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論語注疏(1)

논어주소(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논어주소(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5. 子貢問曰
孔文子何以謂之文也잇가
[注]孔曰 孔文子 衛大夫孔圉
諡也
子曰
敏而好學하며 不恥下問이라
是以謂之文也니라
[注]孔曰 敏者 識之疾也
下問 謂凡在己下者
[疏]‘子貢’至‘文也’
○正義曰:此章言文爲美諡也.
‘子貢問曰 孔文子何以謂之文也’者, 言文是諡之美者, 故問衛大夫孔圉有何善行而得謂之文也.
‘子曰 敏而好學 不恥下問 是以謂之文也’者, 此夫子爲子貢說文子之美行也.
敏者, 疾也. 下問, 問凡在己下者.
言文子知識敏疾, 而又好學, 有所未辨, 不羞恥於問己下之人,
有此美行, 是以諡謂之文也.
[疏]○注 ‘孔曰’至‘諡也’
○正義曰:云 ‘孔文子 衛大夫孔圉’者, 左傳文也.
云 ‘文 諡也’者, 案諡法云 “勤學好問曰文.”


자공子貢이 물었다.
공문자孔文子는 어째서 그 〈시호諡號를〉 이라 하였습니까?”
공왈孔曰:공문자孔文子나라 대부 공어孔圉이다.
은 시호이다.
께서 말씀하셨다.
“민첩하면서도 배우기를 좋아하고, 아랫사람에게 묻기를 부끄러워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그를 이라 한 것이다.”
공왈孔曰:은 앎이 빠름이다.
하문下問은 자기 아래에 있는 사람〈에게 묻는 것〉을 이른다.
의 [子貢]에서 [文也]까지
○正義曰:이 장은 이 아름다운 시호諡號임을 말한 것이다.
[子貢問曰 孔文子何以謂之文也] 이 아름다운 시호이기 때문에 나라 대부大夫 공어孔圉는 어떤 선행이 있었기에 이란 시호를 얻었느냐고 물은 것이다.
[子曰 敏而好學 不恥下問 是以謂之文也] 이것은 부자께서 자공을 위해 공문자孔文子의 아름다운 행실을 설명하신 것이다.
은 빠름이고, 하문下問은 자기 아랫사람에게 물음이다.
공문자는 앎이 빠르면서도 배움을 좋아하고, 분변할 수 없는 일이 있으면 아랫사람에게 묻기를 부끄러워하지 않았다.
이런 미행美行이 있었기 때문에 시호를 이라고 하였다는 말이다.
의 [孔曰]에서 [諡也]까지
○正義曰:[孔文子 衛大夫孔圉]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의 글이다.
[文 諡也] 고찰하건대, 〈시법諡法〉에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묻기를 좋아하는 것을 이라 한다.”고 하였다.



논어주소(1) 책은 2021.08.02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