임금은 소리가 황종黃鍾의 음률에 응하여 몸이 법도가 되었다.”라고 했다.
하늘이 아무것도 모른다고 하지 마소서. 높이 있어도 낮은 곳의 일을 다 듣습니다.
해로울 게 무엇이냐고 말하지 마소서. 작은 것이 쌓여 큰 문제가 됩니다.
즐거움을 만끽해선 안 되니注+(즐겁다)은 이다. 뒤에도 같다., 즐거움이 다하면 슬픔이 생기고, 욕망을 멋대로 부려선 안 되니, 욕망을 멋대로 부리면 재앙이 됩니다.注+예기禮記》 〈곡례曲禮〉에 “욕심은 방종하게 해선 안 되고, 즐거움은 극단에 이르러선 안 된다.”라고 했다.
궁 안에 구중궁궐九重宮闕을 장엄하게 해도注+(거듭, 겹치다)은 평성平聲이다. 《초사楚辭》 〈구변九辯〉에 “임금의 문은 아홉 겹이다.”라고 했다., 사는 곳은 무릎 놀릴 작은 공간에 지나지 않거늘, 걸주桀紂 같은 혼미한 이들은 이를 몰라서 누대와 궁실을 화려하게 꾸미고注+나라 걸왕桀王요대瑤臺를 지었고, 나라 주왕紂王경실瓊室을 지었다., 눈앞에 여덟 가지 진미를 늘어놓아도注+주례周禮》 〈천관天官 선부膳夫〉에 “진미는 8가지 음식물을 사용했는데, 순오淳熬(육간장을 얹힌 밥), 순모淳母(육간장을 얹힌 기장밥), 포돈炮豚(새끼 통돼지 구이), 포장炮䍧(양 간 구이), 도진擣珍(등심 구이), (주당酒糖을 넣은 소고기나 양고기), 오간熬肝(오향五香을 넣어 끓인 소고기 간), (개 간 구이)이다.”라고 했다., 먹는 것은 입에 맞는 것 몇 가지에 지나지 않거늘,
걸주 같은 미치광이는 이를 생각하지 못하여注+서경書經》 〈주서周書 다방多方〉에 이르기를, “성인聖人이라도 생각하지 않으면 광인狂人이 된다.”라고 했다. 술지개미로 언덕을 쌓고 술로 연못을 만들었습니다.注+나라 걸왕桀王나라 주왕紂王은 술로 만든 연못이 배를 운행할 수 있었고 술지게미로 싼 둑이 10리에서 바라볼 수 있었다.


역주
역주1 (有)[求] : 저본에는 ‘有’로 되어 있으나, 《舊唐書》 〈文苑傳〉에 의거하여 ‘求’로 바로잡았다.
역주2 慘舒 : 만물은 가을과 겨울에 陰氣가 쇠락하고, 봄과 여름에 陽氣가 신장함을 말한다.
역주3 居高聽卑 : 《史記》 권38 〈宋微子世家〉에 “하늘이 높이 있어도 아래 인간의 소리를 다 듣는다.[天高聽卑]”라고 하였다.
역주4 極樂成哀 : 漢 武帝의 〈秋風〉시에 “환락이 극에 달하면 슬픔이 많다.[歡樂極兮哀情多]”라고 하였다.
역주5 所居不過容膝 : 《韓詩外傳》 권9에 “지금 駟馬를 타고 騎馬를 늘어놓아도 편안한 곳은 무릎이나 놀릴 만한 방에 지나지 않는다.[今如結駟列騎 所安不過容膝]”라고 하였다.
역주6 爲君難 : 《論語》 〈子路〉에 보인다.
역주7 見文史篇論 : 文史篇論은 論文史篇을 도치한 것이다. 〈論文史篇〉 3장 ‘古之左右史’에 대한 주석에 보인다.
역주8 桀紂酒池可以運船 糟隄可以望十里 : 《韓詩外傳》 권2에 “옛날에 桀王이 酒池와 糟隄를 만들었다.[昔者桀爲酒池糟隄]”라고 하였다.

정관정요집론(3)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