貞觀十四年
에 太宗幸同州
注+① 太宗幸同州:今仍舊, 隷陝西.沙苑
하여 親格猛獸
하고 
                        		
                        		
                        		
	                     		
			                       	
			                       	
	                     		
	                     		
		                        
                        	
                        	
                        	
                        	
                        		
                        			
                        			
			                        
			                        	復晨出夜還
注+② 復晨出夜還:音旋, 後同.이어늘 特進魏徵
이 奏言
호대 
                        		
                        		
                        		
	                     		
			                       	
			                       	
	                     		
	                     		
		                        
                        	
                        	
                        	
                        	
                        		
                        			
                        			
			                        
			                        	臣聞
호대 書美
注+③ 美文王不敢盤於遊田:周書曰 “文王不敢盤于遊田, 以庶邦惟正之供.”하고 傳述虞箴稱
以爲戒
注+④ 稱夷羿以爲戒:傳, 去聲. 左傳 “魏絳告晉侯曰 ‘昔虞人之箴曰 「在帝夷羿, 冒于原獸.」 虞箴如是, 可不懲乎.’”하니이다 
                        		
                        		
                        		
	                     		
			                       	
			                       	
	                     		
	                     		
		                        
                        	
                        	
                        	
                        	
                        		
                        			
                        			
			                        
                        		
                        		
                        		
	                     		
			                       	
			                       	
	                     		
	                     		
		                        
                        	
                        	
                        	
                        	
                        		
                        			
                        			
			                        
			                        	聖主不乘危
注+⑥ 聖主不乘危:乘, 平聲.하고 不徼幸
하니이다 今陛下騁六飛
注+⑦ 今陛下騁六飛:馬名.하여 馳不測之山
하시니 
                        		
                        		
                        		
	                     		
			                       	
			                       	
	                     		
	                     		
		                        
                        	
                        	
                        	
                        	
                        		
                        			
                        			
			                        
			                        	如有馬驚車敗
면 陛下縱欲自輕
이나 奈高廟何
注+⑧ 文馳不測之山……奈高廟何:오하고 
                        		
                        		
                        		
	                     		
			                       	
			                       	
	                     		
	                     		
		                        
                        	
                        	
                        	
                        	
                        		
                        			
                        			
			                        
			                        	孝武好格猛獸
注+⑨ 孝武好格猛獸:好, 去聲, 後同.어늘 相如進諫
호대 
                        		
                        		
                        		
	                     		
			                       	
			                       	
	                     		
	                     		
		                        
                        	
                        	
                        	
                        	
                        		
                        			
                        			
			                        
			                        	注+⑩ 力稱烏獲:秦武王力士, 擧龍文鼎者.하고 捷言慶忌
注+⑪ 捷言慶忌:吳王僚之子, 射能捷矢.하니 人誠有之
어니와 獸亦宜然
하니  
			                         
                        		
                        		
                        		
	                     		
			                       	
			                       	
	                     		
	                     		
		                        
                        	
                        	
                        	
                        	
                        		
                        			
                        			
			                        
                        		
                        		
                        		
	                     		
			                       	
			                       	
	                     		
	                     		
		                        
                        	
                        	
                        	
                        	
                        		
                        			
                        			
			                        
			                        	雖烏獲逄蒙之伎
注+⑫ 雖烏獲逄蒙之伎:逄, 音龐. 逄蒙, 古之善射者.라도 不得用
하고 而枯木朽株
가 盡爲難矣
니 
                        		
                        		
                        		
	                     		
			                       	
			                       	
	                     		
	                     		
		                        
                        	
                        	
                        	
                        	
                        		
                        			
                        			
			                        
			                        	雖萬全而無患
이라도 然而本非天子所宜
注+⑬ 雖萬全……本非天子所宜:事見首章註.라하고 
                        		
                        		
                        		
	                     		
			                       	
			                       	
	                     		
	                     		
		                        
                        	
                        	
                        	
                        	
                        		
                        			
                        			
			                        
			                        	孝元帝郊泰畤
注+⑭ 孝元帝郊泰畤:郊祀之壇曰畤.할새 因留射獵
이어늘 薛廣德注+⑮ 薛廣德:字長卿, 沛郡人. 時爲長信少府御史大夫.稱
호대  
                        		
                        		
                        		
	                     		
			                       	
			                       	
	                     		
	                     		
		                        
                        	
                        	
                        	
                        	
                        		
                        			
                        			
			                        
                        		
                        		
                        		
	                     		
			                       	
			                       	
	                     		
	                     		
		                        
                        	
                        	
                        	
                        	
                        		
                        			
                        			
			                        
                        		
                        		
                        		
	                     		
			                       	
			                       	
	                     		
	                     		
		                        
                        	
                        	
                        	
                        	
                        		
                        			
                        			
			                        
			                        	士卒暴露
하고 從官勞倦
注+⑯ 從官勞倦:從, 去聲.하니 
                        		
                        		
                        		
	                     		
			                       	
			                       	
	                     		
	                     		
		                        
                        	
                        	
                        	
                        	
                        		
                        			
                        			
			                        
                        		
                        		
                        		
	                     		
			                       	
			                       	
	                     		
	                     		
		                        
                        	
                        	
                        	
                        	
                        		
                        			
                        			
			                        
			                        	臣竊思此數帝
가 心豈木石
이라 獨不好馳騁之樂
注+⑰ 獨不好馳騁之樂:音洛, 後同.이리오 
                        		
                        		
                        		
	                     		
			                       	
			                       	
	                     		
	                     		
		                        
                        	
                        	
                        	
                        	
                        		
                        			
                        			
			                        
			                        	而割情屈己
하여 從臣下之言者
는 志存爲國
注+⑱ 志存爲國:爲, 去聲, 後同.니 
                        		
                        		
                        		
	                     		
			                       	
			                       	
	                     		
	                     		
		                        
                        	
                        	
                        	
                        	
                        		
                        			
                        			
			                        
			                        	臣伏聞車駕近出하여 親格猛獸하고 晨往夜還이라하니
			                         
                        		
                        		
                        		
	                     		
			                       	
			                       	
	                     		
	                     		
		                        
                        	
                        	
                        	
                        	
                        		
                        			
                        			
			                        
			                        	以萬乘之尊으로 闇行荒野하여 踐深林하며 涉豐草하니 甚非萬全之計라
			                         
                        		
                        		
                        		
	                     		
			                       	
			                       	
	                     		
	                     		
		                        
                        	
                        	
                        	
                        	
                        		
                        			
                        			
			                        
                        		
                        		
                        		
	                     		
			                       	
			                       	
	                     		
	                     		
		                        
                        	
                        	
                        	
                        	
                        		
                        			
                        			
			                        
                        		
                        		
                        		
	                     		
			                       	
			                       	
	                     		
	                     		
		                        
                        	
                        	
                        	
                        	
                        		
                        			
                        			
			                        
			                        	太宗이 曰 昨日之事는 偶屬塵昏하니 非故然也라 自今深用爲誡하노라
			                         
                        		
                        		
                        		
	                     		
			                       	
			                       	
	                     		
	                     		
		                        
                        	
                        	
                        	
                        	
                        		
                        		
                        		
                        			
                        			
		                       		
		                       		
		                       		
		                       			
		                       			
		                       			
		                       				注
		                       		
		                        
		                        	
		                        		
		                            	【集論】愚按 魏徵諫獵之辭는 援古監今이 惓惓忠篤하여
		                            	 
									
                        			
                        			
                        		
	                     		
			                       	
			                       	
	                     		
	                     		
		                        
                        	
                        	
                        	
                        	
                        		
                        		
                        		
                        			
                        			
		                       		
		                       		
		                       		
		                        
		                        	
		                        		
		                            	比虞世南奏疏尤爲懇至切到하니 足以儆動其君之聽이라
		                            	 
									
                        			
                        			
                        		
	                     		
			                       	
			                       	
	                     		
	                     		
		                        
                        	
                        	
                        	
                        	
                        		
                        		
                        		
                        			
                        			
		                       		
		                       		
		                       		
		                        
		                        	
		                        		
									
                        			
                        			
                        		
	                     		
			                       	
			                       	
	                     		
	                     		
		                        
                        	
                        	
                        	
                        	
                        		
                        		
                        		
                        			
                        			
		                       		
		                       		
		                       		
		                        
		                        	
		                        		
									
                        			
                        			
                        		
	                     		
			                       	
			                       	
	                     		
	                     		
		                        
                        	
                        	
                        	
                        	
                   			
                    			
                    				
                    				 
                    			
                   			
                        	
                        	
                        	
                        	
	                       	
	                       	
	                       	
	                       	
							                       	
	                        
	                        
	                        	
	                        
	                        	
	                        		
	                        	
	                        
	                        	
	                        
	                        	
	                        		
	                        	
	                        
	                        	
	                        
	                        	
	                        		
	                        	
	                        
	                        	
	                        
	                        	
	                        		
	                        	
	                        
	                        	
	                        
	                        	
	                        		
	                        	
	                        
	                        	
	                        
	                        	
	                        		
	                        	
	                        
	                        	
	                        
	                        	
	                        		
	                        	
	                        
	                        	
	                        
	                        	
	                        		
	                        	
	                        
	                        	
	                        
	                        	
	                        		
	                        	
	                        
	                        	
	                        
	                        	
	                        		
	                        	
	                        
	                        	
	                        
	                        	
	                        		
	                        	
	                        
	                        	
	                        
	                        	
	                        		
	                        	
	                        
	                        	
	                        
	                        	
	                        		
	                        	
	                        
	                        	
	                        
	                        	
	                        		
	                        	
	                        
	                        	
	                        
	                        	
	                        		
	                        	
	                        
	                        	
	                        
	                        	
	                        		
	                        	
	                        
	                        	
	                        
	                        	
	                        		
	                        	
	                        
	                        	
	                        
	                        	
	                        		
	                        	
	                        
	                        	
	                        
	                        	
	                        		
	                        	
	                        
	                        	
	                        
	                        	
	                        		
	                        	
	                        
	                        	
	                        
	                        	
	                        		
	                        	
	                        
	                        	
	                        
	                        	
	                        		
	                        	
	                        
	                        	
	                        
	                        	
	                        		
	                        	
	                        
	                        	
	                        
	                        	
	                        
	                        	
	                        
	                        	
	                        
	                        	
	                        
	                        	
	                        
	                        	
	                        
	                        	
	                        
	                        
	                        
                        	
		                        
		                        
		                        
		                        
                        		
                        	
		                        
		                        
		                        
		                        	
		                        	
		                        
		                        
                        		
                        		
                        			
			                        
			                        	정관貞觀 14년(640)에 
태종太宗이 
동주同州의
注+〈동주同州는〉 지금 옛날 그대로이고 섬서陝西에 속한다. 사원沙苑에 행차하여 직접 맹수를 쳐서 잡고
 
			                              
                        			
                        		
                        		
	                     		
			                       	
			                       	
	                     		
		                        
                        	
		                        
		                        
		                        
		                        
                        		
                        	
		                        
		                        
		                        
		                        	
		                        	
		                        
		                        
                        		
                        		
                        			
			                        
			                        	또 이른 아침에 나가서 밤늦게 발길을 돌리거늘
注+〈환還(발길 돌리다)은〉 음音이 선旋이다. 뒤에도 같다. 특진特進 위징魏徵이 상주하였다.
      
                        			
                        		
                        		
	                     		
			                       	
			                       	
	                     		
		                        
                        	
		                        
		                        
		                        
		                        
                        		
                        	
		                        
		                        
		                        
		                        	
		                        	
		                        
		                        
                        		
                        		
                        			
			                        
			                        	“신이 듣기에 《
서경書經》에는 
주 문왕周 文王이 유람과 사냥을 즐기지 않은 것을 칭송하였으며
注+《서경書經》 〈주서周書 무일無逸〉에 말하기를 “문왕文王이 감히 유람과 사냥을 즐기지 아니하여 각 제후국에서 납부하는 경상 공물만 받으셨다.” 하였다., 《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는 
우인虞人의 
잠箴에서 
하후夏后 이예夷羿를 일컬어 경계한 것을 기술하였습니다.
注+전傳(기록)은 거성去聲이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양공襄公 4년에 “위강魏絳이 진후晉侯에게 고하였다. ‘옛날에 우인虞人(사냥을 맡은 관리)의 경계하는 글에 「이예夷羿는 천자가 되어 사냥만을 탐하였다.」라고 하였습니다. 우인虞人의 경계하는 글이 이와 같으니 경계하지 않아서야 되겠습니까.’” 하였다.      
                        			
                        		
                        		
	                     		
			                       	
			                       	
	                     		
		                        
                        	
		                        
		                        
		                        
		                        
                        		
                        	
		                        
		                        
		                        
		                        	
		                        	
		                        
		                        
                        		
                        		
                        			
			                        
			                        	옛날 
한 문제漢 文帝가 가파른 비탈에 임하여 달려 내려가려고 하자 
원앙袁盎이
注+〈원앙袁盎은〉 초楚나라 사람이고 한 문제漢 文帝 때에 중랑장中郞將이 되었다. 말고삐를 잡고 말하기를
      
                        			
                        		
                        		
	                     		
			                       	
			                       	
	                     		
		                        
                        	
		                        
		                        
		                        
		                        
                        		
                        	
		                        
		                        
		                        
		                        	
		                        	
		                        
		                        
                        		
                        		
                        			
			                        
			                        	‘
성주聖主는 위험한 것을 타지 않고
注+승乘(타다)은 평성平聲이다. 요행을 바라지 않습니다. 지금 폐하께서는 
육비六飛를 몰아
注+〈육비六飛는〉 말 이름이다. 예측하지 못할 산속을 달리고자 하시니,
      
                        			
                        		
                        		
	                     		
			                       	
			                       	
	                     		
		                        
                        	
		                        
		                        
		                        
		                        
                        		
                        	
		                        
		                        
		                        
		                        	
		                        	
		                        
		                        
                        		
                        		
                        			
			                        
			                        	만일 말이 놀라고 수레가 부서지면 폐하께서는 스스로 목숨을 가볍게 여기신다고 하더라도 
고묘高廟(
고조高祖 유방劉邦의 사당)는 어찌하시렵니까.’라고
注+문제文帝가 패릉霸陵에서 서쪽으로 가파른 비탈을 달려 내려가려고 하자 원앙袁盎이 간언을 하였다. 문제가 말하기를 “장군將軍은 겁나는가?” 하니, 원앙은 말하기를 “신이 듣건대, 천금千金을 가진 집의 아들은 당의 마루 끝에 앉지 않는다 하고, 백금百金을 가진 집의 아들은 수레 앞의 횡목에 기대지 않는다고 하였습니다.……” 하였다. 이에 문제가 마침내 그쳤다. 하였습니다.
      
                        			
                        		
                        		
	                     		
			                       	
			                       	
	                     		
		                        
                        	
		                        
		                        
		                        
		                        
                        		
                        	
		                        
		                        
		                        
		                        	
		                        	
		                        
		                        
                        		
                        		
                        			
			                        
			                        	효무제孝武帝가 직접 맹수를 쳐서 잡는 것을 좋아하자
注+호好(좋아하다)는 거성去聲이다. 뒤에도 같다. 사마상여司馬相如가 간언하기를
 
			                              
                        			
                        		
                        		
	                     		
			                       	
			                       	
	                     		
		                        
                        	
		                        
		                        
		                        
		                        
                        		
                        	
		                        
		                        
		                        
		                        	
		                        	
		                        
		                        
                        		
                        		
                        			
			                        
			                        	‘힘으로는 
오획烏獲(오획)을 말하고
注+〈오획烏獲은〉 진 무왕秦 武王의 역사力士인데, 용문정龍文鼎을 들은 사람이다. 민첩함으로는 
경기慶忌를 말하는데
注+〈경기慶忌는〉 춘추시대春秋時代 오왕吳王 요僚의 아들인데 활을 쏘면 화살이 빨랐다., 사람 중에 참으로 이러한 자가 있습니다만 금수도 또한 그러합니다.
      
                        			
                        		
                        		
	                     		
			                       	
			                       	
	                     		
		                        
                        	
		                        
		                        
		                        
		                        
                        		
                        	
		                        
		                        
		                        
		                        	
		                        	
		                        
		                        
                        		
                        		
                        			
			                        
			                        	졸지에 자신의 몸을 보전할 수 없는 곳에서 힘이 세고 재빠른 짐승을 만나 놀라게 되면
			                              
                        			
                        		
                        		
	                     		
			                       	
			                       	
	                     		
		                        
                        	
		                        
		                        
		                        
		                        
                        		
                        	
		                        
		                        
		                        
		                        	
		                        	
		                        
		                        
                        		
                        		
                        			
			                        
			                        	비록 오획이나 
방몽逄蒙(방몽)의 기량이라도
注+방逄은 음音이 방龐이다. 방몽逄蒙은 옛날에 활을 잘 쏘는 사람이다. 쓸 수 없어서 고목이나 썩은 그루터기조차도 모두 환난이 될 것입니다.
      
                        			
                        		
                        		
	                     		
			                       	
			                       	
	                     		
		                        
                        	
		                        
		                        
		                        
		                        
                        		
                        	
		                        
		                        
		                        
		                        	
		                        	
		                        
		                        
                        		
                        		
                        			
			                        
			                        	비록 만전을 기하여 우환이 없게 하더라도 본래 천자가 마땅히 할 것이 아닙니다.’라고 하였습니다.
注+일이 첫 장 주에 보인다. 漢 文帝가 탄 수레의 고삐를 잡고 간언을 하는 袁盎
漢 文帝가 탄 수레의 고삐를 잡고 간언을 하는 袁盎      
                        			
                        		
                        		
	                     		
			                       	
			                       	
	                     		
		                        
                        	
		                        
		                        
		                        
		                        
                        		
                        	
		                        
		                        
		                        
		                        	
		                        	
		                        
		                        
                        		
                        		
                        			
			                        
			                        	효원제孝元帝가 
태치泰畤에서 
교제郊祭를 지내고
注+교사郊祀를 지내는 단을 치畤라고 한다. 이어서 그곳에 머무르며 사냥을 하였는데, 
설광덕薛廣德이
注+〈설광덕薛廣德은〉 자字가 장경長卿이며 패군沛郡 사람이다. 당시에 장신소부長信少府 어사대부御史大夫가 되었다. 말하기를
 
			                              
                        			
                        		
                        		
	                     		
			                       	
			                       	
	                     		
		                        
                        	
		                        
		                        
		                        
		                        
                        		
                        	
		                        
		                        
		                        
		                        	
		                        	
		                        
		                        
                        		
                        		
                        			
			                        
			                        	‘삼가 보건대 관동關東 지역이 매우 곤궁하고 백성이 재해를 만났는데,
			                              
                        			
                        		
                        		
	                     		
			                       	
			                       	
	                     		
		                        
                        	
		                        
		                        
		                        
		                        
                        		
                        	
		                        
		                        
		                        
		                        	
		                        	
		                        
		                        
                        		
                        		
                        			
			                        
			                        	폐하께서는 오늘 멸망한 진秦나라의 종을 쳐 연주하시고 음탕한 정鄭나라와 위衛나라의 음악을 노래하시며,
			                              
                        			
                        		
                        		
	                     		
			                       	
			                       	
	                     		
		                        
                        	
		                        
		                        
		                        
		                        
                        		
                        	
		                        
		                        
		                        
		                        	
		                        	
		                        
		                        
                        		
                        		
                        			
			                        
			                        	따르는 사졸들은 
풍찬노숙風餐露宿을 하고 수행하는 관리들은 피로함에 지쳐 있습니다.
注+종從(수행하다)은 거성去聲이다.      
                        			
                        		
                        		
	                     		
			                       	
			                       	
	                     		
		                        
                        	
		                        
		                        
		                        
		                        
                        		
                        	
		                        
		                        
		                        
		                        	
		                        	
		                        
		                        
                        		
                        		
                        			
			                        
			                        	종묘와 사직을 안정시키려고 하시면서 어찌 황하를 맨몸으로 건너고 호랑이를 맨손으로 잡는 무모한 일은 경계하지 않으십니까.’라고 하였습니다.
			                              
                        			
                        		
                        		
	                     		
			                       	
			                       	
	                     		
		                        
                        	
		                        
		                        
		                        
		                        
                        		
                        	
		                        
		                        
		                        
		                        	
		                        	
		                        
		                        
                        		
                        		
                        			
			                        
			                        	신이 삼가 생각건대 이들 황제의 마음이 어찌 목석이어서 유독 말을 달려 사냥하는 즐거움을 좋아하지 않겠습니까.
注+〈낙樂(즐겁다)은〉 음音이 낙洛이다. 뒤에도 같다.      
                        			
                        		
                        		
	                     		
			                       	
			                       	
	                     		
		                        
                        	
		                        
		                        
		                        
		                        
                        		
                        	
		                        
		                        
		                        
		                        	
		                        	
		                        
		                        
                        		
                        		
                        			
			                        
			                        	그러나 그 감정을 버리고 자기의 뜻을 굽혀 신하의 간언을 따르는 것은 뜻이 나라를 위하는 데에 있고, 자신을 위하는 데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注+위爲(때문에)는 거성去聲이다. 뒤에도 같다.      
                        			
                        		
                        		
	                     		
			                       	
			                       	
	                     		
		                        
                        	
		                        
		                        
		                        
		                        
                        		
                        	
		                        
		                        
		                        
		                        	
		                        	
		                        
		                        
                        		
                        		
                        			
			                        
			                        	신이 삼가 듣건대 폐하께서 근래에 밖으로 나가 직접 맹수를 쳐서 잡고, 아침에 나갔다가 밤늦게서야 발길을 돌리신다고 하니,
			                              
                        			
                        		
                        		
	                     		
			                       	
			                       	
	                     		
		                        
                        	
		                        
		                        
		                        
		                        
                        		
                        	
		                        
		                        
		                        
		                        	
		                        	
		                        
		                        
                        		
                        		
                        			
			                        
			                        	천자의 존귀한 신분으로 어둠 속에서 거친 들판을 돌아다니시어 깊은 숲을 걷고 무성한 초목을 밟으시니 매우 만전의 계책이 아닙니다.
			                              
                        			
                        		
                        		
	                     		
			                       	
			                       	
	                     		
		                        
                        	
		                        
		                        
		                        
		                        
                        		
                        	
		                        
		                        
		                        
		                        	
		                        	
		                        
		                        
                        		
                        		
                        			
			                        
			                        	원하건대 폐하께서는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것을 버리시고 맹수를 쳐서 잡는 즐거움을 그치시어,
			                              
                        			
                        		
                        		
	                     		
			                       	
			                       	
	                     		
		                        
                        	
		                        
		                        
		                        
		                        
                        		
                        	
		                        
		                        
		                        
		                        	
		                        	
		                        
		                        
                        		
                        		
                        			
			                        
			                        	위로는 종묘사직을 위하고 아래로는 백관들과 백성들을 위로하소서.”
			                              
                        			
                        		
                        		
	                     		
			                       	
			                       	
	                     		
		                        
                        	
		                        
		                        
		                        
		                        
                        		
                        	
		                        
		                        
		                        
		                        	
		                        	
		                        
		                        
                        		
                        		
                        			
			                        
			                        	태종이 말하였다. “어제의 일은 우연히 정신이 혼몽했었던 것이지 일부러 그렇게 한 것은 아니오. 이제부터는 깊이 경계하겠소.”
			                              
                        			
                        		
                        		
	                     		
			                       	
			                       	
	                     		
		                        
                        	
		                        
		                        
		                        
		                        
                        		
                        	
		                        
		                        
		                        
		                        
                        		
                        		
                        		
                        			
                        			
		                       		
		                       		
		                       		
		                       			
		                       			
		                       			
		                       				注
		                       		
		                       		
		                        		
			                            	내가 살펴보건대 위징魏徵이 사냥에 대해 간언한 말은 옛날 일을 끌어다가 지금의 일을 살피는 것이 정성스럽고 독실하여
			                             
									
                        			
                        			
                        		
	                     		
			                       	
			                       	
	                     		
		                        
                        	
		                        
		                        
		                        
		                        
                        		
                        	
		                        
		                        
		                        
		                        
                        		
                        		
                        		
                        			
                        			
		                       		
		                       		
		                       		
		                       		
		                        		
			                            	우세남虞世南의 상소에 견주어 더욱더 간절하니, 임금의 청문聽聞을 경계시키기에 충분하였다.
			                             
									
                        			
                        			
                        		
	                     		
			                       	
			                       	
	                     		
		                        
                        	
		                        
		                        
		                        
		                        
                        		
                        	
		                        
		                        
		                        
		                        
                        		
                        		
                        		
                        			
                        			
		                       		
		                       		
		                       		
		                       		
		                        		
			                            	혼몽하다는 말은 태종太宗이 어찌 느껴 깨닫지 않을 수 있겠는가.
			                             
									
                        			
                        			
                        		
	                     		
			                       	
			                       	
	                     		
		                        
                        	
		                        
		                        
		                        
		                        
                        		
                        	
		                        
		                        
		                        
		                        
                        		
                        		
                        		
                        			
                        			
		                       		
		                       		
		                       		
		                       		
		                        		
			                            	위징과 같은 이는 임금을 도道로 잘 이끌었다고 말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