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4)

정관정요집론(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貞觀四年 李靖 擊突厥頡利하여 敗之하니 其部落多來歸降者注+① 其部落多來歸降者:降, 下江切, 後同.어늘
詔議安邊之策한대 中書令溫彦博議호대
請於河南處之注+② 請於河南處之:處, 上聲, 後同.하노니
準漢建武時하여 置降於五原塞下注+③ 置降匈奴於五原塞下:塞, 音賽, 後同. 五原塞, 今爲豐州, 隷河東하여 全其部落하여 得爲捍蔽하고
又不離其土俗하여 因而撫之 一則實空虛之地 二則示無猜之心이니 是含育之道也니이다
太宗 從之러니
秘書監魏徵曰 匈奴自古至今 未有如斯之破敗하니 此是이요 宗廟神武니이다
且其世寇中國하여 萬姓寃讐
陛下以其爲降으로 不能誅滅인댄 卽宜遣發河北注+④ 卽宜遣發河北:河北, 今山東道.하여 居其舊土
匈奴 이니 非我族類
强必寇盜하고 弱則卑伏하여 不顧恩義 其天性也
秦漢患之者 若是 故時發猛將以擊之注+⑤ 故時發猛將以擊之:將, 去聲.하여 收其河南以爲郡縣하니이다
陛下以內地居之하시니 且今降者幾至十萬이라
數年之後 滋息過倍리니
居我하여 用邇 心腹之疾 將爲後患이니 尤不可處以河南也니이다


정관貞觀 4년(630)에 이정李靖돌궐突厥힐리가한頡利可汗을 쳐서 패배시키니 그 부락에서 귀순한 자가 많았다.注+(항복하다)은 의 반절이다. 뒤에도 같다.
태종太宗이 조서를 내려 ‘변방을 안정시키는 계책’을 논의하라고 하자 중서령中書令 온언박溫彦博이 말하였다.
“귀순자들을 하남河南(하수河水의 남쪽 지역)에 머무르게 하기를 청합니다.注+(살다)는 상성上聲이다. 뒤에도 같다.
나라 광무제光武帝 건무建武 연간(25~55)의 고사를 본받아 투항한 흉노匈奴(돌궐)를 오원새五原塞에 안치시켜서注+(변방)는 이다. 뒤에도 같다. 오원새五原塞는 지금의 풍주豐州이니 하동河東에 속한다. 돌궐의 부락을 온전히 하여 변방을 지키는 울타리로 삼으시고
또 그들의 풍토와 습속을 버리지 않게 해서, 그대로 그들을 위무慰撫한다면 첫째는 텅 빈 땅을 이들로 채울 수 있고, 둘째는 의심하지 않는 마음을 보일 수 있으니, 이는 포용하여 화육하는 방법입니다.”
태종은 이를 따랐다.
비서감秘書監 위징魏徵이 말하였다. “흉노는 예로부터 지금까지 이처럼 패배한 적이 없으니, 이는 하늘이 〈흉노를〉 끊으려고 한 것이며 우리 종묘사직의 신명神明위무威武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또 흉노가 대대로 중국을 침범하여, 백성들의 원수이지만
폐하께서는 그들이 항복하여 죽일 수 없다고 여기신다면 즉시 하북河北(하수河水 북쪽 지역)으로 보내어注+하북河北은 지금 산동도山東道이다. 그들의 옛 토지에서 살게 해야 할 것입니다.
흉노는 사람의 얼굴에 짐승의 마음을 가지고 있으니, 우리와 동족이 아닙니다.
강하면 반드시 침범하여 노략질을 하고, 약하면 비굴하게 복종하여, 은혜와 의리를 돌아보지 않는 것이 그들의 천성입니다.
진한시대秦漢時代에 근심했던 것이 이와 같았기 때문에 수시로 용맹한 장수를 보내어 격파하여注+(장수)은 거성去聲이다., 하남을 빼앗아 군현郡縣으로 삼았습니다.
폐하께서 그들을 내지內地에 살게 하시니, 지금 항복한 자가 거의 10만 명에 이르렀습니다.
수년 후에는 인구가 불어나 두 배도 넘을 것인데,
그들을 우리의 지척에 살게 하여 왕기王畿에 가까이 있게 한다면, 가슴에 병이 생겨 후환이 될 것이니 더욱더 하남에 살게 해서는 안 됩니다.”


역주
역주1 匈奴 : 여기서 匈奴는 突厥을 말한 것이다. 본래 흉노와 돌궐은 구분해야 하나, 중국인의 입장에서 똑같은 오랑캐로 본 것이다.
역주2 上天剿絶 : 《書經》 〈夏書 甘誓〉에 “하늘이 그 命을 끊는다.[天用剿絶其命]”라고 하였다.
역주3 人面獸心 : 《漢書》 〈匈奴傳〉 贊에 “머리를 풀고 오른쪽 옷섶을 왼쪽 옷섶 위로 여미며, 사람의 얼굴에 짐승의 마음을 가졌다.[被髮左衽 人面獸心]”라고 하였다.
역주4 肘腋 : 매우 가까운 지방을 비유한 것으로 內地를 가리킨다.
역주5 王畿 : 王城에서 사방 500리 이내의 지역이다.

정관정요집론(4)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