貞觀十年
에 太宗謂侍臣曰 太子保傅
는 古難其選
이라 成王幼小
에 以周召爲保傅
하고 左右皆賢
하니 足以長仁
注+① 足以長仁:長, 音掌.하여 致理太平
하여 稱爲聖主
라 
                        		
                        		
                        		
	                     		
			                       	
			                       	
	                     		
	                     		
		                        
                        	
                        	
                        	
                        	
                        		
                        			
                        			
			                        
			                        	及秦之胡亥
하여는 始皇所愛
요 趙高作傅
하여 敎以刑法
이러니 에 誅功臣
하고 殺親戚
하여 酷烈不已
하여 旋踵亦亡
하니 以此而言
이면 人之善惡
이 誠由近習
이라 
                        		
                        		
                        		
	                     		
			                       	
			                       	
	                     		
	                     		
		                        
                        	
                        	
                        	
                        	
                        		
                        			
                        			
			                        
			                        	朕弱冠
注+② 朕弱冠:去聲.交遊
가 惟柴紹
注+③ 惟柴紹:字嗣昌, 臨汾人, 以任俠聞, 高祖妻以平陽公主. 武德初, 拜左翊衛大將軍, 累從戰伐而有功.竇誕等
注+④ 竇誕等:外戚也, 貞觀爲宗正卿, 太宗與語, 昏謬失對, 以光祿大夫罷.이라 爲人旣非三益
注+⑤ 爲人旣非三益:論語曰 “益者三友, 友直, 友諒, 友多聞.”이러니 
                        		
                        		
                        		
	                     		
			                       	
			                       	
	                     		
	                     		
		                        
                        	
                        	
                        	
                        	
                        		
                        			
                        			
			                        
			                        	及朕居玆寶位
하여 經理天下
가 雖不及堯舜之明
이나 庶免乎孫皓高緯之暴
注+⑥ 庶免乎孫皓高緯之暴:孫皓, 三國吳主, 是爲烏程侯, 降于晉. 高緯, 北齊後主, 爲周所虜.하니 以此而言
이면 復不由染
은 何也
오 
                        		
                        		
                        		
	                     		
			                       	
			                       	
	                     		
	                     		
		                        
                        	
                        	
                        	
                        	
                        		
                        			
                        			
			                        
			                        	魏徵曰 
이나 然上智之人
은 自無所染
이니 陛下受命自天
하사 平定寇亂
하사 救萬民之命
하시고 理致升平
하시니 豈紹誕之徒
가 能累聖德
注+⑦ 豈紹誕之徒能累聖德:累, 音類.이리오 
                        		
                        		
                        		
	                     		
			                       	
			                       	
	                     		
	                     		
		                        
                        	
                        	
                        	
                        	
                        		
                        			
                        			
			                        
			                        	但經云 放鄭聲
하고 遠佞人
注+⑧ 放鄭聲 遠佞人:遠, 去聲. 論語孔子答顔淵問爲邦之辭.이라하니 近習之間
에 尤宜深愼
이니이다 太宗曰 善
注+⑨ 貞觀十年……太宗曰善:按自誠由近習已上, 文重出師傅篇, 舊本此章在直諫篇, 今附入於此.타하다 
                        		
                        		
                        		
	                     		
			                       	
			                       	
	                     		
	                     		
		                        
                        	
                        	
                        	
                        	
                        		
                        		
                        		
                        			
                        			
		                       		
		                       		
		                       		
		                       			
		                       			
		                       			
		                       				注
		                       		
		                        
		                        	
		                        		
		                            	【集論】愚按 帝堯與共驩同處로되 而不爲共驩之所化하고 周公與管蔡同處로되 而不爲管蔡之所化라
		                            	 
									
                        			
                        			
                        		
	                     		
			                       	
			                       	
	                     		
	                     		
		                        
                        	
                        	
                        	
                        	
                        		
                        		
                        		
                        			
                        			
		                       		
		                       		
		                       		
		                        
		                        	
		                        		
		                            	夫
는 唯堯與周公爲能耳
라 然堯猶畏孔壬
하고 周公猶懼流言
하니 
									
                        			
                        			
                        		
	                     		
			                       	
			                       	
	                     		
	                     		
		                        
                        	
                        	
                        	
                        	
                        		
                        		
                        		
                        			
                        			
		                       		
		                       		
		                       		
		                        
		                        	
		                        		
		                            	豈恃其資質之美
하고 而謂惡人不能染哉
아 下此
는 則
하여 未有不與之俱化者也
라 
									
                        			
                        			
                        		
	                     		
			                       	
			                       	
	                     		
	                     		
		                        
                        	
                        	
                        	
                        	
                        		
                        		
                        		
                        			
                        			
		                       		
		                       		
		                       		
		                        
		                        	
		                        		
		                            	唐太宗이 少與柴竇爲友하되 而不能昏하니 太宗之德을 世莫不疑焉이라
		                            	 
									
                        			
                        			
                        		
	                     		
			                       	
			                       	
	                     		
	                     		
		                        
                        	
                        	
                        	
                        	
                        		
                        		
                        		
                        			
                        			
		                       		
		                       		
		                       		
		                        
		                        	
		                        		
		                            	以愚觀之컨대 太宗之所以爲太宗은 以其資質之過人也라
		                            	 
									
                        			
                        			
                        		
	                     		
			                       	
			                       	
	                     		
	                     		
		                        
                        	
                        	
                        	
                        	
                        		
                        		
                        		
                        			
                        			
		                       		
		                       		
		                       		
		                        
		                        	
		                        		
		                            	其不能進於三代之君者는 以柴竇輩爲之累也라 雖然이나 太宗少年之事爾요
		                            	 
									
                        			
                        			
                        		
	                     		
			                       	
			                       	
	                     		
	                     		
		                        
                        	
                        	
                        	
                        	
                        		
                        		
                        		
                        			
                        			
		                       		
		                       		
		                       		
		                        
		                        	
		                        		
		                            	及其君臨天下하여는 雖房杜王魏竝居輔相이나 而封權宇文之流가 亦得厠乎其間하니 此貞觀之治가 所以止於如是也라
		                            	 
									
                        			
                        			
                        		
	                     		
			                       	
			                       	
	                     		
	                     		
		                        
                        	
                        	
                        	
                        	
                        		
                        		
                        		
                        			
                        			
		                       		
		                       		
		                       		
		                        
		                        	
		                        		
									
                        			
                        			
                        		
	                     		
			                       	
			                       	
	                     		
	                     		
		                        
                        	
                        	
                        	
                        	
                   			
                    			
                    				
                    				 
                    			
                   			
                        	
                        	
                        	
                        	
	                       	
	                       	
	                       	
	                       	
							                       	
	                        
	                        
	                        	
	                        
	                        	
	                        		
	                        	
	                        
	                        	
	                        
	                        	
	                        		
	                        	
	                        
	                        	
	                        
	                        	
	                        		
	                        	
	                        
	                        	
	                        
	                        	
	                        		
	                        	
	                        
	                        	
	                        
	                        	
	                        		
	                        	
	                        
	                        	
	                        
	                        	
	                        		
	                        	
	                        
	                        	
	                        
	                        	
	                        
	                        	
	                        
	                        	
	                        
	                        	
	                        
	                        	
	                        
	                        	
	                        
	                        	
	                        
	                        	
	                        
	                        	
	                        
	                        	
	                        
	                        	
	                        
	                        	
	                        
	                        	
	                        
	                        	
	                        
	                        	
	                        
	                        
	                        
                        	
		                        
		                        
		                        
		                        
                        		
                        	
		                        
		                        
		                        
		                        	
		                        	
		                        
		                        
                        		
                        		
                        			
			                        
			                        	정관貞觀 10년(636)에 
태종太宗이 
근신近臣에게 말하였다. “
태자太子의 
보부保傅는 옛날에도 선발하기 어려웠소. 
성왕成王이 어려서 
주공周公과 
소공召公으로 보부를 삼고 측근의 신하를 모두 어진 사람으로 하였으니, 충분히 
인덕仁德을 길러서
注+장長(우두머리)은 음音이 장掌이다. 정치가 
태평太平하게 되어 
성주聖主라고 일컬었소.
 
			                              
                        			
                        		
                        		
	                     		
			                       	
			                       	
	                     		
		                        
                        	
		                        
		                        
		                        
		                        
                        		
                        	
		                        
		                        
		                        
		                        	
		                        	
		                        
		                        
                        		
                        		
                        			
			                        
			                        	진秦나라의 호해胡亥는 진 시황秦 始皇에게 사랑을 받고 조고趙高가 스승이 되어서 형법으로 교육하였소. 호해가 찬탈하여 황제가 되어서는 공신을 죽이고 친척을 죽여서 잔혹함을 그치지 않아서 곧바로 또한 망했소. 이것으로 말하면 사람의 선악이 진실로 근신近臣에게 달려 있는 것이오.
			                              
                        			
                        		
                        		
	                     		
			                       	
			                       	
	                     		
		                        
                        	
		                        
		                        
		                        
		                        
                        		
                        	
		                        
		                        
		                        
		                        	
		                        	
		                        
		                        
                        		
                        		
                        			
			                        
			                        	짐朕이 
약관弱冠에
注+〈관冠(으뜸가다)은〉 거성去聲이다. 교류한 사람은 오직 
시소柴紹와
注+〈시소柴紹는〉 자字가 사창嗣昌이며, 임분臨汾 사람이다. 의협심으로 소문나서 고조高祖가 평양공주平陽公主로 아내를 삼아주었다. 무덕武德 초기에 좌익위대장군左翊衛大將軍에 임명되어 여러 번 전쟁을 따라가 공이 있었다. 두탄竇誕 등이었는데
注+〈두탄竇誕은〉 외척外戚이다. 정관貞觀 시대에 종정경宗正卿이 되어 태종太宗과 함께 대화하는데 흐리멍덩하게 대답을 잘하지 못해서 광록대부光祿大夫로 파직되었다. 사람됨이 이미 유익한 세 가지 벗이 아니었소.
注+《논어論語》 〈계씨季氏〉에 말하기를 “유익한 것이 세 가지 벗이요, 손해되는 것이 세 가지 벗이니, 벗이 곧으며, 벗이 성실하며, 벗이 문견聞見이 많으면 〈유익하다.〉” 하였다. 
			                              
                        			
                        		
                        		
	                     		
			                       	
			                       	
	                     		
		                        
                        	
		                        
		                        
		                        
		                        
                        		
                        	
		                        
		                        
		                        
		                        	
		                        	
		                        
		                        
                        		
                        		
                        			
			                        
			                        	짐이 이 
보위寶位에 있으면서 천하를 경영함이 비록 
요堯임금과 
순舜임금의 명철함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거의 
손호孫皓와 
고위高緯의 잔악함은 면하였으니
注+손호孫皓는 삼국시대三國時代의 오吳나라 임금이며 오정후烏程侯가 되어 진晉나라에 항복하였다. 고위高緯는 북제北齊의 후주後主이며 북주北周에 사로잡혔다., 이것으로 말한다면 다시 짐이 
근신近臣에게 물들지 않은 이유는 무엇이오.”
      
                        			
                        		
                        		
	                     		
			                       	
			                       	
	                     		
		                        
                        	
		                        
		                        
		                        
		                        
                        		
                        	
		                        
		                        
		                        
		                        	
		                        	
		                        
		                        
                        		
                        		
                        			
			                        
			                        	위징魏徵이 말하였다. “
중인中人은 함께 선을 할 수 있고 함께 악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상등의 지혜를 가진 사람은 스스로 물들지 않습니다. 폐하께서 천명을 받아서 난리를 평정하시어 만민의 목숨을 구제하시고 다스림이 태평을 이루시니, 어찌 시소와 두연의 무리가 
성덕聖德에 누를 끼칠 수 있겠습니까.
注+누累(누가 되다)는 음音이 유類이다. 
			                              
                        			
                        		
                        		
	                     		
			                       	
			                       	
	                     		
		                        
                        	
		                        
		                        
		                        
		                        
                        		
                        	
		                        
		                        
		                        
		                        	
		                        	
		                        
		                        
                        		
                        		
                        			
			                        
			                        	다만 《
논어論語》 〈
위영공衛靈公〉에 ‘
정鄭나라의 음악을 추방하고, 아첨하는 자들을 멀리하라.’고 하였으니
注+원遠(멀리하다)은 거성去聲이다. 《논어論語》 〈위영공衛靈公〉에서 안연顔淵이 나라를 다스리는 방법을 질문하자 공자孔子가 대답한 말이다., 근신들의 사이에는 더욱 마땅히 깊이 삼가야 할 것입니다.” 태종이 좋다고 말하였다.
注+살펴보면 ‘성유근습誠由近習(진실로 가까운 습관을 따른다.)’으로부터 이상은 글이 〈논존경사부論尊敬師傅〉편에 거듭 나온다. 구본舊本에 이 장은 〈직간直諫〉편에 있었는데 지금 여기에 붙인다.      
                        			
                        		
                        		
	                     		
			                       	
			                       	
	                     		
		                        
                        	
		                        
		                        
		                        
		                        
                        		
                        	
		                        
		                        
		                        
		                        
                        		
                        		
                        		
                        			
                        			
		                       		
		                       		
		                       		
		                       			
		                       			
		                       			
		                       				注
		                       		
		                       		
		                        		
			                            	내가 살펴보건대, 요堯임금이 공공共工‧환도驩兜와 같은 곳에 살았지만 공공‧환도가 〈요임금을〉 변화시키지 못하였고, 주공周公이 관숙管叔‧채숙蔡叔과 같은 곳에 살았지만 관숙과 채숙이 주공을 변화시키지 못하였다.
			                             
									
                        			
                        			
                        		
	                     		
			                       	
			                       	
	                     		
		                        
                        	
		                        
		                        
		                        
		                        
                        		
                        	
		                        
		                        
		                        
		                        
                        		
                        		
                        		
                        			
                        			
		                       		
		                       		
		                       		
		                       		
		                        		
			                            	상지上智를 변화시킬 수 없는 것은 오직 요임금과 주공만이 능할 뿐이다. 그러나 요임금은 오히려 크게 간악한 마음을 품은 자[공임孔壬]를 두려워하였고 주공은 오히려 유언비어를 두려워했다.
			                             
									
                        			
                        			
                        		
	                     		
			                       	
			                       	
	                     		
		                        
                        	
		                        
		                        
		                        
		                        
                        		
                        	
		                        
		                        
		                        
		                        
                        		
                        		
                        		
                        			
                        			
		                       		
		                       		
		                       		
		                       		
		                        		
			                            	어찌 자질의 아름다음을 믿고 악인이 물들일 수 없다고 생각하였겠는가. 이보다 아래는 착한 사람이 지초와 난초의 향기와 같고 악한 사람이 절인 생선의 비린내와 같아서 그들과 함께 모두 변화되지 않는 자가 없다.
			                             
									
                        			
                        			
                        		
	                     		
			                       	
			                       	
	                     		
		                        
                        	
		                        
		                        
		                        
		                        
                        		
                        	
		                        
		                        
		                        
		                        
                        		
                        		
                        		
                        			
                        			
		                       		
		                       		
		                       		
		                       		
		                        		
			                            	당 태종唐 太宗이 젊어서 시소柴紹와 두탄竇誕과 함께 친구가 되었으나 어리석어지지 않았으니 태종太宗의 덕을 세상에서 의심하지 않은 자가 없었다.
			                             
									
                        			
                        			
                        		
	                     		
			                       	
			                       	
	                     		
		                        
                        	
		                        
		                        
		                        
		                        
                        		
                        	
		                        
		                        
		                        
		                        
                        		
                        		
                        		
                        			
                        			
		                       		
		                       		
		                       		
		                       		
		                        		
			                            	내가 살펴보면 태종이 태종이 되는 이유는 그의 자질이 남보다 뛰어났기 때문이다.
			                             
									
                        			
                        			
                        		
	                     		
			                       	
			                       	
	                     		
		                        
                        	
		                        
		                        
		                        
		                        
                        		
                        	
		                        
		                        
		                        
		                        
                        		
                        		
                        		
                        			
                        			
		                       		
		                       		
		                       		
		                       		
		                        		
			                            	태종이 삼대三代의 임금 수준에 나가지는 못한 것은 시소와 두연의 무리들이 누가 되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는 하지만 이는 태종의 나이가 젊어서의 일일 뿐이다.
			                             
									
                        			
                        			
                        		
	                     		
			                       	
			                       	
	                     		
		                        
                        	
		                        
		                        
		                        
		                        
                        		
                        	
		                        
		                        
		                        
		                        
                        		
                        		
                        		
                        			
                        			
		                       		
		                       		
		                       		
		                       		
		                        		
			                            	그가 임금이 되어 천하를 다스리게 되어서는 비록 방현령房玄齡‧두여회杜如晦‧왕규王珪‧위징魏徵이 함께 재상에 있었으나 봉덕이封德彛‧권만기權萬紀‧우문사급宇文士及 같은 무리들 또한 그 사이에 섞여 있었으니, 이것이 정관貞觀의 치적이 이와 같음에서 그치게 된 이유이다.
			                             
									
                        			
                        			
                        		
	                     		
			                       	
			                       	
	                     		
		                        
                        	
		                        
		                        
		                        
		                        
                        		
                        	
		                        
		                        
		                        
		                        
                        		
                        		
                        		
                        			
                        			
		                       		
		                       		
		                       		
		                       		
		                        		
			                            	그렇다면 태종이 이른바 따라 물들지 않았다고 한 것은 과연 그러한가. 어찌 그러하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