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4)

정관정요집론(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伏惟陛下統天御㝢十有三年
道洽寰中하며 威加海外하고 年穀豐稔하며 禮敎聿興하여
注+㉘ 比屋踰於可封:比, 音鼻.하고 러니
曁乎今歲 天災流行하여
炎氣致旱하여 乃遠被於郡國하고 凶醜作孼하여 忽近起於轂下하니
示誡하나니
斯誠陛下驚懼之辰이요 憂勤之日也
若見誡而懼하여 擇善而從하여하며하사
前王所以致理者 勤而行之하며 今時所以敗德者 思而改之하여
與物更新注+㉙ 與物更新:更, 平聲.하여 易人視聽이면
則寶祚無疆하고 普天幸甚하리니 何禍敗之有乎리오
然則社稷安危 國家治亂 在於一人而已
當今太平之基 旣崇極天之峻이나 九仞之積 猶虧一簣之功注+㉚ 猶虧一簣之功:書曰 “爲山九仞, 功虧一簣.” 言中道而止則前功盡棄也.하니
千載休期 時難再得이어늘 明王可爲而不爲하시니 微臣所以鬱結而長歎者也로소이다


신이 듣기로 ‘화복은 문이 없으며 오직 사람이 부르는 것이다.’라고 하고,
‘사람에게 죄가 없으면, 요사스러움이 망령되게 일어나지 않는다.’라고 하였습니다.
삼가 생각하건대 폐하께서 천하를 통치한 지 13년 만에
도가 천하에 흡족하며 위엄이 해외까지 떨쳤고 해마다 풍년이 들었으며 예교禮敎가 성대하게 일어나서
집집마다 봉작을 받은 사람이 넘쳐나고注+(마다)는 이다. 콩과 곡식이 물이나 불과 같이 많아졌습니다.
금년에 와서는 하늘의 재앙이 유행하여
더운 기후가 가뭄으로 변해 멀리 군국郡國까지 피해를 주었고 흉악범들이 재앙을 일으켜 갑자기 가까운 제도帝都에서 일어났습니다.
하늘이 무슨 말을 한 적이 있습니까. 상징象徵을 내려주어 경계를 보일 뿐이니,
이는 진실로 폐하께서 놀라고 두려워할 때이며 근심하고 근면해야 할 때입니다.
만일 하늘의 경계를 보고 두려워하여 좋은 의견을 택하여 따르시어 조심하는 마음을 가진 나라 문왕文王과 같이하며, 자신을 자책한 나라 탕왕湯王을 따르시어
전대의 제왕이 치세를 이룬 것을 부지런히 행하며, 지금 덕을 훼손하는 것을 생각하여 고쳐서
백성과 더불어 다시 새롭게 하여注+(고치다)은 평성平聲이다. 사람들의 이목耳目을 바꾸게 한다면
국운國運이 무궁하고 천하가 매우 다행으로 여길 것이니, 무슨 재앙과 패망이 있겠습니까.
그렇다면 사직社稷의 안위와 나라의 치란治亂천자天子 한 사람에게 달려 있을 뿐입니다.
지금 태평의 기초가 이미 하늘 끝만큼 높지만 아홉 길 높이의 산을 쌓는데 오히려 한 삼태기의 흙을 못 채워 완성이 되지 못하기도 합니다.注+서경書經》 〈주서周書 여오旅獒〉에 말하기를 “아홉 길 높이의 산을 쌓는데 한 삼태기의 흙을 못 채워 완성이 되지 못한다.”라고 하니 중도中道에 그치면 앞의 공을 다 버림을 말한다.
천 년에 한 번 있는 좋은 기회는 다시 얻기 어렵거늘 명철하신 군주께서 행할 수 있는데 하지 않으시니, 미천한 신이 가슴이 답답하여 길게 탄식하는 이유입니다.


역주
역주1 禍福無門 唯人所召 : 《春秋左氏傳》 襄公 23년에 보인다.
역주2 人無釁焉 妖不妄作 : 《春秋左氏傳》 莊公 14년에 보인다.
역주3 比屋踰於可封 : 《漢書》 〈王莽傳 上〉에 “堯舜時代에는 집집마다 봉작할 만하였다.[唐虞之時 可比屋而封]”라고 하였다.
역주4 菽粟同於水火 : 《孟子》 〈盡心 上〉에 “성인이 천하를 다스리는 데에는 菽粟을 水火처럼 많게 한다.[聖人治天下 使有菽粟如水火]”라고 하였다.
역주5 天何言哉 : 《論語》 〈陽貨〉에 “하늘이 무슨 말을 하던가. 사시가 운행하고 만물이 자라난다.[天何言哉 四時行焉 百物生焉]”라고 하였다.
역주6 垂象 : 상징을 내려 보임을 뜻한다. 《周易》 〈繫辭 上〉에 “하늘이 상징을 내려주어 길흉을 보이니 성인께서 본받는다.[天垂象 見吉凶 聖人象之]”라고 하였다.
역주7 周文之小心 : 《詩經》 〈大雅 大明〉에 “이 文王이 조심하고 공경하여 上帝를 밝게 섬기시어 많은 福을 오게 하신다.[維此文王 小心翼翼 昭事上帝 聿懷多福]”라고 하였다.
역주8 殷湯之罪己 : 殷나라 湯王의 六事自責을 말한다.

정관정요집론(4)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