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3)

정관정요집론(3)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且我之所代 實在有隋 隋氏亂亡之源 聖明之所臨照니이다
以隋氏之府藏注+⑲ 以隋氏之府藏:去聲.으로 譬今日之資儲하고 以隋氏之甲兵으로 況當今之士馬하고 以隋氏之戶口 校今時之百姓하여 度長比大注+⑳ 度長比大:度, 待洛切.인댄 曾何等級注+㉑ 曾何等級:曾, 音層.이리잇가
然隋氏以富强而喪敗 動之也 我以貧窮而安寧 靜之也하니
靜之則安하고 動之則亂 人皆知之 非隱而難見也 非微而難察也니이다 然鮮蹈平易之塗注+㉒ 鮮蹈平易(이)之塗:鮮, 上聲. 易, 以豉切, 後同.하고 多遵覆車之轍 何哉잇가
在於安不思危하고 治不念亂하고 存不慮亡之所致也니이다 昔隋氏之未亂 自謂必無亂하고 隋氏之未亡 自謂必不亡이라
所以甲兵屢動하고 徭役不息하여 至於將受戮辱하되 竟未悟其滅亡之所由也하니 可不哀哉잇가
夫鑑形之美惡인댄 必就於하고 鑑國之安危인댄 必取於亡國이니이다
故詩曰 殷鑑不遠이라 在夏后之世注+㉓ 殷鑒不遠 在夏后之世:詩大雅蕩篇之辭.라하고 又曰 伐柯伐柯 其則不遠注+㉔ 伐柯伐柯 其則不遠:詩豳風伐柯篇之辭.이라하니이다
臣願當今之動靜 必思隋氏하여 以爲殷鑑하시면 則存亡治亂 可得而知니이다
若能思其所以危 則安矣 思其所以亂이면 則治矣 思其所以亡이면 則存矣
知存亡之所在하여 節嗜欲以從人하며 省遊畋之娛하고 息靡麗之作하고 罷不急之務하고 愼偏聴之怒하며
近忠厚하고 注+㉕ 遠便佞:遠, 去聲. 便, 平聲.하며 杜悅耳之邪說하고 甘苦口之忠言하며 去易進之人하고 賤難得之貨하며
採堯舜之誹謗注+㉖ 堯舜之誹謗:堯舜設誹謗之木於五達之衢, 以書政治之愆失.하고 追禹湯之罪己注+㉗ 禹湯之罪己:左傳 “禹湯罪己, 其興也勃焉.”하며 惜十家之産注+㉘ 惜十家之産:見納諫篇注.하고 順百姓之心하며 하여 恕以待物하며
思勞謙以受益注+㉙ 思勞謙以受益:易謙卦九三 “勞謙, 君子有終, 吉.”하고 不自滿以招損注+㉚ 滿以招損:虞書曰 “滿招損, 謙受益.”하여
하고 出言而千里斯應注+㉛ 出言而千里斯應:易大傳曰 “君子居其室, 出其言善, 則千里之外應之.”하여 超上德於前載하고 樹風聲於後昆이니이다
此聖哲之宏規 而帝王之大業이니 能事斯畢 在乎愼守而已니이다


우리가 대신한 곳은 실로 나라입니다. 수나라가 혼란과 멸망에 이르게 된 근원은 성스럽고 현명하신 성상께서 직접 살펴보신 바입니다.
수나라 창고에 저장된 물자를 가지고注+(저장)은〉 거성去聲이다. 지금 저장된 물자에 비교해보고 수나라의 병력을 가지고 지금의 병력에 비교해보고 수나라의 호구수戶口數를 가지고 지금의 백성과 비교해볼 때 그 길이를 따지고 크기를 견주면注+(헤아리다)은 의 반절이다. 어찌 비교할 수 있겠습니까.注+(일찍이)은 이다.
하지만 수나라가 부강함에도 패망한 것은 백성을 소동케 했기 때문이고, 우리가 빈궁함에도 평안한 것은 백성을 안정시켰기 때문입니다.
안정시키면 평안하고 소동시키면 혼란한 것은 사람들이 모두 아는 것으로, 숨어 있어 보기 어려운 것이 아니고 미묘해서 살피기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하지만 평이한 길을 밟는 것이 드물고注+(적다)는 상성上聲이다. (쉽다)는 의 반절이다. 뒤에도 같다., 전복된 과거 전례를 따르는 것이 많은 것은 어째서입니까.
편안할 때 위기를 생각하지 않고 다스려질 때 혼란을 염려하지 않고 살아 있을 때 죽음을 고려하지 않는 탓입니다. 예전 나라가 혼란스럽지 않을 때 스스로 반드시 혼란이 없을 것이라고 하였고, 수나라가 망하지 않았을 때 스스로 반드시 망하지 않을 것이라 했습니다.
그 때문에 병력을 자주 동원하고 요역徭役을 멈추지 않아, 장차 죽임과 능욕을 당할 처지에 이르렀음에도 끝내 그 멸망의 원인을 알아채지 못했으니, 안타깝다 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모양의 아름다움과 추함을 살필 땐 반드시 잔잔한 물에 나아가고, 국가의 안정과 위기를 살필 땐 반드시 망국에서 찾습니다.
그래서 《시경詩經》 〈대아大雅 〉에 이르기를, ‘나라의 거울삼을 것이 멀리 있지 않고 하후시대夏后時代에 있다.’라고 하고注+시경詩經》 〈대아大雅 〉편의 내용이다., 또 〈빈풍豳風 벌가伐柯〉에 이르기를, ‘도끼자루 감을 베고 도끼자루 감을 벰이여! 그 크기 기준이 멀리 있지 않다.’라고 했으니注+시경詩經》 〈빈풍豳風 벌가伐柯〉편의 내용이다.,
신은 바라옵건대, 지금의 소동과 안정은 반드시 나라를 떠올려, 그것을 거울로 삼는다면 생존과 멸망, 치세와 난세를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만일 위태해지는 이유를 생각해낸다면 편안할 것이고 혼란해지는 이유를 생각해낸다면 다스려질 것이고 패망하게 된 이유를 생각해낸다면 생존할 것입니다.
생존과 멸망의 소재를 알아차려 사적인 기호와 욕구를 절제하며 남의 충고를 따르고, 유람과 사냥의 오락을 줄이고 화려한 궁궐의 축조를 멈추고 시급하지 않은 일을 파하고 한쪽 말만 들어 노여워함을 신중히 하며,
충성스럽고 후덕한 사람을 가까이하고, 말 잘하는 사람을 멀리하며注+(멀리하다)은 거성去聲이며, 便(말 잘하다)은 평성平聲이다. 귀만을 기쁘게 하는 말을 막고, 입에 쓴 충직한 말을 달게 여기며, 경솔하게 나서는 사람을 물리치고, 얻기 어려운 재화를 천시하며,
이 설치한 비방목誹謗木을 본받고注+요순堯舜이 다섯 방향으로 통하는 거리에 비방목誹謗木을 설치해서 정치의 잘못을 쓰게 했다. 이 자신에게 죄를 돌린 것을 떠올리며注+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장공莊公 11년 조에 “우왕禹王탕왕湯王이 자신에게 죄를 돌렸으므로 그 흥기가 빨랐다.”라고 하였다., 한 문제漢 文帝처럼 열 가구의 재산을 아끼고注+논납간論納諫〉편 주석에 보인다., 백성의 마음에 순응하며, 가깝게 자신에게서 잣대를 취하여 자기의 입장에서 남을 대하며,
공로를 세워도 겸손하여 이익을 얻을 것을 생각하고注+주역周易겸괘謙卦 구삼효사九三爻辭에 “공로를 세워도 겸손함이니 군자君子가 끝마침이 있어 할 것이다.”라고 했다., 스스로 교만하여 손해를 불러서는 안 될 것입니다.注+서경書經》 〈우서虞書 대우모大禹謨〉에 “가득 참은 손해를 부르고 겸손함은 이익을 받는다.”라고 했다.
이렇게 하여 움직이면 뭇 백성들이 화합하고 말을 하면 천 리 먼 곳에서도 호응하여注+역대전易大傳》(〈계사전繫辭傳〉)에서, “군자君子가 그 방에 있으면서 내놓은 말이 훌륭하면 천리 밖에서 호응한다.”라고 했다. 고상한 덕이 지난 시대를 초월하고 기풍과 명성을 후대에 전하게 될 것입니다.
이것이 성스럽고 슬기로운 큰 규모이고 제왕의 위대한 사업이니, 이러한 일을 완성하는 것은 신중히 지키는 데에 있을 뿐입니다.


역주
역주1 止水 : 고요히 있는 물을 뜻한다. 《莊子》 〈德充符〉에 “사람이 흐르는 물에서는 자신을 비추어보지 못하고 고요히 있는 물에서 비추어볼 수 있다.[人莫鑑於流水 而鑑於止水]”라고 하였다.
역주2 遠便佞 : 《論語》 〈衛靈公〉에 “鄭나라 음악을 추방해야 하며 말재주 있는 사람을 멀리 할 것이니, 정나라 음악은 음탕하고 말 잘하는 사람은 위태롭다.[放鄭聲 遠佞人 鄭聲淫 佞人殆]”라고 하였다.
역주3 近取諸身 : 《周易》 〈繫辭傳〉에 보인다.
역주4 有動則庶類以和 : 《論語》 〈子張〉의 “만일 夫子께서 나라를 얻으신다면, 이른바 ‘세우면 이에 서고, 인도하면 이에 따르고, 편안하게 해주면 이에 따라오고, 고무시키면 이에 화합한다.’는 것이다.[夫子之得邦家者 所謂立之斯立 道之斯行 綏之斯來 動之斯和]”에서 유래한 것이다.

정관정요집론(3)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