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1)

정관정요집론(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朕惟三代而後 治功莫盛於唐이요 而唐三百年間 尤莫若貞觀之盛이라
誠以太宗克己勵精하여 圖治於其上하고 而群臣如魏徵輩 感其知遇之隆하여 相與하여 以輔治於下하여
君明臣良하니 其獨盛也宜矣로다
厥後 史臣吳兢 采其故實하여 編類爲十卷하고 名曰貞觀政要라하다
有元儒士臨川戈直 復加考訂註釋하여 附載諸儒論說하여 以暢其義하고
而當時大儒吳澄 又爲之題辭하여 以爲라하니 其信然也
朕萬幾之暇 銳情經史라가 偶及是編하여 喜其君有任賢納諫之美하며 臣有輔君進諫之忠하니
其論治亂興亡 利害得失 明白切要하여 可爲鑑戒하니 朕甚嘉尙焉하니라
顧傳刻歲久 字多訛謬할새 因命儒臣重訂正之하여 刻梓以永其傳하니라
於戲 太宗在唐爲一代英明之君으로 其濟世康民 偉有成烈하여 卓乎不可及已로다
所可惜者 正心修身 有愧於之道하여 而治未純也
朕將遠師往聖하고 允迪大猷하여 以宏至治 固不專於是編이나 然而嘉尙之者 以其可爲之助也
序于篇端하니 讀者鑑焉하라
元年八月初一日이라


御製貞觀政要序
은 생각해보니, 〈삼대三代 이후에 치적이 나라보다 성대한 나라가 없고, 나라 300년 동안에는 정관貞觀만큼 더욱 성대한 시대가 없었다.
참으로 태종太宗은 사욕을 극복하고 정신을 가다듬어 위에서 정치를 계획하였고, 신하들 중에 위징魏徵 같은 이들은 융숭한 지우知遇에 감격하여 함께 옳은 것을 진언하고 그른 것을 그만두도록 하여 아래에서 정치를 도왔다.
임금은 명철하고 신하는 어지니 유독 성대한 것이 마땅하다.
나라의 유생儒生 임천臨川 사람 과직戈直이 다시 고정考訂하고 주석註釋하여 여러 학자들의 논설論說을 붙여 그 뜻을 밝히고,
짐이 많은 정무를 보는 여가에 경서經書사서史書를 예의 주시하다가 우연히 이 책을 보게 되어 임금은 현인을 임용하고 간언을 받아들인 아름다움이 있으며, 신하는 임금을 보좌하고 간언을 올린 충성이 있음을 기뻐하였다.
그 치란흥망과 이해득실을 논한 것이 명백하고 간절하여 감계鑑戒가 될 만하니, 짐이 매우 가상하게 여겼다.
살펴보니 여러 사람의 손을 거쳐 판각되고 세월이 오래되어 글자가 잘못된 곳이 많았기 때문에, 유신儒臣에게 명하여 거듭 고쳐 바로잡아 판각하여 오래도록 전하게 하였다.
아, 태종은 나라에서 한 시대의 영명英明한 임금으로 세상을 구제하고 백성을 편안하게 함에 훌륭하게 이루어 놓은 공적이 있으니, 우뚝하여 따라갈 수 없다.
그러나 마음을 바로잡고 몸을 수양한 것이 이제二帝삼왕三王에 못 미쳐 치적이 순수하지 못한 것이 안타깝다.
짐이 멀리 과거의 성인聖人을 스승으로 삼고 참으로 큰 를 실천하여 지극한 치적을 넓혀가려 하는데, 참으로 이 책만을 전용할 것은 아니지만 가상히 여기는 것은 〈《중용中庸》에서 말한〉 ‘먼 데를 갈 적에는 가까운 데에서 출발하며 높은 데를 오를 적에는 낮은 데에서 오른다.’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책 앞에 서문을 쓰니 읽는 이들은 살펴볼지어다.
성화成化 원년(1465) 8월 1일


역주
역주1 御製貞觀政要序 : 이 서문은 明나라 憲宗 朱見深의 御製序이다.
역주2 獻可替否 : 임금이 행해야 할 일은 과감히 건의하고, 해서는 안 될 일은 그만두도록 간언하는 대신의 도리를 말한다. 《春秋左氏傳 昭公 20년》
역주3 世不可無 : 吳澄의 〈貞觀政要集論題辭〉에 “《貞觀政要》라는 책이 어찌 없어서야 되겠는가.[貞觀政要之書 何可無也]”라고 하였다.
역주4 二帝三王 : 二帝는 堯임금‧舜임금, 三王은 禹王‧湯王‧文王 또는 武王이다. 이상적인 군주를 말한다.
역주5 行遠登高 : 《中庸章句》 제15장에 “비유하자면 먼 데를 갈 적에는 반드시 가까운 데에서 시작하며, 높은 데를 오를 적에는 반드시 낮은 데에서 시작하는 것과 같다.[譬如行遠必自邇 譬如登高必自卑]”라고 하였다.
역주6 成化 : 明나라 憲宗의 연호로 1465년에서 1487년까지 사용하였다.
역주7 그 뒤에……붙였다 : 《貞觀政要》는 그 체제가 10卷 40篇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본서에서는 분책상의 문제로 권이 아닌 편을 중심으로 분책하여 편집하였다. 《정관정요》의 체제와 관련해서 본서 〈해제〉를 참조.
역주8 吳澄이……하였으니 : 吳澄(1249~1333)은 元나라의 저명한 학자이다. 자는 幼淸‧伯淸, 호는 草廬, 시호는 文正이다. 元나라 英宗 至治(1321~1323) 末年에 翰林學士가 되고, 晉宗 泰定(1324~1327) 初年에 經筵講官이 되었으며, 《英宗實錄》을 편수하였다. 저술로는 《吳文正集》, 《易纂言》 등이 있고, 그 명성이 許衡과 병칭되었다. 오징이 지은 題辭는 본서에 실려 있는 〈貞觀政要集論題辭〉를 가리킨다.

정관정요집론(1) 책은 2019.06.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